전체기사

LG에너지솔루션, 美 GM과 ‘각형 배터리’ 개발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완성차 기업 GM(General Motors)과 각형 배터리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양사는 '각형 배터리 및 핵심 재료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날 “14년 동안 이어진 굳건한 파트너십의 또 다른 결실"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개발되는 각형 배터리는 향후 GM 차세대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각형 배터리 개발 계획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로써 LG에너지솔루션은 세계 배터리 업체 중 파우치형, 원통형, 각형 등 모든 배터리 폼팩터를 포트폴리오로 갖춘 유일한 기업이 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계약을 통해 더욱 강화된 '제품 및 고객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향후 전기차 시장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을 지나 본격 성장기에 진입하고,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질 시기에 한층 더 전략적인 대응이 가능해진 것이다. 실제 고객사마다 EV 차량의 종류와 크기, 공략 시장 등 전략이 세분화되고 있고, 폼팩터별 장단점을 고려한 용도별 배터리 채택을 고려하는 고객사들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납작한 상자 모양의 각형 배터리는 알루미늄 캔으로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상대적으로 셀 자체의 강성이 높아 배터리 모듈, 팩 단계에서 구조적인 간소화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각형 패키징 기술을 비롯해 설계 및 공정 분야에서도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전극 생산 및 스태킹 공법 기술력은 각형 배터리 개발에도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각형은 뛰어난 내구성을 갖춘데 비해 내부 공간 활용 측면에서 유휴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대표적 단점으로 꼽혀왔다.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등 주요 요소를 돌돌 말아 만든 '젤리롤'을 사각형 상자 모양의 알루미늄 캔에 넣는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이 빈 공간으로 남을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근 각형 배터리는 소재를 층층이 쌓는 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LG에너지솔루션은 이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리더십을 갖추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GM과의 공동개발을 시작으로 핵심 고객들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파우치형∙원통형∙각형 폼팩터별 균형 잡힌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서원준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사업부장 부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의 가장 강력한 파트너 중 하나인 GM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하게 돼 기쁘다"며 “새로운 폼팩터 개발을 안정적으로 성공해 대체불가능한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커트 캘티 GM 배터리 셀&팩 부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얼티엄셀즈를 북미 최대 배터리 셀 제조업체로 만들었고 이는 오늘날 북미에서 다양한 전기차 포트폴리오에 동력을 공급하고 있다"며 “파트너십 확대로 전기차 성능 개선 및 안전성 강화, 비용 절감을 위한 폼팩터 개발에 있어 한걸음 더 나아가게 됐다"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한국지엠, 11월 4만9626대 판매…수출 호조세 지속

한국지엠은 지난달 4만9626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 대비 5.4%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한국지엠의 11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8.4% 증가한 4만7805대를 기록했다. 특히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가 11월 한 달 동안 해외시장에서 2만9392대가 판매되며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세를 기록했다. 11월 내수 판매는 1821대인 가운데,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1398대 판매되며 내수 실적을 리드했다. 구스타보 콜로시 영업·서비스·마케팅 부문 부사장은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와 트레일블레이저가 각각 10월 국내 승용차 수출 1위, 3위에 오르는 등 GM의 핵심 제품들이 국내외 고객들로부터 꾸준한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르노코리아, 11월 1만5180대 판매…전년 比 235.6% 증가

르노코리아는 지난달 내수 7301대, 수출 7879대로 전년 동월 대비 235.6% 증가한 1만5180대의 판매 실적을 거뒀다고 2일 밝혔다. 르노코리아의 지난달 판매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9.4% 늘어난 7301대이며, 이중 6582대를 차지한 그랑 콜레오스가 11월 판매 실적을 견인했다. 세부 모델로는 E-Tech 하이브리드가 6082대로 그랑 콜레오스 월간 판매량의 약 92%를 차지했고, 10월말 추가 출시한 2.0 터보 가솔린이 500대(2WD 314대, 4WD 186대)로 그 뒤를 이었다. 지난 9월 9일 출고를 시작한 르노코리아의 새로운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는 11월 말까지 영업일 기준 54일만에 누적 판매 1만5912대를 기록했다. 이중 하이브리드는 96.3%인 1만5323대다. 르노코리아의 지난달 수출은 아르카나 6743대, QM6 1136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97.5% 늘어난 7879대가 선적됐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KGM, 지난달 8849대 판매…전년 동월 比 26.4%↑

KG모빌리티(KGM)는 지난달 내수 3309대, 수출 5540대를 포함 8849대를 판매했다고 2일 밝혔다. 전월 대비 약 1000대 감소했지만 수출 물량 상승세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로는 26.4% 증가했다. 특히 수출은 헝가리와 칠레, 튀르키예 등으로의 판매가 늘며 지난 4월(6088대)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전년 동월 대비 2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차종별로는 토레스가 1578대로 전월(602대), 전년 동월(600대) 대비 2배 이상 판매 물량이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KGM 관계자는 “수출 물량 상승세에 힘입어 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26.4% 증가했다"며 “상승세를 잇고 있는 수출은 물론 시승센터 개소 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과 함께 내수 시장 대응에도 만전을 기해 판매 물량을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기아, 11월 글로벌 26만2426대 판매…전년比 0.8% 늘어

기아는 지난달 전 세계에서 26만2426대를 판매했다고 2일 밝혔다. 총판매량은 지난해 11월 26만363대보다 0.8% 증가했다. 다만 전월 26만5344대 판매보다는 1.1% 감소했다. 국내에서는 전년 동기보다 4% 감소한 4만8015대를, 해외에서는 1.9% 증가한 21만3835대를 판매했다. 특수차 판매량은 국내 177대, 해외 399대 등 576대로 1년 전보다 판매량이 1% 줄었다. 지난달 국내외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스포티지로 4만6104대가 팔렸다. 그 뒤를 셀토스가 2만4312대, 쏘렌토가 2만3906대로 이었다. 국내에서는 쏘렌토가 1만434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다. 승용은 레이 4753대, K8 4336대, K5 2645대 등 총 1만3300대가 팔렸다. 레저용 차량(RV)은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7516대, 셀토스 4887대, 스포티지 4233대 등 총 3만1509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 3083대 등 총 3206대를 팔았다. 해외에서는 스포티지가 4만1871대 팔리며 최다 판매 모델이 됐다. 셀토스는 1만9425대, 쏘넷은 1만6888대가 판매되며 뒤를 이었다. 올해 1~11월 누적 판매량은 내수 49만3940대, 해외 234만7714대로 총 284만7160대를 기록, 전년 동기(287만2228대) 대비 0.9% 줄었다. 기아 관계자는 “이번달부터 스포티지 상품성 개선 모델과 카니발 하이브리드 모델을 본격 판매해 판매 모멘텀을 개선해 나가겠다"며 “내년에는 EV4와 EV5 등으로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타스만으로 픽업 시장에 진출해 판매 확대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동 기자 dong01@ekn.kr

현대차, 11월 35만5729대 판매…전년比 3.7% 줄어

현대자동차는 지난달 국내 6만3170대, 해외 29만2559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3.7% 감소한 35만5729대를 판매했다고 2일 밝혔다. 차종별로 세단은 그랜저 5047대, 쏘나타 6658대, 아반떼 5452대 등 총 1만7891대를 팔았다. RV는 싼타페 7576대, 투싼 5583대, 코나 2034대, 캐스퍼 3745대 등 총 2만 2978대가 판매됐다. 포터는 4682대, 스타리아는 4094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총 2401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3487대, GV80 3362대, GV70 3155대 등 총 1만951대가 팔렸다. 현대차 관계자는 “주요 시장의 성장률 둔화 속에 환율 및 금리변동을 비롯해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으로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 볼륨을 견조히 유지하는 한편 차세대 모델을 잇달아 투입해 판매 확대의 모멘텀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동 기자 dong01@ekn.kr

‘통합 진에어’ 출범 코앞인데, 부·울·경 “지역 존치” 목소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을 최종 승인하며 두 회사의 저비용 항공사(LCC)들의 통합도 이뤄질 전망인 가운데 부산·울산·경남 지역 사회가 “에어부산은 향토 기업"이라며 현 상태 그대로 남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에어부산이 아시아나항공을 벗어나게 되면 업무·재정 지원을 받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부산상공회의소는 전날 “지역 거점 항공사 에어부산의 부산 존치 논의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성명을 냈다. 이어 “지난 4년 간의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승인 기간은 부산으로선 거점 항공사를 존치토록 해 지역 기업 자산을 지키려는 한결같은 염원의 시간이었다"면서 “하지만 에어부산을 지키려는 바람은 한국산업은행·국토교통부·대한항공의 무관심과 무성의한 대응으로 철저히 외면됐다"고 했다. 아울러 “에어부산은 부산 기업·시민들의 손으로 일궈낸 자랑스러운 자산인데, 이를 정부 정책 때문에 상실하게 된다면 지역 사회의 거센 저항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부·울·경 지역 사회는 EC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 최종 승인을 내주기 전까지만 해도 꾸준히 에어부산 분리 매각을 주장해왔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M&A) 계획안에는 여러 자회사들을 한진그룹 계열사들과 합친다는 방안이 담겨 있다. 특히 '거대 LCC'로 거듭날 진에어는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을 합병해 기단과 인력 등 각종 분야에서 업계 1위로 도약할 전망이다. 한진칼·대한항공은 아직까지 통합 LCC의 본사를 어디에 둘지에 대해 공식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다. 다만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2022년 6월 “통합 LCC 사명은 진에어이고, 허브는 인천국제공항"이라고 못 박았던 점을 감안하면 본사 소재지는 현재 서울 강서구 등촌동 본사나 인천이 유력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에어부산 최대 주주는 아시아나항공이고, 임원·우리사주조합 보유분과 자사주를 모두 합하면 41.96%로 집계된다. 2008년 에어부산이 탄생할 당시 지역 사회의 지분은 48.98%에 달했다. 하지만 메리츠보험·엔케이·부산일보·넥센·비스코·태웅·삼한종합건설·세운철강·윈스틸·부산롯데호텔 등이 매각에 나서 지분이 축소됐다. 현재 △동일 3.31% △서원홀딩스 3.15% △부산시 2.91% △아이에스동서 2.70% △부산은행 2.53% △세운철강 0.98% △부산롯데호텔 0.50% △윈스틸 0.07% 등 지역 사회의 에어부산 지분율은 16.15%인 것으로 파악된다. 지분율이 대폭 줄어든 부·울·경 지역 사회가 부산 내 에어부산 존치론을 주장하는 건 '아시아나항공에 잠시 맡겨둔 우리가 진짜 주인'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어서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하지만 이는 보유한 주식 수에 비례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현대 기업 지배 구조의 중요한 원칙인 '주주 민주주의'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진칼·대한항공이 통합 대상 LCC 3사 중 2위인 에어부산의 현 입지 조건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합병 작업을 추진하면 대주주의 권리가 침해받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산업은행은 대한항공으로의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시작하며 에어부산과 에어서울까지 넘긴다는 계획이었기 때문에 부·울·경 지역 항공사 존치는 애당초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또 에어부산이 지역 사회의 염원대로 부산에 남는다 해도 자립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에어부산은 아시아나항공과 항공기 13대 임대차·정비, 아시아나에어포트와는 램프 조업 계약을 체결해둔 상태다. 특히 항공기는 에어캡 아일랜드·에비에이션 캐피탈 그룹·SMBC 에비에이션·셀레스티얼 에비에이션 트레이딩 69 리미트·ICBC 대비 저리인 4.71%로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빌려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에어부산은 아시아나항공과 공동 운항편(코드 셰어)을 띄워 올해 2분기 84억6705억원, 3분기 76억194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채권·채무 잔액은 2032억7822억원에 달한다. 이 외에도 타 계열사들에도 채무를 지고 있고,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었을 때에는 아시아나항공이 2020년부터 2022년 사이에 1845억원 상당의 유상 증자에 참여했다. 이와 같은 면을 종합하면 통합 LCC 중 일부가 될 에어부산을 부산에 남겨둘 이유가 없다는 평이다. 이병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공학부 교수는 “에어부산을 지역에 남기고 싶었다면 부·울·경 지방 자치 단체들이나 기업들이 주식을 사모아 공기업으로 만들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기업은 존재 이유가 이익 창출에 있을 따름인데, 정치적 논리에 휘둘리면 안 된다"고 꼬집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대기업 알뜰폰 점유율 규제 논의 또 보류…다음 소위서 ‘끝장토론’

통신 3사 자회사와 대기업·금융권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을 제한하는 내용이 담긴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논의가 또 다시 미뤄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장지배적 사업자(SK텔레콤)의 도매제공의무 부활을 대안으로 제시했지만 이번에도 합의를 보지 못했다.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정보통산방송소위원회는 제5차 법안소위를 열고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에 담긴 알뜰폰 점유율 제한법(가칭)을 논의했다. 해당 개정안은 SK텔링크, KT엠모바일·KT스카이라이프, LG헬로비전·미디어로그 등 통신 3사 자회사와 현대·기아차 등 대기업, KB리브엠·토스 등 금융권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을 60%로 제한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체 가입자수(941만6526명)의 약 564만992명 수준이다. 현행 법안은 사물인터넷(IoT) 회선까지 포함해 통신 3사 자회사의 점유율을 50%로 제한하도록 규정돼 있는데, 김 의원 안은 점유율 산정에서 IoT 회선을 제외했다. 여기에 규제 대상에 금융권을 추가하는 한편, 대기업의 알뜰폰 사업자 인수를 방지하는 내용도 담겼다. 통신 3사 자회사와 대기업의 알뜰폰 시장 독점을 막고, 중소 알뜰폰 사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란 설명이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현행 법안을 일부 유지하되, 독과점 방지책을 담은 수정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통신 3사 자회사의 점유율 제한은 50% 미만으로 하되, 금융권은 규제 대상에서 빠졌다. 자회사 점유율 제한을 소폭 높이는 대신, 금융권은 제외해 시장 경쟁을 촉진하자는 취지다. 최대 쟁점은 금융권 및 대기업의 점유율 규제 대상 포함 여부다. 여야는 지난달 27일 열린 법안소위에서 이를 놓고 격론을 벌였지만, 금융권 제재에 대한 신중론이 힘을 얻으며 한 차례 보류됐다. 기업의 점유율을 법률로 규제하는 건 위헌의 소지가 있고, 이용자 편익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과기정통부는 5일 만에 열린 이번 소위에서 정부의 사전규제 내용을 담은 도매제공제도 개선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는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알뜰폰 사업자에게 자사 네트워크를 도매로 의무 제공토록 한 제도다. 지난해 말 법률 개정으로 알뜰폰 도매제공 의무제가 상설화됐다. 이와 동시에 알뜰폰 사업자와 통신 3사가 개별 협상을 진행한 후, 결과에 따라 공정 경쟁이 저하됐다고 판단될 때 정부가 개입하는 사후규제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정부 개입 없이 알뜰폰 사업자가 직접 도매대가 협상에 나서야 했다. 그러나 이 제도를 원점으로 되돌려 정부가 통신사와 직접 협상을 진행해 도매대가를 정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기존 부가 조건을 변경할 경우 사전에 알뜰폰 업계의 의견을 청취하는 내용을 담을 것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통신 3사 자회사의 독과점을 막으면서 중소 알뜰폰 사업자를 보호하고, 시장도 활성화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앞서 업계는 지난 5월 도매대가 가격 산정을 과기정통부 장관 고시로 사전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낮은 알뜰폰 사업자들이 밀리면서 도매대가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여야는 이에 대해 치열한 공방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향후 열릴 제2 법안소위에서 김 의원 대표발의안과 과기정통부 수정안, 도매제공 개선안 등을 놓고 끝장 토론을 벌이기로 했다. 논의 결과는 정부가 이달 공개할 예정인 '알뜰폰 활성화 정책(가칭)'에도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한 업계 의견은 다소 엇갈린다. 우선 두 법안 모두 통신 3사 자회사에 대한 규제 강화를 전제로 하고 있어 사업 차질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인위적인 점유율 규제가 자칫 이용자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적잖다. 업계에선 사업자들이 보다 저렴한 요금제를 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태민 기자 etm@ekn.kr

불길 잡고 기강 확립하던 포스코, 이번엔 파업리스크

포스코가 잇따른 사고에 이어 노사관계에서도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최근 포항제철소에서 발생한 불길이 꺼지기 무섭게 창사 이래 첫 파업 위기에 내몰렸다. 2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 따르면 포스코노동조합이 조합원 7934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7356명 중 5733명(72.25%)이 찬성 의견을 냈다. 반대와 기권은 각각 1623명(20.46%)·578명(7.29%)에 머물렀다. 사측과 노조는 10차례 이상 만났으나, 임단협 타결에 이르지 못했다. 중앙노동위원회도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는 등 합의 가능성이 더욱 낮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주5일제 전환과 함께 기본급 인상을 비롯한 이슈에서 근로자들과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는 것도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는 오랜 진통 끝에 합의에 이르렀으나, 올해는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포스코가 재무구조 안정화를 위해 비핵심 자산을 정리하고 희망퇴직을 받으면서 근로자들의 고용 불안이 높아진 것도 원인이다.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올 1월 하순 철강업계 최초로 격주 주 4일제를 도입했으나, 6월 임원에 이어 지난달 말부터 팀장급도 격주 주 4일제 대신 주5일제 근무로 전환했다. 이는 현장을 비롯한 경영환경이 안정화되는 시기까지로, 평직원 등은 현행 격주 주4일제를 유지한다. 자율과 책임 중심의 일하는 방식을 정착시키고 직원들이 행복을 느끼는 일터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었으나, 업황 부진이 길어지고 안전관리 역량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커진 탓이다. 임직원들의 기강을 다잡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도 최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최고경영자(CEO) 메세지를 임직원들에게 보냈다. 포항제철소에서는 지난달 10·24일 화재를 포함해 최근 2년간 통신선과 석탄 운반시설 등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장 회장은 '설비강건화 태스크포스팀(TFT)' 발족도 지시했다. 이는 사내·외 안전, 설비, 정비 전문가로 구성되는 것으로, 국내·외 제철소 현장점검을 통해 사업장을 안정화시키고 설비강건화 플랜을 수립 및 실행할 방침이다. 한편 노조는 이날 오후 6시 경북 포항 본사 인근에서 파업 출정식도 벌일 예정이다. 이들은 교섭 경과를 보고하고 관계자들의 발언을 통해 목소리를 모을 방침이다. 오는 3일 오후 6시 광양제철소 앞에서도 파업 출정식이 이뤄진다. 노조는 당장 파업에 돌입하기 보다 사측과의 협상 여부에 따라 단계적으로 쟁의행위를 벌인다는 전략이다. 포스코는 △산업용 전기 요금 인상 △중국 철강 수요 부진 △국내 건설 경기 침체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감소한 상황에서 인건비 부담이 더해지면 악순환이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산 철강재와 국산의 가격차가 심해지면 저가 제품의 국내 유입이 가속화, 판가에 악영향을 끼치고 공장 가동률도 하락할 수 있다는 논리다. 실제로 포스코는 올해 포항제철소 1제강·1선재공장을 셧다운했다. 포항제철소 파이넥스3공장 화재로 인한 생산차질이 없는 것도 다른 공장의 가동률이 낮아서 여유가 있었다는 웃지 못할 이유였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상향과 대미 수출 쿼터(할당량) 감소 등이 더해지면 실적 악화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포스코는 심각한 경영여건에도 전향적인 안을 제시했음에도 교섭이 난항을 겪고 있으나, 평화적 교섭 타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가성비·프리미엄 넘나드는 中 가전, 韓 침투 속도 낸다

중국 가전업체들이 한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가성비를 앞세운 제품부터 프리미엄 제품군까지 다양하게 선보이며 빠르게 시장에 스며들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올인원 세탁건조기와 TV는 중국 제조사의 가성비 대표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소비자들의 관심을 끈다. 가성비 올인원 세탁건조기의 경우 로보락이 최근 선보인 '로보락 H1'과 '로보락 M1'이 대표적이다. 세탁·건조 용량을 낮추는 대신 판매가는 기존 삼성전자·LG전자 제품의 반값 수준이다. 중국 가전업체는 TV도 가성비 제품을 앞세워 한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는 모습이다. 샤오미와 TCL은 올해 스마트 TV를 국내에 선보였다. 모두 100만원대의 제품으로 같은 크기의 국내 제품과 비교해 절반 이상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프리미엄 제품의 대표 주자로는 로봇청소기가 꼽힌다. 로보락, 에코백스, 드리미 등 중국 업체는 기술력을 더한 올인원 제품으로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그동안 가성비 전략만을 추구하던 중국 제조사들은 최근 들어 가성비와 프리미엄 전략을 함께 추진하며 한국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는 데 힘쓰고 있다. 이는 다양한 가격대와 기능의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더 넓은 소비자층을 공략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로보락이 내놓은 올인원 세탁건조기의 타깃층은 1~2인 가구다. 소규모 가구 증가 추세 트렌드에 맞춰 이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 크기의 제품이라는 점을 마케팅 포인트로 삼고 있다. 여기에 가격 경쟁력까지 더해 실속형 수요를 공략하겠다는 것. TV도 마찬가지다. 고물가 시대 속에서 합리적인 소비를 원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저렴한 가격대의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로봇청소기는 프리미엄 전략의 성공 사례로 꼽힌다. 중국 제조사들은 가사 노동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캐치하고 일찌감치 올인원 시장에 뛰어들었다. 먼지 흡입부터 물걸레 청소까지 한 번에 해결 가능하다는 점에서 200만원을 호가하는 가격에도 소비자들은 지갑을 열기 시작했고, 현재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은 중국 업체가 주도하고 있다. 중국 가전업체들은 프리미엄과 가성비 전략을 통해 국내 시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에 녹아들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제품을 사용하는 이가 많아야 한다"며 “가성비와 프리미엄 영역에서 제품 선택지가 늘면 자연스럽게 이를 활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중국 제조사들이 국내 가전 시장 곳곳에 침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사후관리 서비스(AS) 미흡 등을 이유로 중국 가전업체가 한국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거란 시각도 나온다. 하지만 중국 업체들은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AS 접수처를 늘리는 등 관련 서비스 강화에 힘쓰며 국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주력하는 모습이다. 일례로 로보락은 당초 18곳 수준이던 AS 접수처를 352곳으로 넓혔다. TCL도 전국에 38개 AS센터를 구축하며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여가고 있다. 에코백스는 지난달 전국 GS25 편의점을 통한 택배 수리 접수 서비스를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그간 소비자들이 중국산 등 외산 업체의 제품 구매를 망설인 이유 중 하나는 AS 때문이었다"며 “AS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경우 외산 업체가 국내 시장에 자리를 잡는 데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