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윤수현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윤수현 기자 입니다.
  • 자본시장부
  • ysh@ekn.kr

전체기사

[특징주] 하이브, 2분기 최대 실적에 주가 급등…장 초반 7% 넘게 상승

하이브가 2025년 2분기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힘입어 7일 장 초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33분 기준 하이브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7.72%(2만원) 오른 27만90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는 전날 발표된 2분기 잠정 실적이 시장 기대를 웃돌면서 투자 심리가 자극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이브는 전날 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05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한 수치로, 역대 2분기 기준 최고 매출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59억원(전년 대비 +29.5%), 순이익은 155억원(전년 대비 +53.5%)으로 집계됐다. 회사 측은 “소속 아티스트들의 성공적인 월드투어와 음반·음원 판매 호조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나온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3분기 공연 관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한 15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3분기 영업이익도 819억원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세제 개편 쇼크에 ETF 수급 요동…개인도 인버스로 선회

세제 개편안 발표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초반에는 반등 기대에 레버리지 ETF를 사들였지만, 곧바로 인버스 상품으로 전략을 바꾸며 하락장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도 기존의 상승장 베팅을 접고 인버스 ETF를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전환하면서 ETF 수급 전반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은 7월 31일 'KODEX 인버스'를 94억원 순매도하고, 'KODEX 레버리지'를 973억원 순매수했다. 8월 1일에도 각각 249억원, 1914억원어치를 매매하며 기술적 반등에 기대를 걸었다. 하지만 이후 흐름이 바뀌었다. 개인은 8월 2일과 5일 'KODEX 인버스'를 각각 164억원, 123억원 순매수했고, 'KODEX 200선물인버스2X'(곱버스)도 395억원, 489억원씩 사들이며 하락장 대응에 나섰다. 같은 기간 레버리지 ETF는 각각 631억원, 713억원 순매도했다. 코스피가 이틀 연속 반등하긴 했지만, 이를 단기 반등으로 판단하고 전략을 빠르게 전환한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과 기관도 같은 기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외국인투자자는 7월 31일과 8월 1일 'KODEX 인버스'를 각각 32억원, 79억원 순매수한 반면, 'KODEX 레버리지'는 69억원 순매도했다. 이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함께 정부가 대주주 기준 강화 및 양도소득세 과세 확대를 담은 세제 개편안을 발표한 직후의 흐름이다. 실제로 8월 1일 코스피는 3.88% 하락하며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7월 말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6조원 가까이 순매수하며 상승장을 주도했던 외국인이 단기 조정을 염두에 두고 ETF 포지션을 조정한 셈이다. 기관투자가도 7월 31일과 8월 1일 'KODEX 인버스'를 각각 49억원, 189억원 순매수했고, 'KODEX 레버리지'는 같은 기간 967억원, 1914억원 규모로 순매도했다. 세제 개편에 대한 실망감은 증권가의 코스피 전망 하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나증권은 정부가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원안인 25%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 코스피 상단 전망치를 기존 3710에서 3240으로 낮출 수 있다고 진단했다. 모건스탠리는 향후 36개월 코스피 예상 밴드를 2850~3300으로 제시하며 “지수가 3000 이상을 유지하려면 개혁 정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씨티은행도 한국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며 “정부의 증시 부양 기대가 무너진 만큼 개편안은 오히려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세제 개편 여파는 외국인 수급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7월 28~29일 이틀간 하루 평균 5424억 원에 달했던 외국인 순매수는 8월 1일 833억원으로 급감했다. 코스피는 8월 2일과 5일 각각 0.91%, 1.6% 상승했지만, 이를 강세장 재개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국내 증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ETF를 활용한 외국인의 매매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ETF 수급 흐름은 향후 코스피 방향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카카오뱅크, 장 초반 강세…상반기 최대 실적에 매수세 유입

카카오뱅크가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발표하면서 6일 장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39분 기준 카카오뱅크는 전 거래일 대비 1.47% 오른 2만7650원에 거래 중이다. 장중 한때는 2만905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카카오뱅크는 이날 공시를 통해 2분기 순이익이 126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2637억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14.0% 늘며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 측은 “지속적인 고객 유입과 트래픽 확대를 기반으로 균형 있는 성장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공매도 잔고 10조 돌파…세제개편 충격에 하락 베팅 확산

정부의 세제 개편안 충격이 다소 완화되며 증시는 반등했지만, 공매도 잔고가 10조원을 돌파하며 하락 베팅이 확대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 중심의 공세가 이어지며 단기 조정 우려가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10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51% 오른 3195.27을 기록 중이다. 이는 지난 1일 정부의 세제 개편안 발표와 미국발 관세 이슈가 겹치며 코스피가 3.88% 급락한 3119.41에 마감한 뒤, 나흘 만에 70포인트 이상을 회복한 것이다. 시장 반등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공매도 잔액 급증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코스피 공매도 순보유 잔액은 7월 31일 기준 10조44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공매도 전면 재개일인 3월 31일(3조9156억원) 대비 2.5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재개 이후 최고치다. 주식 수 기준으로는 2억3869만1050주, 시가총액 대비 비중은 0.38%에 달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순보유 잔액도 1조7938억원에서 4조747억원으로 약 2.3배 증가했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하락에 베팅하는 흐름이 시장 전반에서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주(7월 28일~8월 1일) 코스피 시장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5조115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주 5거래일(7월 21~25일)의 3조6239억원보다 1조4914억원(41.2%)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이 기간(7월 29일~8월 1일) 동안 공매도 거래대금은 하루 평균 9000억~1조1000억원 수준으로 급증했고, 이달 1일 하루에만 1조381억원이 거래됐다. 이 중 기관은 3305억원, 외국인은 6989억원으로 전체 거래의 99% 이상을 차지했고, 개인은 84억원(0.8%)에 그쳤다. 현재 공매도 잔고는 2025년 3월 재개 이후 기준으로는 가장 높지만, 공매도 전면 금지 직전인 2023년 10월 4일(12조1119억원)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당시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잔고 비중은 0.63%였던 반면, 현재는 0.38%로 시장 전체에 쌓인 하방 압력은 상대적으로 완화된 상태다. 공매도 급증의 배경으로는 증시 반등에 따른 차익 실현 욕구 외에도 세제 개편에 대한 불확실성, 정책 후퇴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한 달간 공매도 거래금액 상위 종목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대형주뿐 아니라 KODEX 200 ETF도 포함돼 있어 시장 전반에 대한 하락 베팅이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미국과의 관세 합의로 대외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음에도 공매도 거래가 급증한 배경으로 정부의 세제 개편안에 대한 실망감을 지목하고 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등 항목별 세제 개편 내용이 기대에 못 미칠 것이란 우려가 투자 심리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관세 합의 이후인 지난달 31일과 이달 1일, 유가증권시장에서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각각 1조1455억원, 1조381억원에 달했다. 반면 관세 합의 이전인 직전 주에는 하루 1조원을 넘긴 날이 없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한국 증시는 미국 고용 쇼크 여진과 정부 세제 개편안 불확실성이 겹치며 당분간 변동성 장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세제 개편안 수정 없이는 외국인·기관의 공매도 물량이 지수 반등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용구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세수 증대보다 코스피 활성화에 따른 조세 수입 증가가 더 클 수 있다"며 “정부는 정책 신뢰 회복을 위한 전향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넥스트칩, 방산용 비전센서칩 개발 완료에 급등

시스템 반도체 전문기업 넥스트칩이 방산 시장 진출 기대감에 장 초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47분 기준 넥스트칩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3.90% 오른 5080원을 기록 중이다. 전장보다 620원 급등한 수치다. 주가 상승은 넥스트칩이 방산용 드론 등에 적용되는 비전센서칩 개발을 완료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매수세가 유입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넥스트칩은 이날 군사용 드론, 스마트 조준경, 무인 장갑차 등 다양한 방산 장비에 활용 가능한 비전센서칩 개발을 마쳤다고 밝혔다. 해당 센서칩은 자사의 시스템 온 칩(SoC), 아파치6(APACHE6)를 기반으로 하며, 복합센서 융합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고성능 반도체다. 아파치6는 카메라, 레이더, 이미지센서, 간접 비과시간(iToF) 센서 등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분석해 영상 인식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고해상도 비전카메라와 열화상센서가 결합된 전자광학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한 성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회사는 자체 개발한 열화상 프로세서를 기존 SoC에 통합해 센서 전문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대만 티엔유안글로벌, 미국 식써멀 등과 기술 협력이 진행 중이다. 2019년 설립된 넥스트칩은 차량용 지능형 카메라 영상처리 반도체를 주력으로 하는 팹리스 기업으로, 2022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지난해 기준 매출 323억원, 당기순손실 207억원을 기록했다. 회사는 올해 로봇·드론용 영상인식 제품군의 프로토타입 개발 및 고객 실증을 거쳐, 내년부터 매출이 본격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현대로템, 8.98조원 규모 폴란드 K2 전차 2차 공급 계약 체결 현대로템이 폴란드 군비청(Agencja Uzbrojenia)과 약 8조9814억원 규모의 K2 전차 2차 이행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약 4.37조원)의 205.2%에 달하는 대형 계약이다. 이번 계약은 2025년 8월 1일부터 2033년 12월 31일까지 약 8년 반에 걸쳐 이행될 예정이며, 대금은 기성청구 방식으로 지급된다. 계약금 및 선급금 조항도 포함돼 있다. 해당 금액은 미화 64억5958만달러를 기준 환율(1390.40원)로 환산한 수치이며, 납품 지역은 폴란드다. 회사 측은 “계약 조건 및 금액 등은 진행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에너토크, 신한울원전 3·4호기 전동엑츄에이터 2차 납품 계약… 38억원 규모 전동 액추에이터 전문업체 에너토크가 ㈜삼신과 약 38억1000만원(VAT 제외) 규모의 신한울원자력발전소 3·4호기 전동엑츄에이터 납품 계약(2차)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이는 최근 연결 기준 매출액의 15.14%에 해당하는 수치다. 계약 기간은 2025년 8월 4일부터 2027년 12월 31일까지이며, 계약금 및 선급금이 포함돼 있다. 대금은 세금계산서 발행 후 30일 이내 송금 또는 전자어음(만기 60일) 방식으로 지급된다. 대한전선, 안마해상풍력과 1816억원 규모 해저케이블 공급 계약 체결 대한전선이 안마해상풍력과 약 1816억 원(VAT 포함) 규모의 해저케이블 및 관련 자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안마 해상풍력단지 조성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해저케이블 내부망 및 악세서리 자재의 공급, 운송, 설치, 시운전(EPCI) 전 과정을 포함하는 대형 계약이다. 계약 기간은 2025년 8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며, 대금은 납품에 따라 청구 및 지급 방식이다. 계약금은 별도로 지급되지 않는다. 계약금액은 한화 1187억7930만원과 미화 3333만1000달러를 환율(1390.4원/USD) 기준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이는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의 약 5.52%에 해당한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휴비츠, 30억원 규모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 의료기기 전문업체 휴비츠가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3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계약 체결 기관은 대신증권이며, 계약 기간은 2025년 8월 4일부터 2026년 8월 3일까지다. 취득 예정 주식 수는 약 35만1288주로, 주당 기준가는 전 거래일 종가인 8540원이다. 휴비츠의 기존 자기주식 보유량은 128만1476주(발행주식의 10.54%)이며, 이번 계약은 배당가능이익 한도 내에서 이뤄졌다. 비에스제이홀딩스, 1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비상장사 비에스제이홀딩스가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약 934만5794주 규모(총 10억원 상당)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4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는 주당 107원으로, 시가 미형성 종목인 만큼 외부 평가기관 및 투자자와의 협의를 통해 산정됐다. 신주 인수인은 투자조합 '프라임원'으로, 전체 물량은 1년간 보호예수 조치된다. 납입일은 2025년 10월 31일이며, 조달된 자금은 전액 회사 운영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솔디펜스, 29.7억원 규모 'KF-21 임무컴퓨터' 공급 계약 체결 방산 전자장비 업체 솔디펜스가 한화시스템과 'KF-21 임무컴퓨터(MC)' 납품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계약 금액은 약 29억7183만원(VAT 제외)이며, 이는 회사 최근 매출액 대비 13.66% 규모다.계약 기간은 2025년 8월 4일부터 2027년 1월 29일까지이며, 납품 완료 후 10일 이내에 대금이 현금 지급된다. 생산은 전량 자체 제조 방식으로 이뤄지며, 공급 지역은 구미다. 계약 상대방인 한화시스템의 2024년 연결 매출은 약 2.8조원으로, 과거 3년간 솔디펜스와 유사 계약 이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정책 수혜 기대에…조선·방산·2차전지 ETF 거래 급증

국내 ETF 시장에서 특정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테마형 상품들의 거래가 확대되고 있다. 금리 불확실성과 기업 실적에 대한 경계감이 겹친 최근 증시 상황에서도 조선·방산·2차전지·AI 등 정책 수혜 및 산업 트렌드를 반영한 테마형 ETF에 자금 유입이 지속되고 있다. 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 ETF 거래대금 상위권은 대부분 테마형 상품으로 구성됐다. 투자자들이 개별 종목보다는 산업 테마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양상이다. 조선 업종에 투자하는 ETF의 거래대금 비중이 높았다.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최근 일주일간 약 2040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해 전체 ETF 가운데 4위를 차지했다. 이 상품은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주요 조선업체로 구성돼 있으며, 글로벌 LNG선 발주 증가와 고부가가치 선박 수요 확대 등 업황 개선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TIGER 조선TOP10 ETF는 같은 기간 1033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고, 수익률은 8.48%를 기록했다. 방위산업 관련 ETF의 거래도 활발했다. PLUS K방산 ETF는 일주일간 1238억원 규모가 거래되며 거래대금 순위 7위에 올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지역의 무력 충돌 가능성 등 지정학적 이슈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방산 기업들의 수출 확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상품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2차전지 테마 ETF는 부진한 주가 흐름에도 거래 규모는 유지됐다. KODEX 2차전지산업레버리지는 -10.77%의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거래대금은 401억원으로 집계됐다. TIGER 2차전지TOP10 ETF는 -6.21%의 수익률 속에서도 351억원 가량이 거래됐다. 테슬라와 삼성SDI 등 주요 전기차 기업의 실적 둔화와 메탈 가격 조정이 영향을 미친 가운데, 낙폭 확대에 따른 저점 매수 수요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AI 관련 ETF도 거래대금 상위권에 포함됐다. KODEX AI전력핵심심비 ETF는 최근 662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거래 상위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이 상품은 전력 인프라, AI 반도체 기술, 에너지 효율 관련 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정부의 AI 투자 확대 정책과 관련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고배당, 반도체 테마 ETF도 일정 수준 이상의 거래를 기록했다. PLUS 고배당주 ETF는 -6.36%의 수익률을 나타냈지만 거래대금은 567억원이었다. TIGER 은행고배당성장TOP10 ETF의 거래대금은 512억원으로 집계됐다. 고배당 ETF는 금리 고점 인식과 배당 수익률 기대에 따라 일부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KODEX 반도체 ETF는 338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최근 ETF 시장에서는 개별 종목보다 산업 방향성이나 정책 이슈를 반영한 테마형 상품의 거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거래대금 상위권 ETF 상당수가 테마형이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개별 기업보다는 산업 전반의 흐름에 주목하고 있는 양상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최근 개인 투자자들은 특정 종목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산업 흐름에 연계된 투자 기회를 찾기 위해 테마형 ETF를 선택하고 있다"며 “정책 수혜, 산업 사이클, 지정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테마형 ETF에 대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씨이랩, 디지털 트윈 기반 사업 확대에 7%대 강세…“피지컬 AI 선도할 것”

씨이랩이 장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4일 오전 9시 22분 기준 씨이랩은 전 거래일보다 7.03%(530원) 오른 8070원에 거래 중이다. 회사가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와의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를 본사업으로 전환하며 자동차,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로봇 등 제조업 전반으로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것이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씨이랩의 디지털 트윈 기술은 실제 제조 설비 및 환경을 가상 공간에 정밀하게 구현해 공정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기술로,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과 자체 개발한 합성 데이터 엔진(X-GEN)을 활용해 정밀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제조 과정에서의 문제를 사전에 예측·예방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씨이랩은 그간 영상 빅데이터 분석과 합성 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사업 역량을 단계적으로 키워왔다. 2021년까지 영상 프로젝트로 대규모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확보했고, 2022년에는 X-GEN 솔루션을 출시해 다양한 산업 특화 데이터를 자동 생성했으며, 2023년에는 국내 최초로 엔비디아 Omniverse Competency를 획득하고 전담 조직을 꾸렸다. 지난해에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협업을 본사업으로 전환하며 실증 사례를 확보했다. 최근에는 영상과 텍스트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업용 비전-언어모델(VLM)도 출시해 디지털 트윈과 연계하는 등, 씨이랩은 이를 통해 '피지컬 AI'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씨이랩 윤세혁 대표는 “씨이랩은 피지컬 AI의 핵심 기술인 기업용 비전-언어모델과 디지털 트윈 역량을 동시에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이라며, “반도체 산업에서의 성공적 레퍼런스를 시작으로, 다양한 제조 산업 전반으로 디지털트윈을 확대해 Physical AI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車 관세는 깎였는데 주가는 급락…기대보다 낮은 ‘심리 역설’ 작동”

관세 인하라는 전형적 호재가 자동차주엔 오히려 하락 재료가 됐다. 전날 발표된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현대차와 기아 등 주요 완성차·부품주 주가는 1일에도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명목상 관세율은 25%에서 15%로 줄었지만, 유럽·일본 브랜드 대비 2.5%포인트 우위를 가졌던 기존 FTA 효과가 사라졌다는 인식이 매물로 번지면서다. 시장에선 “기대치에 못 미친 합의는 호재보다 더 강한 실망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대차는 전 거래일 대비 1.41% 내린 21만원에 마감했고, 기아도 1.47% 하락한 10만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은 이날 현대차 51만여 주, 기아 39만여 주를 순매도했으며, 기관도 각각 69만 주, 68만 주 이상을 쏟아내며 동반 매도세를 나타냈다. 협상 직후였던 전날엔 낙폭이 더 컸다. 관세 인하 기대감이 반영된 프리마켓에서 현대차와 기아 주가는 각각 9%, 8% 안팎까지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낙관적인 반응이 먼저 나타났다. 하지만 정규장 개장 이후 분위기는 급변했다. 실망스러운 협상 결과가 확인되자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집중됐고, 주가는 빠르게 반락했다. 결국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4.48%, 7.34% 급락하며 하루 만에 낙폭을 키웠다. 자동차 부품주 전반도 동반 약세를 보였다. 같은 날 △화신은 7.29% △HL만도는 4.26% △현대모비스는 3.92% 하락 마감했다. 장 초반의 반짝 기대감은 빠르게 실망 매물로 전환되며, 협상 결과에 대한 시장의 냉정한 평가가 주가에 그대로 반영된 셈이다. 증권가는 이번 흐름을 '선반영-기대 실망-심리 역풍'의 전형적 패턴으로 보고 있다. 업계에선 이번 협상을 두고 'FTA 프리미엄'이 사라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한국은 기존 한미 FTA 덕분에 일본·EU보다 관세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었지만, 이번 협상으로 이 프레임 자체가 무너졌다는 것이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협상 결과가 투자자 예상 수준을 밑돌았고, 기존 FTA 기반의 2.5%포인트 관세 우위가 사라지며 실질적 경쟁력이 약화된다는 우려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시장 반응은 절대 수치보다 기대 대비 결과에 훨씬 민감했다. 관세가 25%에서 15%로 줄었지만, 시장 안팎에선 절반 수준인 12.5% 선까지의 인하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있었던 만큼 '2.5%포인트의 간극'이 오히려 투자 심리를 더 위축시켰다는 해석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발언도 부정적 영향을 더했다. 그는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을 더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히며 비관세 장벽 철폐 의사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외산차 진입 장벽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심리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다만 일각에선 자동차주 하락이 과도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현대차와 기아는 북미 내 생산 거점과 점유율이 높고, 전기차·하이브리드 중심의 현지 전략 모델도 확보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의 배당수익률은 5%에 육박해, 단기 조정 이후 저가 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실적 반영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차그룹은 관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 비중 확대나 가격 조정 등 대응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회복되기까지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