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1911∼2004)은 83세였던 1994년 11월 자신이 알츠하이머(노인성 치매)로 진단받았다고 발표했다. 알츠하이머의 치료 방법을 찾기 위해 아내인 낸시 여사, 美국립알츠하이머병재단과 함께 '로날드 낸시 레이건 연구소'를 1995년에 창설했다. 이후 자신의 질병 극복에 노력하고 알츠하이머 인식을 높이는 감동적인 활동을 펼치며 10년을 더 살다가 영원한 안식을 맞이했다. 1960∼1980년대 은막을 장식했던 영화배우 윤정희(1944∼2023)는 2010년 개봉된 이창동 감독의 작품 '시(詩)'에서 알츠하이머로 기억이 망가져 가던 주인공 미자 역을 맡았다. 공교롭게도 윤정희의 본명 또한 미자(손미자)였다. 2010년 당시는 윤정희에게 심하지 않은 인지장애 등 알츠하이머 초기증세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로부터 약 10년 후인 2019년에 윤정희의 알츠하이머 투병 사실이 알려지면서 팬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우리나라는 치매환자 수가 이미 100만 명을 넘어섰다. 65세 이상의 치매 유병률이 10.4%(2023년 기준)다. 올해 108만명, 오는 2039년 200만명, 2050년 270만∼3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까지 포함하면 숫자는 국가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늘어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 통계를 보면, 연간 치매 진료인원은 2019년 55만 1845명에서 매년 늘어나 2023년 67만 4963명에 달했다. 2023년만 따져보면, 남자가 19만 7960명, 여자가 47만 7003명이다. 여자가 월등히 많은데, 여성의 평균 수명이 남성보다 5∼6년 긴 것이 원인이다. 80세 이상을 비교해 보면 여성 36만 993명과 남성 12만 2331명으로 남녀간 3대 1의 큰 차이가 나타난다. 치매는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인지기능의 장애가 점진적으로 나타나 일상생활을 혼자 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한 영향을 주는 질병이다.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대한치매학회 등에 따르면, 치매는 뇌세포의 퇴화로 생기는 알츠하이머가 가장 많은데(약 55∼70% 추정), 1907년 치매를 최초로 발견한 독일의사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뇌졸중 등이 원인인 '혈관 치매'(15-20%)가 알츠하이머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하다. 파킨슨병 증세가 함께 나타나는 '루이체 치매'(10% 이상)도 적지 않다. 장기간 과음으로 발생하는 '알코올 치매'도 비중은 5% 정도이지만 50대 이후부터 비교적 이른 나이에 발생할 수 있어 문제다. 치매의 대표 초기증상은 기억력 장애다. 그런데, 보통의 기억 저하는 대개 사소한 일들에 국한돼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치매에 걸리면 기억력 저하와 함께 언어 능력, 판단력, 성격 등의 변화도 나타나 일상 자체에 장애가 초래된다. 배우자나 아들·딸의 얼굴도 알아보지 못하고, 자신이 어떻게 여기에 왔고, 왜 이 곳에 있는 지 이유를 알지 못하고, 심지어 대소변을 가리는 것도 어려워진다. 치매에 걸리면 차츰 주변의 일상과 소중한 추억들, 심지어 가족이나 친구의 이름초차 생각나지 않는 '망각의 강'을 건너면서 점점 추한 모습으로 변해가기 쉽다. 인간 존엄 자체가 무너지면서 자신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까지 피폐하게 만든다. 그래서 치매를 대하는 국민적 공감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다.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2025년의 한국! 많은 우리 어머니, 아버지가 빠질 수밖에 없는 '치매의 늪'이 점점 넓고 깊어지면서 국가사회적으로 큰 난관에 봉착하고 있다. 급속히 진행되는 인구의 고령화, 뇌기능을 파괴하는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같은 심·뇌혈관 질환의 증가, 여전히 높은 국민 음주율과 고위험 음주율 등등 도처에 '빨간불'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국가와 사회가 범국민적 치매 인프라 강화에 더 적극 나설 때다. 박효순 기자 anyto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