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최광수 스피어코퍼레이션 회장 “메디컬·우주 잡고 ‘조 단위’ 기업으로 도약”](http://www.ekn.kr/mnt/thum/202504/news-p.v1.20250410.8641f588feb94e7484b0f6426ca5be0e_T1.png)
“지금까지는 우주 사업에서 규모는 작지만 기술력 있는 기업으로 활동해왔다면, 앞으로는 규모를 키우는 데 방점을 찍을 것입니다. 메디컬과 로켓,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아 조 단위 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 최광수 스피어코퍼레이션 대표이사 회장이 라이프시맨틱스와 스피어코리아 합병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마음가짐을 밝히며 내비친 포부다. 최 회장은 지난 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스피어코퍼레이션 본사에서 진행한 과의 인터뷰에서 회사의 중·장기 목표를 밝혔다. 최 회장은 우선 1차 목표로 우주선(로켓)에 들어가는 특수 합금 부품 사업에 집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합병 이전 라이프시맨틱스의 고유 기술인 메디컬 분야를 키워, 스피어코리아의 해외 인지도와 인프라를 활용해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최 회장은 “스피어코리아와 라이프시맨틱스 모두 지금까지는 규모는 작지만 기술력 있는 기업으로 활동해왔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메이저 비즈니스를 만들어낼 수 있는 업체로 자리잡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주항공 산업에서 역량을 키워 전체 서플라이 체인(공급망)과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그간 라이프시맨틱스가 영위해온 메디컬 비즈니스의 경우 스피어코리아의 글로벌 국가 리소스를 총동원해 키워나간다는 포석이다. 일례로 미국 대형 고객사와의 접점으로 미국의 원격의료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강구한다. 최 회장은 “라이프시맨틱스의 코어 기술들은 조금만 더 세계화를 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본다"며 “아직 논의 단계로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동남아 국가에서 시험적으로 시장을 두드려봤고, 이제 그걸 실제 계약 단계로 이어가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이 라이프시맨틱스와의 합병을 결정하게 된 주요 원인은 라이프시맨틱스의 코어 기술력이었다. 라이프시맨틱스의 디지털 헬스 플랫폼과 인공지능(AI) 기술과의 결합에 따른 커다란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겠다는 판단이었다. 우주 산업에서 스피어코리아는 경쟁사 대다수가 글로벌 기업들인 만큼 빠른 성장성과 체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과 공급망에서 경쟁하려면 자본, 규모, 신뢰도 등 기업 체력이 기본이다. 조금씩 성장하는 방식으로는 뒤처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최 회장 입장에서는 폭발적인 성장을 위해 자본시장에 보다 빠른 접근이 필요했고, 상장된 기업을 인수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최 회장은 “글로벌 경쟁을 위해 IPO된 기업을 인수해 시장의 신뢰성과 자본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며 “많은 기업 가운데 성장성과 기술력이 가장 돋보이는 곳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최근 3년 연속 영업손실이 난 라이프시맨틱스의 재무상태가 올해부터 눈에 띄게 개선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우주 사업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메디컬 플랫폼에서도 매출 개선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메디컬도 시장 트렌드가 AI로 옮겨가고 있고, 우리도 AI 역량을 강화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며 “현재 국내에서 기술력은 인정받고 있지만 매출이나 재무 성과는 아직 부족한 상황인데 이를 상쇄할 수 있는 구조를 반드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최 회장은 “합병 후 첫 해인 올해는 우선 매출액 1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매출액이 5000억원을 넘어 조 단위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빠른 성장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1일부로 스피어코리아는 라이프시맨틱스에 흡수합병됐다. 스피어코리아는 우주항공 분야 로켓 발사체의 핵심 부품용 특수합금을 개발·공급한다. 지난해부터 양사의 합병소식이 알려진 가운데, 라이프시맨틱스는 글로벌 민간 우주항공사의 1차벤더사가 됐다는 기대가 퍼지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