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가 하반기 단기 조정을 거친 뒤 내년 상반기 3600선에 다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상법 개정 등 새 정부의 자본시장 정책이 코스피를 밀어올린다는 분석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투자전략부 이사는 24일 한국거래소에서 '하반기 증시 전망'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갖고 “향후 정부 정책이 예정대로 시행될 경우를 가정해 (증시 상승 가능성을) 계산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상법 개정, 배당 분리과세 등 새 정부 정책 모멘텀이 내년 6월 지방선거 이전까지 차례대로 대기하고 있는 데다, 수출 증가율이 올해 하반기를 저점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이고, 금리 인하와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가 예상되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이재명 정부는 이사의 충실 의무를 회사에서 주주까지 확대하는 상법 개정을 비롯해 배당소득 분리과세, 자사주 소각 의무화, 30조5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및 집행, 벤처 투자 및 가상자산 촉진 등 증시·내수 부양책을 추진하고 있다. 김 이사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지정학적 위험보다는 신흥국보다 낮은 배당 성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정책 기조가 변질되지 않고 배당 성향 35%와 실질 성장률 1.5% 수준이 유지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짚었다. 이어 상법 개정 효과를 일본 사례에 빗대어 보면, 주가순자산비율(PBR) 0.4배 상승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 이사는 “일본은 2023년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종합 지수인 토픽스(TOPIX) PBR이 1.1배에서 1.5배로 36% 상승했다"며 “코스피도 상법 개정 효과로 일본과 동일한 상승률을 기록한다면 코스피가 새 정부 취임 전인 PBR 0.89배, 2600포인트에서 PBR 1.2배, 3536포인트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주식시장을 이끄는 주도주도 크게 달라지지 않으리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 지금보다 지수가 더 오르기 위해서 현재 소외된 전자, 이차전지, 자동차 등 업종의 반등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정책적 기대감이 계속되는 지주사, AI 등 업종의 랠리가 계속될 것이라고 김 이사는 평가했다. 김 이사는 “삼성전자나 이차전지, 자동차 등은 외국인 투자자의 지수 추종 자금(패시브 자금)이 유입되면서 상승하겠지만, 시장 평균보다 크게 웃도는 성과를 내긴 어려울 것"이라며 “지주사 내에서 중소형 지주사로 온기가 확산하는 등 현재 주도주 내에서 상승 탄력이 클 것"이라고 전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특징주] LG, 이틀 연속 강세…장관 후보자 낙점에 장중 급등](http://www.ekn.kr/mnt/thum/202506/news-p.v1.20250624.6888a7004de04775ba8e5970db7ccfc8_T1.jpg)
![[특징주] 에이비온, ‘兆 단위’ 항체 신약 ABN501 기술이전 계약…上](http://www.ekn.kr/mnt/thum/202506/news-p.v1.20250624.600d540af8fe4b458befb34ae49a194e_T1.png)


![[시황] 중동 위기 속 원유·환율 급등…코스피 저가 매수세 속 약보합 마감](http://www.ekn.kr/mnt/thum/202506/news-p.v1.20250623.38055f23a23947b48780ea89918b3774_T1.jpg)

![[특징주] 원화 스테이블코인 수혜 전망에 카카오페이 10%대 급등](http://www.ekn.kr/mnt/thum/202506/news-p.v1.20250507.1d7a818c1d6e460cae1da7fa41c17859_T1.png)
![[일문일답] 김정희 단장 “가덕도신공항 2035년 개항 차질 없을 것”](http://www.ekn.kr/mnt/thum/202511/my-p.v1.20251121.d38f96d6b08c467ca7cd9b2c64bc8a21_T1.png)





![[에너지 인사이트] ‘에너지 현실주의’ 급부상…한국의 딜레마](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4.0d4482667f7f44e3a4b10147070e1fde_T1.png)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EE칼럼] 다시 생각해 보는 지속가능발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590fec4dfad44888bdce3ed1a0b5760a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부동산대책, 실수요자 배려해야 효과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710f4e5ba3f5454d85edc37966c891f6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