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윤수현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윤수현 기자 입니다.
  • 자본시장부
  • ysh@ekn.kr

전체기사

[특징주] 로봇株 불붙었다… 제닉스로보틱스·로보스타·로보로보 동반 급등

로봇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오후 제1차 핵심규제합리화 전략회의를 주재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핵심규제합리화 전략회의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신설된 민관합동 규제혁신 플랫폼으로, 신산업 성장을 가로막는 각종 규제 완화를 논의하는 자리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41분 기준 제닉스로보틱스는 전 거래일 대비 20.15% 오른 1만4610원에 거래되고 있다. 로보스타도 18.73% 급등한 3만7400원에 거래 중이다. 휴림로봇은 10.10% 상승한 3325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로보로보는 8.89% 오른 69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해성에어로보틱스 역시 7.50% 상승한 7310원에 거래되며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청년 세대의 일자리 창출과 미래 신산업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규제 개선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특히 인공지능(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활용 규제 완화, 공공 데이터 개방 확대, 자율주행 로봇 도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정비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자율주행 로봇 시범 운행을 위한 실증 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산업 현장에서 로봇 도입을 가로막는 불필요한 규제를 일괄 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규제혁신을 강조한 점이 신산업 성장 기대감으로 이어지면서 관련 종목들의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엔터주 뽀개기] 3년간 급격한 롤러코스터…HYBE·JYP·SM·YG 주가 변동사

국내 4대 엔터주는 지난 3년간 극심한 변동성을 겪었다. 글로벌 팬덤 확장과 신인 그룹 성공은 주가를 끌어올렸지만, 아티스트 논란·실적 부진·경영권 갈등이 불거질 때마다 낙폭도 컸다. HYBE·JYP·SM·YG의 주요 사건과 주가 흐름을 짚었다. 하이브는 2022년 10월 14일 10만7000원까지 밀리며 저점을 기록했다. BTS 군입대 공백과 업종 불황, 전역 일정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짓눌렀던 시기다. 2023년 들어 반등세가 나타났다. 8월 4일 증권사들이 하이브를 업종 최선호주로 꼽으며 단 하루 만에 2만4000원(+9.7%)까지 올라 24만8000원에서 27만2000원으로 뛰었다. 세븐틴·르세라핌·뉴진스 등 신인 라인업 성과가 주효했다. 그러나 2024년 4월 '뉴진스 사태'가 터지며 19일 주가는 23만500원에서 하루 만에 약 –12% 급락, 약 20만2000원으로 내려앉았다. 8월에는 '실적 부진·구설수' 기사가 나오며 나흘간 –11.3% 하락(18만3800원→16만3100원)했다. 같은 해 11월 뉴진스 멤버 전속계약 해지 선언 후에는 추가로 –8.1% 밀리며 15만 원대 중반까지 떨어졌다. 2025년에는 반전이 일어났다. 6월 9일 'BTS 전역 D-1' 보도가 나오자 하루 만에 1만7500원(+6.2%) 올라 30만2000원을 기록했고, 7월 4일에는 32만3000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황지원 iM증권 연구원은 “2분기 영업이익이 659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며 “BTS 완전체 활동은 다소 지연됐지만, 내년 이후 투어와 MD·라이선싱 매출 극대화, 신인 그룹의 가파른 수익화가 더해질 경우 2026년 영업이익이 사상 최대치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JYP는 2023년 여름 고점을 찍은 뒤 가파른 조정을 겪었다. 6월 19일 ITZY의 새 앨범 Kill My Doubt 발표 직후 주가가 하루 만에 2700원(+2.0%) 올라 13만6100원에서 13만8800원을 기록했고, 11월 13일에는 미국 라이브네이션과 글로벌 투어 파트너십을 맺으며 해외 공연 기대감이 커졌다. 그러나 2024년 들어 앨범 판매 성장세가 둔화되며 '팬덤 소비 피크아웃' 우려가 커졌다. 9월 13일 주가는 4만3100원까지 밀려, 2023년 고점(13만8800원) 대비 –69.0% 급락했다. 다만 7월 18일 스트레이키즈 전원 조기 재계약 소식으로 이틀간 반등해 5만9000원을 기록, 저점 대비 +36.9% 상승했다. 이어 11월 15일 3분기 실적이 매출 +22%, 영업이익 +10%를 기록하며 하루 만에 2600원(+4.6%) 올라 5만9400원으로 마감했다. 2025년에는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6월 23일 글로벌 송라이터 오디션 개최 발표 이후 주가는 7만 원대 중반까지 올랐고, 8월 14~15일 2분기 실적이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자 주가는 한때 8만3100원까지 치솟았다. 이화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JYP는 2분기 영업이익률이 업계 최상위 수준을 기록하며 펀더멘털이 확인됐다"며 “글로벌 투어와 신인 그룹 흥행, 해외 파트너십 효과가 하반기에도 이어져 안정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SM은 2023년 초 경영권 분쟁이 주가를 흔들었다. 1월 15일 '글로벌 수준 지배구조' 도입을 발표하면서 7만4000원대였던 주가는 1월 말 8만8000원까지 올랐다. 2월 10일 하이브가 이수만 전 총괄의 지분 14.8%를 인수하자 주가는 하루 만에 1만6200원(+16.4%) 급등, 9만8500원에서 11만4700원으로 뛰었다. 이어 카카오가 공개매수를 선언하며 3월 7일 주가는 14만9700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3월 말 카카오 측이 경영권을 확보하고, 3월 14일 금감원 시세조종 조사 보도까지 나오면서 주가는 9만원대 초반으로 밀렸다. 2024년에는 실적·아티스트 리스크가 발목을 잡았다. 5월 1분기 실적 부진, 8월 업종 전반 약세, 8월 29일 NCT 태일 성범죄 의혹 등이 이어지며 주가는 5만원대까지 떨어졌다. 2025년에는 회복세가 뚜렷했다. 1~2월 중국 '한한령' 완화 기대감으로 주가가 10만 원대로 복귀했고, 7월 31일 자회사 SM스튜디오스 흡수합병 결의에 하루 만에 9600원(+7.8%) 올라 12만3500원에서 13만3100원을 기록했다. 이어 8월 6~7일 발표된 2분기 실적이 매출 +19%, 영업이익 +92.4%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주가는 13만7400원까지 올랐다. 채윤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SM은 특정 아티스트에 편중되지 않고 다변화된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실적 구조를 확보했다"며 “2025년에는 디어유 편입 효과와 글로벌 공연 호조로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YG는 2023년부터 ESG 활동을 본격적으로 공개했다. 7월 4일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표한 직후 주가는 7만7300원에서 8만700원으로 하루 만에 3400원(+4.4%) 올랐다. 하지만 단발성 효과에 그쳤고, 2024년 7월 두 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표 때는 주가 반응이 미미했다. 블랙핑크 재계약 불확실성과 신인 베이비몬스터 부진까지 겹치며 주가는 6만 원 초반까지 떨어져, 2023년 고점 대비 –24.4% 하락했다. 2025년 들어 반등이 시작됐다. 6월 1일 계열사 넥스트웨이브코퍼레이션 청산 소식에 직전 거래일(5월 30일) 8만1100원이던 주가가 6월 2일 8만6000원(+6.0%)으로 뛰었다. 이어 8월 발표된 2분기 실적은 매출 1004억원, 영업이익 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8월 7일 8만9200원이던 주가는 8월 11일 10만4300원으로 나흘 만에 1만5100원(+16.9%) 뛰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증권사 목표가 상향도 이어졌다. 김유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YG는 블랙핑크·베이비몬스터 등 핵심 IP 활동이 집중되는 하반기부터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며 “특히 MD·IP 라이선싱 매출 확대와 글로벌 투어 모멘텀이 맞물려 영업이익이 컨센서스(742억원)를 웃도는 869억원 수준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엔터주는 아티스트 활동 일정, 앨범 초동 판매량, 공연 매진률 등 팬덤 소비 지표가 단기 주가를 크게 좌우한다"며 “장기적으로는 IP 다변화와 글로벌 확장 전략, 위버스 같은 플랫폼 매출이 실적 안정성을 좌우하는 만큼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마감시황] 코스피, 3395.54 마감…사흘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사흘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3390선을 넘어섰다.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나란히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우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51.34포인트(1.54%) 오른 3395.54에 마감했다. 지수는 장 초반 3374.65(0.91%↑)로 출발해 상승 폭을 확대했다. 이달 2일 이후 9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같은 기간 8% 넘게 올랐다. 투자 주체별로는 외국인이 1조4355억 규모를 사들이며 5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보였다. 기관도 6119억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6거래일 연속 매수 우위를 유지했다. 반대로 개인은 약 2조287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체로 강세였다. SK하이닉스는 7.00% 급등한 32만8500원으로 마감해 장중·종가 기준 모두 최고가를 경신했고, 삼성전자는 2.72% 오른 7만5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LG에너지솔루션(1.57%) △KB금융(1.45%) △네이버(1.29%) △카카오(9.35%)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HD현대중공업(-1.35%) △기아(-0.66%) △한화에어로스페이스(-0.30%) 등은 약세였다. 업종별로는 금속(3.97%), 전기·전자(3.47%), IT서비스(3.10%)가 강세를 보였고, 전기·가스(-1.38%), 건설(-0.83%) 등은 내림세를 나타냈다. 글로벌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도 국내 증시 랠리에 힘을 보탰다. 씨티증권은 마이크론 목표주가를 140달러에서 175달러로 25% 상향 조정하며 AI 수요와 클라우드 서비스업체(CSP) 설비투자 확대를 근거로 제시했다. 미국에서는 오라클의 매출 성장 기대가 불거지면서 반도체 업종 강세가 나타났고, 이 흐름이 국내 증시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박스피를 뚫고 상승 추세에 들어선 코스피는 미국 금리 인하 기대와 채권금리 하락에 따른 외국인 매수세 유입이 주된 배경"이라며 “주도주의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같은 날 코스닥지수도 12.32포인트(1.48%) 오른 847.08에 마감하며 9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75억원, 938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2651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권에서는 △알테오젠(3.91%) △에코프로비엠(1.80%) △에코프로(1.03%) △레인보우로보틱스(1.90%) 등이 상승했다. △파마리서치(-1.38%) △펩트론(-1.29%) △HLB(-0.26%) △삼천당제약(-0.70%) 등은 내렸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3.6원 내린 1388.2원에 거래를 마쳤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농심, ‘케데헌’ 협업 효과에 장 초반 급등세…52주 신고가 경신

농심 주가가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와의 협업 효과에 힘입어 장 초반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38분 기준 농심은 전 거래일 대비 6만원(12.30%) 오른 54만8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 한때 57만9000원까지 치솟으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앞서 농심은 지난달 29일 케데헌 캐릭터를 적용한 '한정판 신라면' 1천세트를 자사 온라인몰에서 선보였고, 판매 시작 1분 40초 만에 완판됐다. 현재 2차 사전 예약을 진행 중이며, 미국 현지 출시도 계획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케데헌 효과가 하반기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심은주 하나증권 연구원은 “농심 주가는 협업 발표 이후 10% 이상 상승했다"며 “시장 점유율 확대와 3분기 판가 인상 효과가 반영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김진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작품 속에서 신라면, 새우깡 등이 직접 노출돼 농심의 지속적인 수혜가 예상된다"며 “특히 9월부터 협업 제품 실적 기여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는 이번 협업을 계기로 농심이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처럼 해외시장에서 스테디셀러를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李 대통령 “주가조작하면 패가망신…대주주 양도세 고집 안 해”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자본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강경한 메시지를 던졌다. 주가조작에 대해서는 원금 몰수까지 집행하겠다고 못박았다. 대주주 양도세 기준 강화 문제에 대해서는 시장 심리를 고려해 고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지금(은) 주가 조작해서 이익 본 것만 몰수하는데 주가 조작 원금까지 싹 몰수하겠다"며 “주가 조작, 부정공시 하는 거 아주 엄격하게 처벌해서 주가 조작하면 패가망신한다는 걸 확실하게 보여주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합동 조사본부도 잘 만들어져서 거의 실시간 점검하고 발견되면 신속하게 처벌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이익이 안 나더라도 투입 원금을 몰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행법상 불법이익만 몰수·추징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원금 몰수 제도 자체는 이미 존재한다. 다만 '과도하다'는 이유로 실제 적용하는 사례는 드물었다.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지난 7월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가 합동대응단을 출범시키며 시장 감시를 강화한 흐름과 맞물려, 제도 집행 의지를 다시 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 양도소득세를 내는 대주주 요건에 대해서는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정부는 앞서 상장주식에 대한 양도세 부과 대상을 종목당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추는 세제 개편안을 발표했지만, 시장 위축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다. 이 대통령은 “한 개 종목에 50억원을 사는 사람은 없는데, 50억원까지 면세해야 하느냐는 생각을 지금도 한다"면서도 “주식시장은 심리로 움직인다. 굳이 10억원으로 반드시 내려야겠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제도적 필요성엔 공감하지만, 시장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한다면 조정 가능성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된다. 연기금 투자와 관련해서도 의견을 내놨다. 국민연금은 2025년 6월 말 기준 운용자산 1269조원 가운데 해외주식 35.2%(447조원), 국내주식 14.9%(189조원)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기 목표에서도 국내 비중을 줄이고 해외 비중을 늘릴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국내 주식시장을 국민들이 매우 불신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지는 시점에 국내 주식을 팔면 폭락할 수 있다는 답을 들었다"며 “내가 주식하던 사람인데 이해가 안 된다. 기회가 되면 연기금 운용담당자에게 직접 물어보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나는 말한 건 반드시 지킨다"며 “주가조작하면 패가망신한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겠다"고 거듭 경고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상폐 앞두고 장 초반 급등…우선주도 상한가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주가가 자진 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 마무리 이후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34분 기준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전 거래일 대비 755원(21.54%) 오른 4260원에 거래 중이다. 장중 한때 4445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우선주인 코오롱모빌리티그룹우는 전일 대비 2,000원(29.94%) 급등한 8680원에 거래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앞서 코오롱은 지난 10일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지분 공개매수 결과를 발표했다. 보통주 90.37%, 우선주 73.51%를 취득했으며, 특수관계자 지분을 포함하면 지분율은 90.48%에 달한다. 코오롱은 추가 공개매수 없이 내년 1월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 상장폐지를 추진할 예정이다. 교환 비율은 보통주 기준 코오롱 1주당 코오롱모빌리티그룹 0.0611643주, 우선주는 0.1808249주다. 현재 주가 기준으로 환산 시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보통주 1주는 약 2600원, 우선주 1주는 약 3950원어치 코오롱 주식으로 교환된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대성파인텍이 약 28억원 규모의 제4회차 전환사채(CB)를 발행한다. 회사는 이번 조달 자금을 운영자금과 자회사 투자에 활용할 방침이다. 10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성파인텍은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를 발행하기로 했다. 발행 총액은 28억원이며, 표면이자율은 0.0%, 만기이자율은 5.0%다. 만기일은 2029년 9월 18일이다. 조달 자금 중 13억원은 일반 운영자금으로, 15억원은 100% 자회사 모노리스인천파크㈜의 신주 취득에 투입된다. 모노리스인천파크는 '9.81파크 국내 2호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전환가액은 1주당 1,253원으로 확정됐으며, 전환 가능 주식수는 223만4636주다. 이는 발행주식총수의 1.64%에 해당한다. 전환청구기간은 2026년 9월 18일부터 2029년 8월 18일까지다. 최저 전환가액은 최초 전환가의 70%인 878원으로 설정됐다. 또한 이번 사채에는 조기상환청구권과 매도청구권이 부여됐다. 사채권자는 발행 2년 후부터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으며, 회사와 제3자는 발행 1년 후부터 일정 조건에 따라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이번 발행으로 대성파인텍의 미상환 전환사채 총액은 기존 35억원에 이번 28억원이 더해져 총 63억원 규모가 된다. 전환 시 발행 가능한 주식은 약 568만주로, 현재 발행주식총수(1340만여주) 대비 4.24% 수준이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마감 시황]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외국인·기관 2조 ‘매수 폭발’

코스피가 장중과 종가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대주주 양도세 요건 유지 전망에 외국인과 기관이 대규모 매수에 나서면서 지수를 밀어올렸다. 코스닥 역시 833선까지 올라섰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3272.20에 출발해 장중 한때 3317.77까지 치솟으며 직전 장중 최고치(2021년 6월 25일·3316.08)를 넘어섰다. 종가 역시 2021년 7월 6일의 3305.21을 뛰어넘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수급은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3778억, 9045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개인은 2조2559억원 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업종별로는 증권(3.6%), 금융(2.8%), 건설(2.7%)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제약(–0.24%), 섬유의류(–0.18%), 화학(–0.16%)은 약세로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주 가운데서는 삼성전자(+1.54%)와 SK하이닉스(+5.56%)가 나란히 상승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금융주도 강세를 보이며 KB금융(+7.01%), 하나금융지주(+4.56%), 신한지주(+3.37%) 등이 급등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1.87%), 삼성바이오로직스(–0.67%)는 하락했다. 코스피는 9월 들어 무려 7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왔다. 이달 초 3142선에서 출발한 지수는 불과 열흘 만에 170포인트(5.5%) 넘게 뛰어오르며 사실상 랠리 장세를 펼쳤다. 이날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8.18포인트(0.99%) 오른 833.00에 마감했다. 장중 한때 833.21까지 오르며 연중 고점 부근을 터치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789억)과 기관(+629억)이 매수 우위를 보였고, 개인(–1332억)은 순매도로 돌아섰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 안정 흐름 속에서 대통령이 대주주 요건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증권·금융주가 강하게 반등했다"며 “글로벌 AI 대표 기업들의 견조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가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을 키운 점도 지수 강세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반도체株 질주…美규제 완화·AI 칩 수혜 기대감 ‘동반 상승’

국내 반도체주가 증시에서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공장에 대해 반도체 장비 반입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한 데다, 글로벌 AI 시장의 확대 기대감이 겹치며 투자심리가 개선된 결과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50분 기준 'KRX 반도체' 지수는 전일 대비 112.39포인트(2.74%↑) 오른 4216.79를 기록했다. 같은 시각 코스피는 3313.64(1.64%↑), 코스닥은 830.80(0.73%↑)으로 반도체 업종 상승률이 두 지수를 크게 웃돌았다. 'KRX 반도체 Top 15' 지수는 2803.24(2.99%↑), 'KRX AI 반도체' 지수는 5092.94(1.70%↑)로 집계됐다. 대표 종목인 삼성전자는 7만2500원으로 전일 대비 1.40% 올랐고, SK하이닉스는 30만3000원으로 5.21% 급등하며 30만원 선을 돌파했다. 대형주 투톱이 지수 상승을 주도한 가운데, 중소형 종목들의 랠리도 두드러졌다. △원익IPS는 9.73% 급등한 4만5100원에 거래됐고, △DB하이텍은 8.84% 오른 5만500원, △한미반도체는 4.40% 상승한 8만7700원에 거래 중이다. △젬백스 역시 2.65% 오른 5만8000원을 기록했다. ETF 시장도 반도체 강세 흐름을 그대로 반영했다.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가 6.96% 뛰었고, △'KODEX 반도체레버리지'(5.44%↑), △'WON 반도체밸류체인액티브'(2.67%↑) 역시 동반 상승세를 보였다.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은 미국의 규제 완화 검토다. 외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 기존 건별 승인 방식 대신 '연간 승인'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한국 정부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두 회사 공장이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명단에서 제외되며 불확실성이 커졌으나, 제도가 바뀌면 생산 차질 우려가 완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AI 반도체 공급망 확대 기대도 호재로 작용했다. 브로드컴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100억 달러 규모의 맞춤형 AI 칩 주문을 확보했다고 밝혔으며, 시장에서는 이를 오픈AI의 주문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AI 칩 생산에 필수적인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가 커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공급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출 지표 역시 긍정적이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8월 메모리 반도체 일평균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4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D램(1억3000만달러, 49%↑), 낸드(3227만달러, 75%↑)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서버용 DDR5와 eSSD 가격 상승세가 뚜렷하다"며 “3분기 실적 전망도 상향 조정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