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주가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 종목으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중간배당 시즌이 돌아오면서 관심이 쏠린다. 증권가에서는 하반기 배당 시즌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의 안정세가 맞물리면서 추가 반등 모멘텀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금융과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기업은행, 우리금융지주는 올해 들어 각각 48.32%, 40.89%, 21.86%, 17.56%, 12.23%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4.90%)를 훌쩍 웃도는 수준이다. 은행주는 올해 초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저평가 수혜 종목으로 꼽혔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낮기 때문이다.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PBR이 1배 미만이면 주가 수준이 기업의 자산 가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다. 올해 은행주 주가가 평균 25% 이상 급등했는데도 KB금융과 신한지주는 각각 0.53배, 0.45배에 불과하다. 중간배당 시즌을 맞아 배당주인 은행주에도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주는 국내서 대표적인 배당 종목이기도 하다. 분기배당을 받으려면 지난달 26일까지 매수해야했지만, 중간 배당 기업의 경우 기업이 특정 배당기준일을 정관에서 넣거나 이사회에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례가 많은 지난달 30일 기준이나, 7월 첫번째주로 배당기준일이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분기배당을 도입한 은행주는 대체로 1분기와 2분기 동일한 주당배당금(DPS)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구체적으로는 총액기준 분기 균등배당을 도입한 KB금융의 자기주식 취득 감안 시 1분기 DPS인 784원보다 5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은행주의 평균 시가 배당률은 0.8~1.3%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금융지주들이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실적)'을 기록,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낼 것이란 관측도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하반기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실제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2분기 순이익 컨센선스(증권사 평균 추정치)는 4조6421억원이다. 해당 추정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4조3765억원)대비 6%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4대 금융지주의 현재 기준 올해 순이익 컨센선스는 총 16조4590억원으로 2022년 기록한 사상 최대 실적(15조6503억원)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 동안 은행주 반등을 짓눌러왔던 홍콩H지수 ELS도 일단락되는 모습이다. 국내 금융지주들은 올해 1분기 ELS 배상 관련 대규모 손실을 반영하면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4대 금융지주가 1분기 ELS 배상 관련 충당부채로 인식한 금액만 1조3234억원이다. 당시 3월 말 홍콩H지수를 기준으로 삼았다. 현재 3월말 대비 지수가 12% 가량 오른 만큼 충당금 일부가 환입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금융지주들은 올해 2분기와 연간 실적에서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정부의 밸류업이 높고, 주주환원에 호의적인 은행주인 만큼 하반기 시장 예상 수준의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발표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점도 긍정적이다. 부동산PF 정상화 첫 단계인 사업성 평가는 오는 7월 초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다. 은행·보험업권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도 오는 8월 중순부터 가동된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PF 관련 본격적인 대손비용 영향은 하반기부터 반영될텐데, 시중 은행들의 경우 직접적인 익스포저(위험노출액)과 관련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던 부동산 PF 우려는 이달부터 점차 해소되면서 주가 반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