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동양생명, 우리금융 편입 후 첫번째 신상품 출시

우리금융그룹에 편입된 동양생명이 추가 고지를 통해 보험료는 낮추면서도 일반 사망을 보장하는 주계약에 꼭 필요한 특약만 결합해 실속있는 보장을 받을 수 있는 건강보험을 출시했다. 2일 동양생명에 따르면 '(무)우리WON하는건강한보장보험'은 표준청약서에 고지사항을 확대, 최근 7년 또는 10년 내 입원·수술 이력이 없다고 건강고지할 경우 일반고지보다 낮은 보험료로 가입할 수 있다. 총 83종의 부가특약으로 암·2대질환 등 핵심 담보 관련 진단부터 수술·치료·입원·통원까지 보장하는 것도 특징이다. 불필요한 특약은 줄이고 필요한 보장만을 합리적인 가격에 맞춤 설계할 수 있는 DIY형 상품인 셈이다. '하이클래스암주요치료비특약'을 비롯한 소구력 및 활용도 높은 신규 담보도 탑재됐다. 이는 암보장개시일 이후에 암·기타피부암·갑상선암으로 최초 진단확정되고 보험금 지급기간 이내에 직접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하이클래스 암 주요치료'를 받은 경우 진단 후 10년간 연 1회 한해 최대 2000만원을 지급한다. '하이클래스항암약물치료비특약'은 동일 조건으로 '하이클래스항암약물치료'를 받은 경우 진단 후 10년간 연 1회 한해 최대 3000만원을 보장한다. 두 특약 모두 가입시 10년간 최대 5억원을 보장받을 수 있다. '항암중입자방사선치료특약'은 암보장개시일 이후 '암'으로 진단이 확정되거나 이 특약의 보험기간 중 기타피부암·갑상선암으로 진단이 확정되고 그 질병의 직접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항암중입자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 최초 1회에 한해 최대 5000만원을 보장한다. 이 상품은 '해약환급금 미지급형'과 '표준형'으로 구성됐고, 가입가능나이는 만 15세부터 최대 60세다. 납입기간은 10·15·20·30년 납 중, 보험기간은 30년만기∙90세 만기∙종신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단, 갱신형 특약은 5년, 10년 또는 20년 만기, 주 계약이내 최대 100세까지 가능) 동양생명 관계자는 “고객이 가장 필요로 하는 핵심 담보 위주로 특약을 세분화해 상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며 “추가고지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보험료로 종신보장과 건강보장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실속 있는 맞춤형 보장을 받아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한화생명금융서비스, ‘30년 베테랑’ 최승영 신임 대표 선임

한화생명금융서비스가 최승영 전무를 신임 대표로 선임했다. 한화생명으로 자리를 옮기는 이경근 전 대표의 뒤를 이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2일 한화생명에 따르면 최 대표는 1967년생으로 중앙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한화생명(舊 대한생명)에 입사한 뒤 지점장·지역단장·사업본부장 등 보험영업 현장을 거쳤다. 본사에서는 보험심사팀장과 고객지원팀장 등을 역임하며 고객 중심의 서비스 전략 수립에 기여했다. 지난해 7월부터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본사 개인영업본부장으로서 FP조직 역량 강화와 영업성과 제고를 주도한 성과도 인정 받았다. 한화생명금융서비스는 현재 전국 540개 영업기관과 2만5000명에 달하는 보험설계사를 보유한 국내 최대 보험판매전문회사다. 이번 인사를 계기로 △FP조직의 성장 △고객 중심의 조직문화 정착 △디지털 기반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한화생명금융서비스 관계자는 “최 대표는 보험영업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 조직과 사람을 움직이는 힘을 지닌 현장형 리더"라며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갈 적임자"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특징주] 지니틱스, 경영권 분쟁 소용돌이…급락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는 반도체 제조 기업 지니틱스가 3일 장초반 급락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니틱스는 이날 오전 9시27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2.72% 하락한 9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니틱스의 최대주주인 헤일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과 유한회사 헤일로 전자는 지난달 27일 지니틱스 대표이사 권석만을 용인동부경찰서에 고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헤일로는 지니틱스의 권석만 대표가 최근 언론 제보 및 인터뷰, 지니틱스 주주서한문 배포 등을 통해 헤일로와 신규 선임을 제안한 경영진들에 관한 허위사실을 반복적으로 퍼뜨려 헤일로의 사회적 명성을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주장한다. 이에 지니틱스는 지난달 30일 최대주주와 의결권 위임 대행사인 비사이드코리아를 자본시장법 및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허위 사실이 담긴 유인물과 온라인 게시글로 주주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특징주] 플리토, 글로벌 IT사와 64억 공급계약 소식에 10%대 급등

플리토가 3일 장 초반 강세다. 글로벌 IT 기업과 대규모 계약을 체결한 사실이 알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2분 기준 플리토는 전일 대비 1220원(10.03%) 오른 1만33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한때 1만4810원까지 치솟으며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전날 장 마감 후, 플리토는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과 약 64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기반 언어 모델의 연구 및 개발용 데이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액 대비 31.40%에 해당하는 규모로 계약기간은 오는 11월 11일까지다. 계약 상대방은 상대방의 영업비밀 보호 요청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특징주] 현대로템, 9조원 규모 K2 전차 수출 앞두고 강세

현대로템이 폴란드와 약 9조원 규모의 K2 흑표 전차 2차 수출 계약 협상을 완료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따르면 현대로템은 이날 오전 9시 19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3500원(1.72%) 오른 20만 6500원에 거래 중이다. 장 초반 한때는 6.65%까지 상승하며 급등세를 연출했다. 이번 주가 상승은 방위사업청이 전날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폴란드 국방부 장관과 현대로템이 K2 전차 2차 수출 계약 협상을 완료했으며, 곧 공식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계약 규모는 양측 협의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약 67억 달러(약 9조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는 단일 방산 수출 계약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이번 계약에 따라 총 180대의 K2 전차가 수출된다. 이 중 117대(K2GF)는 현대로템이 직접 생산하고, 나머지 63대(K2PL)는 폴란드 국영 방산업체 PGZ가 현지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은행 금리 내리고, 코스피는 오르고…9조원 ‘탈(脫)예금’

지난달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이 9조원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하 기조 속에 은행의 수신금리가 빠르게 낮아지며 정기예금 매력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반면 분기 결산을 앞둔 기업들의 현금성 자산 확보 움직임과 자산시장 활황이 맞물리며 자금을 유동적으로 운용하려는 수요가 커졌고, 이에 따라 요구불예금은 30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2일 각 은행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931조934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8조9332억원 감소한 수치다. 지난 3월(15조5507억원)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정기예금 금리가 가파르게 낮아진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최고 2%대에서 최저 1%대까지 하락한 상태다. 이날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판매 중인 단리 1년 만기 기준 정기예금 38개 상품 중 Sh수협은행의 헤이(Hey)정기예금이 연 2.6%의 가장 높은 기본금리를 준다. 전달 취급 평균 금리가 연 2.78%였던 점을 고려하면 한 달 새 0.18%포인트(p) 낮아졌다. 우대금리를 적용해도 연 3%대의 금리를 주는 상품은 없다. 우대금리 적용 시 수협은행의 Sh첫만남우대예금이 연 2.9%의 금리를 주는데, 첫 거래 등 조건을 만족해야 해 우대금리를 모두 받기는 쉽지 않다. 이와 달리 정기적금은 증가세를 지속했다. 지난달 말 기준 정기적금 잔액은 42조8169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1515억원 늘었다. 은행들이 수신 확보를 위해 고금리 특판 적금 상품을 꾸준히 내놓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기적금 기본금리를 보면 최대 금리는 연 3%대이며, 우대금리를 적용할 경우 최고 연 5%대를 주는 상품도 있다.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의 증가폭은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달 말 기준 요구불예금 잔액은 656조6806억원으로 전월 대비 29조9317억원이나 늘었다. 올 들어 가장 큰 증가폭으로, 33조6226억원이 늘었던 지난해 3월 이후 최대치다. 요구불예금은 금리는 낮지만 자금을 언제든지 입출금할 수 있어 투자처를 모색 중인 '대기성 자금'이 유입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요구불예금은 분기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법인들이 분기 결산을 위해 현금성 자산을 늘리려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달에는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고, 새 정부 출범 후 코스피5000 기대감에 증시가 상승하며 새로운 투자처를 찾기 위한 대기 수요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2일 2698.97에서 지난 30일 3071.7로 13.8% 상승했다. 특히 지난 20일에는 종가 기준 3000선을 돌파했는데, 하반기에도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은행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머니무브' 현상은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가계부채 문제를 고려해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는 유지되고 있어 은행의 수신 금리에 빠르게 반영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주식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시장 환경 개선을 독려 중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지표 금리가 낮아지면 은행 수신 금리도 함께 떨어진다"며 “은행 상품의 매력이 감소하는 가운데,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 자금이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LS에코에너지는 자회사인 LS-비나 케이블 앤 시스템 조인트 스톡 컴퍼니(LS-VINA Cable & System Joint Stock Company)가 기존에 신한은행 베트남 하이퐁지점(Shinhan Bank Vietnam Hai Phong Branch)으로부터 차입한 USD 10,000,000의 대출을 연장하는 것과 관련해 채무보증을 제공했다고 2일 공시했다. 해당 차입금의 보증금액은 원화 기준 약 142억2300만원이며, 이는 LS에코에너지의 자기자본(1969억원) 대비 약 7.2% 수준이다. 보증 기간은 오는 6일부터 2026년 7월 6일까지다. 신송홀딩스는 자회사 신송산업에 대해 81억1560만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자기자본의 9.12%에 해당한다. 채무보증기간은 오는 6일부터 내년 7월 6일까지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동아지질이 2030년 중반 개통예정인 싱가폴 창이공항의 터미널5 신설공사를 수주했다고 2일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293억6294만원으로, 이는 최근 매출액의 7.5%에 해당한다. 한세엠케이는 지난달 30일부터 전일까지 진행한 유상증자 청약률이 4809.11%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구주주 청약 결과 우리사주조합이 6226주, 신주인수권증서 청약이 1141만3558주, 초과청약 36만7946주로 총 1178만1504주가 청약됐다. 구주주 청약률은 80.19%를 기록했다. 유상증자 발행 예정 주식수는 총 1470만주다. 환불 및 주금 납입일은 오는 3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오는 15일이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ETF2Q]① 정부는 코스피 5000 간다는데 개미는 3000선서 ‘하락 배팅’ 중…6월 ‘곱버스’ 25% 급락

상반기 코스피가 3000선을 회복했지만,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 하락에 베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투자자는 주가가 오를 때 2배 수익이 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는 팔고, 주가가 떨어질 때 수익이 나는 인버스 ETF를 사들였다. 증권사는 코스피 상승세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역방향 매매가 반복되면 손실 가능성도 커진다고 지적한다. 2일 코스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개인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ETF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로 5130억4128만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거래량 기준 순매수 2위인 'KODEX 2차전지산업레버리지'에 견줘 4.3배 더 많이 사들였다. 'KODEX 인버스'는 410억8573만주를 사들여 거래량 기준 순매수 4위를 기록했다. 반면 코스피 상승에 베팅하는 레버리지 상품은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이 매도했다. 'KODEX 레버리지'는 상반기 633억9437만주,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는 172억2992만주 순매도했다. 인버스(inverse) ETF는 말 그대로 '거꾸로' ETF다. 추종하는 지수가 오르면 상품 가격은 내려가고, 반대로 떨어지면 가격이 오르는 구조다. 주가가 떨어질 것 같다는 예상이 우세할수록 인버스 ETF 거래도 늘어난다. 그중 'KODEX 200선물인버스2X'는 코스피200 선물 지수가 1만큼 하락하면 2배 가격이 오르는 이른바 '코스피 곱버스' 상품이다. 주가가 이쯤에서 꺾일 것으로 확신하는 개미가 많이 늘어났다는 의미다. 'KODEX 200선물인버스2X' 일별 거래 추이를 보면, 개인 투자자는 6월 들어 급격히 사들였다. 상반기 전체 순매수 중 52%는 6월에 발생한 거래다. 'KODEX 레버리지'는 6월에만 247억5287만주를 순매도했다. 개인 투자자의 예상과 달리 새 정부 출범 직후부터 국내 증시는 강세로 돌아섰다. 6월 2일 2698.97로 장을 시작해서 한 달 만에 372포인트 올라 6월 말 3071.7로 거래를 마쳤다. 그 덕분에 올해 상반기 코스피는 28% 상승하며, 26년 만에 상반기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개인 투자자는 상당한 손해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전체 ETF 상품 중 하락률 상위 5개 종목은 모두 '곱버스 ETF'다. 코스피 200선물 지수를 추종하는 운용사별 곱버스 상품이 모두 25%대 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과거 주가를 기준으로 주가 향방을 판단하는 '기준점 편향'에 영향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코스피200은 2024년 하반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320~350pt에서 머물렀다. 올해 관세 충격과 지정학적 위험으로 1분기 고점(350pt)을 넘기지 못할 거란 불안감이 형성됐다. 이런 상황에 코스피가 강세로 돌아섰지만, 개인 투자자는 여전히 코스피 하락에 베팅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역추세 추종' 전략은 손실이 누적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추세가 형성된 시장에서 역추세 추종 전략은 손실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추세 반전 시 단기 모멘텀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시총열전③] 보험·금융주, 시총 경쟁서 버텼다…상반기 지형도 재편 속 ‘묵직한 생존력’

올해 상반기 국내 증시 시가총액 상위 지형도는 큰 폭의 재편을 맞이했다. AI 반도체, 방산, 원전 등 신산업이 부상하며 기존 주도주들이 밀려난 가운데 보험·금융지주 종목들은 조용히 자리를 지켜냈다. 외부 테마에 휩쓸리지 않고 실적과 정책 기대감을 바탕으로 상위권을 방어한 것이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시가총액 Top30에는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보험·금융지주 6곳이 모두 포함됐다. 이들은 연초(1월 2일)에도 Top30에 이름을 올렸던 종목들이다. 6개월간의 급격한 자금 이동 속에서도 금융 섹터만은 흔들리지 않고 자리를 지켰다는 평가다. 상반기 동안 금융지주 3사의 주가는 모두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KB금융은 올해 초 8만3400원에서 11만800원으로 약 33% 상승하며 시가총액이 32조8000억 원에서 42조2000억 원으로 9.4조원 늘었고, 시총 순위는 연초 9위에서 6위로 세 계단 상승했다. 신한지주는 같은 기간 4만7750원에서 6만5100원으로 올라 약 36% 상승, 시총도 24조원에서 30조8000억 원으로 6조8000억원 이상 증가했으며, 순위는 12위에서 14위로 미세한 변동을 보였다. 하나금융지주 역시 5만6800원에서 7만3500원으로 오르며 약 29% 상승했고, 시총은 16조3000억원에서 25조3000억원으로 증가해 순위도 26위에서 20위로 6계단 올랐다. 이들 금융지주는 실적과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을 꾸준히 병행하면서 시장의 신뢰를 끌어낸 것으로 분석된다. KB금융은 상반기 1조7600억 원 규모의 환원을 예고했고, 보통주자본비율(CET1)도 13.67%를 기록해 추가 환원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Top30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시가총액 Top50 기준으로도 우리금융지주(33위), 기업은행(39위), 카카오뱅크(42위)는 연초 대비 큰 변동 없이 자리를 지켜냈다. 이들은 대부분 저PBR 종목으로, 실적 안정성과 정책 수혜 기대감이 공통된 특징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증시 부양정책, 상법 개정,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과 맞물려 금융주에 대한 관심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보험주는 대표적인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섹터로서 정책 수혜 기대를 받으며 조용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생명, 삼성화재, 메리츠금융지주는 연초부터 시가총액 Top30 자리를 유지한 대표 보험주로, 변동성이 컸던 상반기에도 순위를 지켜내며 존재감을 발휘했다. 삼성생명은 연초(1월 2일) 기준 시총 순위 18위였고, 이달 1일에도 18위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주가는 9만1500원에서 13만원으로 42% 상승했고, 시가총액도 18조3000억원에서 26조원으로 약 8조원 이상 증가했다. 삼성화재는 20위에서 28위로 하락했지만, Top30 내에는 여전히 포함됐다. 주가는 35만5500원에서 43만9500원으로 24% 상승했으며, 시총은 16조8000억원에서 22조2000억 원으로 5조4000억원가량 늘었다. 메리츠금융지주는 16위에서 27위로 다소 밀렸지만, 역시 상위권을 방어한 셈이다. 주가는 10만4200원에서 11만5100원으로 약 10% 상승했고, 시총은 19조8000억 원에서 20조7000억 원으로 약 9000억원 증가했다. 이들의 상승 배경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PBR 0.2배 기업 청산' 발언을 비롯해 국고채 금리 상승, 지급여력비율(K-ICS) 완화 등 다양한 정책 기대감이 작용했다. 보험업종의 평균 PBR은 0.5배 안팎에 불과해, 전형적인 저평가(저PBR) 섹터로 분류된다. 다만 배당 확대나 자사주 소각 등 실질적인 주주환원 활동은 제한적이어서, 반등세의 지속 가능성에는 다소 의문이 제기된다. 보험주와 금융지주 모두 하반기에도 시장 방어력을 이어갈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공통적으로 정책 수혜 기대감을 받고 있지만, 실질적인 실적 개선과 주주환원 실현 여부가 향후 주가 흐름을 가를 전망이다. 보험주의 경우, 정책 기대가 실제 밸류업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핵심이다. 최근 삼성생명·삼성화재 등 일부 보험사를 제외하면 자사주 소각이나 배당 확대 등 실질적 주주환원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IFRS17 회계기준 도입 이후 해약환급금준비금 부담 등 구조적 자본규제가 완화돼야 의미 있는 변화가 가능하다는 분석도 있다. 안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험주의 주가가 상승으로 배당수익률이 과거 평균 수준으로 낮아졌고,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과 CSM 조정 등을 고려하면 이익 기대도 제한적"이라며 보험 업종 투자의견을 '중립(Neutral)'으로 유지했다. 이어 “영업보다는 자본 관련 정책이 핵심 변수로 우호적인 자본 관련 정책의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작년 배당을 못했던 보험사에 대한 주가 차별화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은행주는 실적, 정책, 환율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지며 보다 안정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특히 자사주 매입·소각, EPS(주당순이익) 증가, CET1비율(보통자본주비율) 상승 등으로 밸류에이션 정상화 기대감이 현실화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최정욱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PBR(주가순자산비율)이 가장 낮은 지방은행, 기업은행 등이 최근 가장 큰 주가 상승률을 보였다"며 “KB금융 등 주요 금융지주의 자사주 소각 규모가 은행업 전반의 밸류업 기대감을 한층 더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평균 PBR 0.6배까지는 계속적인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