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 복합위기가 지속됨에 따라 기업 경영을 위협하는 다양한 리스크 요인이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성장·인구·기후를 꼽았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국내 소재 글로벌 기업 임원급 15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경협은 조사를 통해 정치·경제·사회·기술·환경 등 5대 분야 총 25개 세부 리스크 중 발생 가능성과 파급 효과를 중심으로 기업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핵심 리스크를 선정했다. 분석 결과 응답자의 21.3%가 폭염·폭설·폭우 등 극한 기후로 인한 피해를 핵심 리스크로 꼽았고, 성장 잠재력 둔화(14.8%),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13.5%)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3대 리스크 요인은 각각 '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경제), '주력 산업 분야에서의 노동력 부족'(경제), '자국 중심주의 등 세계 지정학적 리스크'(정치), '불평등으로 인한 분열·갈등'(사회), '필수 식량 자원의 고갈'(환경) 등과 강하게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5개 리스크 요인에 대한 준비 정도 평가에 대해서는 성장 잠재력 둔화·원자재 수급난·정보 유출 및 오남용·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노동력 부족의 순으로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대응 중이라고 응답했다. 상대적으로 기술 분야에서는 리스크의 시급성에 비해 상대적 기업의 준비가 적극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은 대응 주체를 묻는 설문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데, 기업 대부분(약 70%)은 기술 리스크를 제외하고는 경제・사회・정치 리스크에 대해서는 중앙정부 등 공공부문이, 환경 리스크에 대해서 국제 기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기술 분야의 이슈에 대해서는 개별 기업 차원의 대응이 가능하지만, 그 외의 분야는 정부나 국제 기구 차원에서의 정책 추진이 문제 해결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기업들이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경협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위기 시대 효과적인 리스크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강화를 대안으로 제언했다. 최근 리스크는 대내외적으로 수많은 요인들이 복잡하게 연관돼 발생하는 만큼, 개별 주체 차원의 대응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주체들 간의 역할 분담 등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는 지적이다. 한경협 관계자는 “민간 기업이 공적 리스크 영역에도 적극적으로 대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내 저출산 대책에 대한 세제 혜택과 공급망 재편을 위한 리쇼어링 지원 등 적절한 인센티브 시스템의 구축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기업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효과적 모니터링 및 대응을 위해서 '최고리스크책임자'(CRO)와 같은 전담 조직 신설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