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우주항공청, 위성 데이터 공개부터 드론 방어까지…전방위 광폭 행보

우주항공청이 위성 정보 빅데이터 공개와 국제 위성항법 회의 개최, 불법 드론 대응 기술 실증을 동시 다발적으로 추진하며 우주와 항공 분야 전반에 걸친 광폭 행보에 나섰다. 국가 우주항공 컨트롤 타워로서 산업 생태계를 지원하고 국제 위상을 높이는 한편, 국민 안전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까지 주도하는 모습이다. 20일 우주항공청은 국가 위성 정보를 활용한 '2025 위성 정보 빅데이터 AI 학습 데이터셋' 약 15만 건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부터 추진해 온 63만 건 이상의 데이터셋 구축 사업의 일환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데이터셋은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호와 3A호, 5호가 촬영한 영상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해상 양식장 △유류 유출 △해안선 △선박 △육빙·해빙 등 해양 모니터링 △도시 확장 △산림 훼손 등을 정밀 분석하는 토지피복 변화 탐지에 특화되어 있다. 이번 대규모 데이터 공개는 국내 연구자와 산업계가 위성 영상을 활용한 AI 기술을 개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항공청은 앞으로도 새로운 수요를 반영해 데이터셋을 지속적으로 확대·공개할 방침이다. 또한 우주항공청은 부산에서 제19차 국제위성항법위원회(ICG) 연례회의를 개최하며 글로벌 우주 외교의 중심에 섰다. ICG는 UN 산하 기구로 미국 GPS·유럽 갈릴레오 등 전 세계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200여 명이 모여 기술 활용과 국제 협력을 논의하는 최고 권위의 회의다. 한국형 위성 항법 시스템(KPS)을 독자 개발 중인 우리나라는 이번 회의 유치를 통해 KPS의 위상을 높이고, 회원국 간 기술 협력의 발판을 마련했다. 회의에서는 각국의 정책 동향 공유는 물론, 저궤도·달 항법 등 미래 기술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진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KPS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위성항법 분야의 국제 협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하늘 안전망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우주항공청은 경찰청과 함께 21일 양양국제공항에서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기술'의 최종 실증을 진행한다. 이번 실증은 실제 공항 환경에서 원거리 접근 드론과 경로를 미리 공개하지 않은 '블라인드 테스트'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시스템의 실전 성능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AI가 레이더·광학·적외선 카메라 등 지상 센서와 공중의 '드론캅(Drone-Cop)' 정보를 실시간으로 융합해 최적의 무력화 방안을 제시하고, 전자적으로 제어권을 탈취해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과정이 공개될 예정이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실증 성공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 공항 등 국가 중요 시설에 즉시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우주항공청, ADEX 첫 출격…‘K-우주’ 미래 청사진 펼친다

우주항공청(KASA)이 출범 이후 처음으로 '서울 ADEX 2025'에 참가해 대한민국의 우주항공 기술 성과와 미래 비전을 선보인다. 우주항공청은 개막한 ADEX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과 함께 '우주항공관'을 공동으로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누리호 발사 성공과 달 궤도선 '다누리'의 임무 수행 등 K-우주 시대를 연 주역들이 한자리에 모여 그간의 성과를 알리고,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상징적인 무대가 될 전망이다. 우주항공관에서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달 탐사선·최첨단 위성 기술 등 대한민국 우주 개발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핵심 성과물들이 전시된다. 관람객들은 발사체부터 탐사·위성·천문 분야에 이르는 대한민국의 저력과 기술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우주항공청은 이번 전시를 통해 정부 주도를 넘어 민간 중심의 우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강력한 정책 의지를 드러낸다. 부스 내에서 우주항공 공공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고, 중소기업의 혁신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SBIR(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제도 참여 기업 세미나를 개최해 기술 보급과 산업 활성화의 활로를 모색한다. 우주항공청은 전시 기간 동안 단순한 기술 과시를 넘어 실질적인 국제 협력 강화에도 나선다. 행사 첫날인 20일에는 영국 대표단과 양자 면담을 갖고 양국 우주 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어 브라질 국영기업 알라다(ALADA)와 만나 오는 11월 첫 상업 발사를 앞둔 국내 우주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에 대한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22일과 23일에는 독일·네덜란드 항공우주센터와 연이어 양자 회의를 열고 공동 연구 및 기술 협력 확대를 논의하는 등 우주 강국들과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할 방침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이번 ADEX는 우주청 출범 이후 국민 앞에 대한민국 우주 역량을 선보이는 뜻깊은 무대"라며 “정부·연구 기관·산업계가 함께 지속 가능한 우주 강국을 만들어 가겠다"고 언급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한화, 우주서 ‘15cm 식별’ 초고해상도 SAR 위성 첫 공개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 등 한화 방산 3사가 '서울 ADEX 2025'에서 미래 전장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20일 한화그룹은 이번 전시회에 역대 최대 규모인 1960㎡의 통합 전시관을 마련하고, 우주에서 지상의 휴대폰까지 식별 가능한 초고해상도 위성부터 최첨단 AESA 레이다와 유·무인 복합 체계까지 K-방산의 미래를 이끌 첨단 기술을 공개했다. 가장 주목받은 것은 한화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실물 모형(목업)을 공개한 초저궤도(VLEO) 초고해상도(UHR) 합성 개구 레이다(SAR) 위성이다. 현재 한화시스템이 독자 개발 중인 이 위성은 400km 이하 초저궤도에서 15cm(0.15m)급 해상도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다. 이는 지상의 휴대폰이나 생수병 크기의 물체까지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현재 세계 최고로 알려진 25cm급 SAR 위성의 성능을 뛰어넘는다. 한화시스템은 이를 통해 대한민국 기술로 우주 감시정찰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포부다. '한국형 전투기의 눈'으로 불리는 AESA 레이다 '풀 패키지'도 전시됐다. 한화시스템은 KF-21에 탑재되는 AESA 레이다를 필두로 국내 최초 공랭식 기술이 적용된 무인 전투기용 레이다와 단거리 이착륙 무인기(Gray Eagle-STOL)용 소형 레이다 등을 선보였다. 특히 유럽의 레오나르도사와 공동 개발 중인 경전투기용 AESA 레이다(GRIFO-EK)가 최초로 공개돼 업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 제너럴 아토믹스(GA-ASI)와 공동 개발 중인 단거리 이착륙 무인기 'Gray Eagle-STOL' 목업을 처음 공개했다. 활주로가 열악한 환경에서도 운용할 수 있어 육·해·해병대에서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또한 유·무인 복합(MUM-T) 존에서는 한국형 궤도형 무인 지상 차량(UGV) '테미스(THeMIS-K)'를 비롯해 아리온스멧, 그룬트 등 소형 UGV 라인업을 선보이며 미래 전장에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외에도 AI 기반의 차세대 통합 방공시스템과 천궁-II, L-SAM 등에 탑재되는 핵심 센서인 다기능 레이다(MFR)도 함께 전시됐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대한항공-L3해리스 컨소시엄, ‘하늘의 지휘소’ 항공 통제기 2차 사업 따냈다

대한항공이 미국의 대표 방산 기업 L3해리스와 손잡고 공군의 차세대 항공 통제기 2차 사업을 수주했다. 20일 방위사업청은 제17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어 대한항공-L3해리스 컨소시엄을 사업 수행 업체로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하늘의 지휘소'로 불리는 항공 통제기(AEW&C) 4대를 2032년까지 공군에 도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주 계약자인 L3해리스는 이스라엘 IAI ELTA와 협력해 최첨단 임무 장비를 개발하고, 대한항공은 국내 파트너로서 사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항공은 우선 기본 항공기인 봄바디어의 글로벌 6500 4대를 구매해 L3해리스에 제공한다. 이후 1·2호기 공동 개발에 참여하고 3·4호기는 국내 시설에서 직접 개조 작업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최신 특수 임무 항공기의 개조·통합·정비 기술을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항공 통제기는 고성능 레이더로 국토 전역의 주요 목표물을 탐지·분석하고 공중에서 아군 전투를 지휘하는 핵심 항공 자산이다. 이번에 도입될 항공기는 AI 기반의 최첨단 레이더 기술을 탑재해 더 높은 고도에서 더 빠르고 오래 비행하며 대한민국 영공을 감시하게 된다. 대한항공은 지난 50여 년간 군용기 개발·양산·정비·성능 개량 사업을 수행해 온 국내 최고의 항공 방산 기업이다. 미 공군의 F-15·F-16 전투기는 물론, 우리 군 항공기까지 총 5500여 대의 항공기를 정비·개량하며 기술력을 입증해왔다. 최근에는 9613억원 규모의 UH-60 헬기 성능개량 사업과 1조7775억원 규모의 전자전기 사업에서도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되는 등 방산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선도 기업으로서 국방력 강화를 위한 대형 특수임무기 산업 기반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MQ-28, KF-21과도 협력 가능”…보잉, 유·무인 복합 ‘미래 공중전’ 제시

“이제는 특정 전투기의 속도나 탑재량 같은 개별 성능이 중요한 시대가 아닙니다. 위성부터 전투기, 무인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스템이 하나의 거대한 팀을 이뤄 어떻게 유기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느냐가 미래 공중전의 성패를 가를 것입니다." 20일 경기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현장에서 보잉 코리아는 미디어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랜디 로티(Randy Rotte) 보잉 인도·아시아·태평양·동남아시아 지역 사업 개발 총괄은 '패밀리 오브 시스템즈(Family of Systems)' 개념을 소개하며 미래 공중전의 청사진을 이같이 제시했다. 유인기와 무인기가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각자의 강점을 극대화하며, 인간 조종사의 부담은 획기적으로 줄이는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님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날 보잉은 △MQ-28 '고스트 뱃' △F-15 전투기 △E-7 공중 조기 경보 통제기를 중심으로 한 공중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패밀리 오브 시스템즈'의 최선봉에는 보잉 호주 법인이 개발한 자율형 무인기 MQ-28 '고스트 뱃'이 선다. 협업 전투기(CCA, Collaborative Combat Aircraft)로 불리는 이 무인기는 기존에 인간이 원격으로 조종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고도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로티 총괄은 “조종사가 지상 통제소나 유인기 후방석에서 태블릿을 이용해 MQ-28에 '방어 제공 임무'와 작전 구역과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 등 대강의 임무 지침만 내리면 이후 이륙부터 임무 수행·착륙까지 모든 과정을 스스로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호주에서 진행된 테스트에서 MQ-28은 단 두 번의 마우스 클릭만으로 활주로 이동·이륙·정찰 임무 수행·착륙 후 지정된 장소로의 이동과 엔진 정지까지 완벽하게 해냈다. MQ-28은 2021년 첫 비행에 성공한 이래 4년간 150회 이상의 비행과 2000시간 이상의 디지털 환경 비행 데이터를 축적하며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왔다. 로티 총괄은 “현재 존재하는 CCA 플랫폼 중 가장 성숙한 단계에 와있다"고 자신하며 “올해 연말까지 공대공 미사일 실사격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시험 역시 사전에 입력된 교전규칙(Rules of Engagement)에 따라 표적 탐지, 추적, 교전 결정 등 전 과정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또한 MQ-28은 임무에 따라 기체 전방 부분을 통째로 교체하는 '모듈식 설계'를 채택해 정찰(ISR) 임무용 장비와 공중전 임무용 장비를 수십 분 내에 바꿔 장착할 수 있는 유연성까지 갖췄다. 이는 F-15와 같은 유인 전투기 비용의 일부에 불과한 가격으로 생산되어, 조종사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고위험 임무에 먼저 투입될 수 있다. 알랜 가르시아(Alain Garcia) 보잉 코리아 방산 대표는 현대화된 F-15의 역할을 미식 축구의 '쿼터백'에 비유했다. 과거 단독으로 '킬 체인(Kill Chain)'을 수행하던 것에서 벗어나 이제는 E-7 사령탑의 작전 지시를 받아 MQ-28과 같은 팀원들을 지휘하며 거대한 '킬 웹(Kill Web)'을 완성하는 야전 지휘관이 된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최신 F-15는 의도적으로 복좌형(2인승)으로 설계됐다. 후방석 조종사는 무인기를 통제하고 전장 상황을 관리하는 임무에 집중함으로써 전방석 조종사가 오롯이 전투기 조종과 교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끊임없이 쏟아지는 전장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 및 항공전자 장비가 대폭 업그레이드 됐고 향후 새로운 위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수 주에서 수개월 내에 새로운 기술을 통합할 수 있는 개방형 아키텍처로 설계됐다. '하늘의 지휘소'로 불리는 E-7 공중 조기 경보 통제기는 이 모든 시스템을 지휘하는 '헤드 코치' 또는 '사령탑'의 역할을 맡는다. E-7은 우주 위성을 포함한 육·해·공의 다영역(multi-domain)에서 수집된 방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융합하고 분석해 아군 모두가 동일한 전장 상황을 공유하는 '공통 전술 상황도'를 제공한다. 기체 내부에 10개의 항공관제사 좌석을 갖추고 있어 공중전 지휘·수색·구조 등 여러 유형의 임무를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막강한 능력을 자랑한다. 가르시아 대표는 “E-7이 수립한 게임 플랜이 F-15 쿼터백에게 전달되고, F-15는 현장에서 MQ-28을 직접 통제하며 임무를 완수하는 완벽한 팀플레이가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브리핑에서는 소수의 E-7과 같은 핵심 자산에 의존하는 네트워크 중심 체계가 적의 공격에 무력화될 수 있다는 취약점에 대한 질문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가르시아 대표는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은 맞지만 이는 오히려 적이 우리의 전체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것을 훨씬 더 복잡하게 만든다"고 답했다. 그는 “거미줄(Web)의 한 부분이 공격받더라도 다른 경로와 다른 자산을 통해 킬 체인을 완성할 수 있다"며 “이는 적에게 어떤 것을 먼저 공격해야 할지 알 수 없는 복합적인 시나리오를 강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티 총괄 역시 이를 “적에게 '다중 딜레마(multiple dilemmas)'를 안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보잉은 이러한 '패밀리 오브 시스템즈'가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성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가르시아 대표는 “MQ-28은 보잉의 항공기가 아니더라도 연동이 가능하다"며 한국이 개발 중인 KF-21 전투기와도 충분히 한 팀을 이룰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두 시스템이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만들 수만 있다면, 어떤 플랫폼과도 협력이 가능하다"고 언급해 향후 한국 공군과의 협력 가능성도 열어뒀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르포] 미래 전장의 서막…ADEX 2025 키워드는 ‘AI·무인·우주’

미래 전장의 해법을 제시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가 역대 최대 규모로 막을 올렸다. 20일 국내외 방산 관계자들로 북적이던 경기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은 인공 지능(AI)·유무인 복합 체계(MUM-T)·우주 기술이 단순한 구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왔음을 증명하는 경연장이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방산 기업들은 저마다의 청사진을 내걸고 총성 없는 전쟁에 나섰다. 각 부스에서 오가는 대화와 첨단 무기체계의 위용 속에서 K-방산의 현재와 미래를 엿봤다. 한화그룹 방산 3사의 거대한 부스에 들어서자 지향점이 명확히 드러났다. '내일을 위한 AI 국방(AI Defense for Tomorrow)'라는 슬로건 아래 육·해·공·우주를 아우르는 모든 무기체계에 AI를 접목하려는 야심이 엿보였다. 가장 눈길을 끈 것은 'K-9 솔루션' 존에 전시된 K-9 자주포의 진화 로드맵이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K-9A2는 포탑 자동화로 운용 병력이 3명으로 줄고, K-9A3는 완전 무인화된다"고 설명했다. AI 기술을 통해 1대의 사격 지휘 장갑차가 최대 3문의 K-9A3를 자율적으로 통제하는 미래 전장의 모습이 그려졌다. MUM-T 존에서는 유럽 최대 무인차량 기업과 협력해 한국 지형에 최적화한 궤도형 무인 지상 차량(UGV) '테미스-K'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스페이스 존에서는 다음 달 4차 발사를 앞둔 누리호 모형이 관람객을 맞았다. 한 관계자는 “2032년쯤 재사용 발사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우주를 향한 비전을 밝혔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부스의 핵심 화두는 단연 'MUM-T'였고, 이목을 끈 것은 이번에 처음 실물 크기로 공개된 다목적 무인기(AAP)였다. KAI 관계자는 “해당 무인기가 나중에는 KF-21이나 FA-50과 함께 임무를 수행할 '윙맨'이 될 것"이라며 “사람이 조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 개발 중인 'AI 파일럿'이 탑재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AAP는 자폭·기만·표적기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미래 공중 전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회전익 존에서는 육군 항공의 새로운 주력이 될 소형 무장 헬리콥터(LAH) 실물이 위용을 뽐냈다. LAH 역시 헬리콥터에서 사출되는 무인기(ALE)와 함께 작전을 펼치는 '헬리콥터 MUM-T'로 진화하고 있으며, 2030년 실제 운용을 목표로 연구가 한창이다. 한편에선 관람객들이 AI 파일럿과 직접 공중전을 벌여볼 수 있는 시뮬레이터가 긴 줄을 만들며 인기를 끌었다. 대한항공 부스는 미래 항공 기술의 집약체였다. 그중에서도 단연 주인공은 이번 ADEX에서 최초로 공개된 저피탐 무인 편대기(LOWUS) 시제기였다. 유인 전투기 1대와 무인기 3~4대가 편대를 이뤄 감시·정찰·정밀 타격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MUM-T의 핵심 기체다.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관계자는 “지금 보시는 것이 실제 크기의 2호기이고, 1호기는 현재 지상 시험 중"이라며 “2026년 상반기에 단독 초도 비행을, 2027년에는 유·무인 복합 비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다연장 로켓에서 최대 9발을 연속 발사하거나 항공기에 장착해 공중에서 미사일처럼 투하할 수 있는 소형 협동 무인기(KUS-FX) 목업도 큰 관심을 받았다. 현재 대한항공은 AI 기술 선도 기업인 미국 안두릴 등과 협력해 무인기가 스스로 판단하고 임무를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탐지-방어-장악-지배-지휘'라는 5개 구역으로 구성된 LIG넥스원 부스는 자사의 미래 전장 비전을 명확하게 제시했다. 특히 KF-21에 탑재될 국산 항공 무장 체계가 전면에 나섰다.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을 필두로 장거리·단거리 공대공 유도탄이 위용을 드러내며 '자주 국방'의 의지를 과시했다. LIG넥스원이 제시한 'K-방공망 벨트' 비전도 주목할 만하다. 고고도 요격 체계 'L-SAM'부터 천궁-II(중고도)·해궁(함대공)·장사정포 요격 체계(LAMD)에 이르기까지 고도별로 촘촘하게 짜인 다층 방공망을 전 세계에 수출하겠다는 포부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단순히 유도탄뿐만 아니라 전자전과 감시 정찰 등 모든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또 적의 방공망을 무력화해 아군 전투기의 생존성을 보장하는 '하늘의 수호자' 전자전기 사업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이 사업은 8년 반에 걸쳐 개발이 진행되는 것으로 2034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상 무기 체계의 강자 현대로템은 이번 ADEX를 통해 '지상에서 우주까지'를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아우르는 종합 방산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과연 지상을 넘어 우주로, 내연 기관을 넘어 수소 동력으로 향하는 현대로템의 야심찬 비전이 전시장에 가득했다. 부스 전면에는 세계적 추세인 재사용 발사체에 적용될 메탄 엔진과 극초음속 비행체의 핵심인 이중 램제트 엔진 등이 전시돼 관람객의 발길을 잡았다. 물론 기존 주력 제품군의 진화도 멈추지 않았다. 폴란드 현지 수요에 맞춰 능동 방호 장치(APS) 등을 탑재한 폴란드향 K-2 전차(K-2PL) 실물이 최초로 공개됐고 수소 연료 전지를 기반으로 한 무인 플랫폼 '블랙 베일'(Black Veil)도 처음으로 베일을 벗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블랙 베일은 저소음 기동이 가능해 은밀한 임무 수행에 적합하다"며 “이 기술을 향후 차륜형 장갑차나 전차 등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포토 뉴스] ADEX 2025서 자사 전시품 살펴보는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공병호 상무

20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소재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제15회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아덱스)에서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부회장, 왼쪽에서 두 번째)와 공병호 사업기획부 담당(상무)가 자사 부스에 전시된 방산 제품군을 둘러보고 있다. 이날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는 현장에서 저피탐 무인 편대기(LOWUS) 실물을 최초 공개했고 △전투기 협업 다목적 무인 항공기(KUS-FX) △중고도 무인기(MUAV) △소형·중형 자폭 무인기(Loitering Munition) △항공 통제기(AEW&C) 모형을 배치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포토 뉴스] ADEX 2025 현장 시찰하는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

20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소재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제15회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아덱스)에서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부회장, 왼쪽에서 두 번째)와 공병호 사업기획부 담당(상무)가 자사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이날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는 현장에서 저피탐 무인 편대기(LOWUS) 실물을 최초 공개했고 △전투기 협업 다목적 무인 항공기(KUS-FX) △중고도 무인기(MUAV) △소형·중형 자폭 무인기(Loitering Munition) △항공 통제기(AEW&C) 모형을 배치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국감 2025] “속 빈 韓 조선업 경쟁력···LNG선 화물창 로열티 30년간 7조4000억원”

우리나라 조선소들이 지난 30년 동안 액화천연가스(LNG)선 화물창 로열티로 프랑스 GTT사에 지불한 금액이 7조409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9년까지 지급해야 할 금액도 3조원 넘게 쌓여있다. 20일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가스공사,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등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 조선사들이 GTT에 지불하는 로열티는 통상 선가의 평균 5%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건조이익의 3분의 1에서 절반 수준에 달하는 규모다. 우리나라는 LNG선 핵심기술인 화물창(저장탱크) 기술 국산화를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선박을 수주할 때마다 원천기술을 독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 GTT사에 기술 사용료를 내야 한다. GTT사에 기술 사용료를 지불하는 멤브레인형(선체일체형) LNG 운반선은 1995년 한진중공업이 건조한 '한진평택 호'가 시작이었다. 한국 조선사들은 이후 1999년까지 3척의 LNG선을 더 건조했다. 그러다 2000년대에는 143척, 2010년대에는 203척으로 수주 규모가 급증했다.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는 5년여만에 230척의 계약을 따냈다. 지난 30여년 동안 우리 조선사들이 만든 LNG선은 총 579척이다. 로열티 규모(7조4097억원)는 클락슨리서치 기준 각 년도 LNG선 평균선가와 한국은행의 평균 달러-원 환율을 감안하고 건조가격의 5%를 적용해 계산했다. 업체별로는 HD한국조선해양이 178척에 2조4847억원, 삼성중공업이 188척에 2조3993억원, 한화오션이 202척에 2조4050억원을 썼다. 여기에 조선 3사가 이미 수주를 완료해 2929년까지 건조할 예정인 LNG선은 모두 162척이다. 현재 선가와 환율 수준을 적용해 추산한 GTT 로열티는 2조9332억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LNG 화물창 기술은 액화수소·암모니아·이산화탄소 등 차세대 선박으로 기술 확장성이 높은 게 특징이다. 한국가스공사와 주요 조선사는 2004년부터 관련 기술 국산화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김 의원은 “한국형 LNG선 화물창 기술 개발은 K-조선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원"이라며 “산업통상부가 무한 책임을 지고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한국가스공사, 조선사, 해운사 등과 원팀을 가동해 국산화의 최종적인 성공을 위해 입체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이스타항공, 19호기 B737-8 도입…연내 20대 체제 갖춘다

이스타항공이 19번째 항공기로 보잉의 B737-8 기종을 새로 도입하며 기단 확대에 속도를 낸다. 오는 12월 20호기까지 도입을 완료하면, 전체 항공기의 절반을 신기재로 채우게 된다. 이스타항공(대표 조중석)은 지난 17일 189석 규모의 B737-8 항공기 1대를 추가 도입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19호기는 제작 완료 후 이스타항공에 처음으로 인도된 신규 항공기로 이에 따라 이스타항공의 항공기 평균 기령은 7년대로 낮아졌다. 이스타항공은 오는 12월 중 20호기를 추가로 도입해 연내 20대 기단 체제를 완성할 계획이다. 20호기 도입이 완료되면 신규 항공기가 전체 기단의 50%를 차지하게 돼 기단 현대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새로 도입된 항공기는 통합 항공사 출범에 따라 이관받는 노선과 신규 취항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B737-8 기종은 기존 항공기 대비 연료 효율과 탄소 배출량이 약 20% 개선된 고효율 친환경 항공기"라며 “신기종 도입을 통한 점진적 기단 현대화로 원가 절감과 운항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