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 공급망 설명회에 위탁기업에 해당하는 대기업 및 중견기업, 공공기관들이 대거 참여해 국내 기업들의 ESG경영 높은 관심도를 보여줬다. 지난 14일 서울 중림동 LW컨벤션 센터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동반성장위원회 주최로 열린 'ESG 지원사업 통합 설명회'에는 ESG 공급망 관리에 대비하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공공기관의 ESG 담당 직원들이 100여명이 몰릴 정도로 성황을 이뤘다. 협력사가 아닌 대기업과 공공기관 관계자들만 모인 자리였음에도 행사장 뒤쪽에 간이의자를 추가로 배치해야할 정도로 당초 주최 측의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참가한 것이었다. 그만큼 국내 기업들이 해외 거래에서 날로 요구 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ESG 공급망 관리 관련 정보에 관심과 갈증을 느끼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모습이었다. 동반위 관계자는 “예상했던 것보다 ESG 공급망 관리에 대한 대기업과 공공기관의 수요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며 “협력사 대상의 합동 설명회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없지만, 수요가 많으면 개최를 고려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는 공급망 ESG 관련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미국의 청정경쟁법(CCA),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이 대표적인 공급망 ESG 규제다. 다만 최근 미국은 파리기후협약을 탈퇴하고, EU 집행위원회도 ESG 규제입법을 완화하는 '옴니버스 패키지'를 발표하면서 산업계의 우려가 'ESG 버블'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박치형 동반위 운영처장은 “일각에선 최근 글로벌 규제 완화 기조에 대해 'ESG 버블이 꺼진 것 아니냐'고 하지만, 이는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고 생각한다"면서 “ESG 정책이 각국이 소홀히 할 수 없는 하나의 큰 흐름이라는 점은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ESG 경영의 중요성과 대응 전략 △ESG 지원사업 소개 및 질의응답 △현장간담회 등이 진행됐다. 중진공은 '중소기업 기후공시, 공급망 실사 기반 구축 사업'에 대해 발표하고. 동반위는 '대·중소 자율형 ESG 지원사업'과 '협력사 ESG 지원사업'을 안내했다. 박 처장은 “동반위는 대·중소기업이 해외수출을 하거나 외국기업과 거래시 요구되는 ESG 지표, 온실가스 산정 등 ESG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ESG경영 전반의 과제를 발굴, 지원할 계획"이라며 “공급망 ESG 전문기관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반정식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지역혁신이사도 “이번 설명회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ESG 경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글로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기부는 '공급망 ESG 혁신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업을 오는 25일까지 모집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기후공시, 공급망 실사 대응 기반 구축(ESG 플랫폼을 활용해 진단·컨설팅 지원) △민관 공동 전략형 ESG 지원(대기업과 중소기업 공동 ESG활동 수행)으로 구성돼 있다. 정희순 기자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