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세종시 어진동에 건립 예정인 데이터센터를 둘러싸고 지역사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세종시의회 이순열 의원은 지난달 25일 세종시와 오케스트로클라우드 간의 데이터센터 건립 투자협약과 관련,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0일 이순열 의원은 “데이터센터는 전자파, 소음, 열 등 유해성 논란이 있는 만큼, 단순한 투자 유치나 공실 해소 효과에 앞서 시민 안전을 위한 철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시에 따르면 해당 데이터센터는 기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임차 공간으로, 2023년 6월 임대 계약 만료 후 현재 공실 상태다. 시는 데이터센터 유치를 통해 상가 공실 해소, 고용 창출, 연간 약 34억 원의 세수 확보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 의원은 이러한 시의 주장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해당 데이터센터는 이미 과기정통부 임차 만료 전인 2023년 5월에 용도 변경 승인이 완료된 상태"라며, “상가 공실 해소 효과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또한 “2024년 8월에 신설된 기업의 고용 창출 및 세수 확보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없이 섣부르게 시정 홍보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집행부가 제출한 자료에 대해서도 투명성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집행부가 중요 사항에 대해 '비밀'을 이유로 공개를 거부하고, 업체 측의 입장만 옹호하고 있다"며, “협약서에는 시민 안전이나 지역 주민 채용 등 지역 사회 환원을 위한 내용이 전혀 담겨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특히 해당 데이터센터는 타 시도와는 달리 정부세종청사와 인접한 중심상업지역에 위치할 예정이어서 우려가 더욱 크다. 이 의원은 “1km 이내에 거주하는 2만 5천여 명의 주민과 인근 학교 학생들의 안전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데이터센터의 안전성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국적으로 데이터센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들이 '혐오시설'로 인식하지 않도록 충분한 설명과 설득이 필요하다"며, “확인되지 않은 효과나 시설 규모만 내세우기 전에 시민을 위한 행정을 펼쳐달라"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이 의원은 시설의 유해성에 대한 지역 주민 설명회 개최를 요구하며, 사용 승인 이전에 유해성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elegance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