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다시 1억 찍을까”…‘트럼프 트레이드’에 반등하는 비트코인

'트럼프 트레이드' 영향으로 가상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1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다음 달 미국 대선을 앞두고 시장 변동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최근 9300만원선까지 오르는 등 반등하고 있다. 이에 1억원 선을 돌파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이 1억원을 넘어설 경우 지난 3월에 사상 첫 1억원을 기록한 데 이어 두 번째다. 비트코인 가격은 올 상반기에는 7000만원대까지 하락하기도 했으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를 전후로 글로벌 유동성이 확대되면서 최근에는 9300만원대까지 올라섰다. 업계에서는 비트코인 가격 반등 이유로 '트럼프 트레이딩'을 꼽는다. 다음 달 5일에 치러질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우세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관련 수혜가 예상되는 자산에 투자자들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가상자산에 대한 강한 규제로 비판받아온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을 해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아울러 미국 언론의 공직자 후보 재산 공개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더리움 100만달러(약 13억2200만원) 상당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점 또한 가상자산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분위기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지난 18일 보고서를 내고 “트럼프 당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금융시장은 트럼프 당선을 대비한 프라이싱을 시작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시장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1억원을 넘어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아직 카멀라 해리스 후보의 지지율이 소폭 높게 집계되면서 시장 변동성은 더욱 극심해질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 지난 16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마리스트가 발표한 미국 전국 유권자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리스가 52%, 트럼프가 47%의 지지율로 해리스가 여전히 앞섰다. 오바마 전 대통령도 지난 18일(현지시간) 애리조나주(州) 지원 유세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령 문제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면서 해리스에 힘을 싣기도 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원화 환율 이달만 5% 가까이 올라…달러 선물 ETF 주목

미 달러 대비 한국 원화 환율이 이달 들어 다시 오르자(원화 약세) 달러 선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FT)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20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지난 1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1369.70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30일 1307.80원으로 장을 마친 것과 비교하면 61.90원(4.73%) 올랐다. 달러가 강세를 띠면서 같은 기간 달러 선물에 투자하는 ETF 수익률도 고공 행진을 하고 있다. 이들 ETF는 미국 달러 선물 지수를 기초로 삼아 달러화 가치의 상승에 따라 수익을 내는 구조를 갖는다. 상품별로는 'TIGER 미국 달러 선물 레버리지'가 같은 기간 10.37% 올랐고, 'KODEX 미국 달러 선물 레버리지'는 10.03%, 'KOSEF 미국 달러 선물 레버리지'는 9.47% 상승했다. 지수 상승분의 2배만큼의 수익을 내는 레버리지가 아닌 일반 달러 선물 ETF도 성적이 양호했다. 'KODEX 미국 달러 선물'은 4.96%, 'KOSEF 미국 달러 선물'은 5.10% 상승했다. 이처럼 달러가 10월 들어 다시 강세를 보이는 이유로 증권가에서는 먼저 미국의 견고한 경제 펀더멘털을 꼽고 있다. 앞서 지난 4일 발표된 미국의 고용 지표가 호조를 보이자 미국 경제가 경착륙을 피하고 연착륙을 이루는 것은 물론, 경기가 가라앉지 않는 이른바 '노 랜딩'(no landing·무착륙)을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다음 달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도 달러 강세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박빙 승부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안전 통화인 달러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영풍정밀, 3만 5000원 공개매수에도 주가 26% 하락해 2만원대로… 왜?

영풍정밀의 주가가 3만5000원의 공개매수 제안에도 불구하고 하루 만에 26% 급락하며 2만원대로 떨어졌다. 시장의 예상과는 다른 흐름을 보이는 이 현상은 그간 당연하다고 여겨졌던 전제 하나만 바꾸면 설명이 가능하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MBK·영풍 연합이 공개매수에 참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이러한 변수가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영풍정밀의 주가는 전일 대비 8200원(26.58%) 하락한 2만26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최윤범 회장이 제시한 3만5000원의 공개매수 가격과 큰 차이를 보인다. 최윤범 회장 측 특수목적법인(SPC)인 제리코파트너스는 21일을 마지막으로 영풍정밀 주식 공개매수를 종료할 예정이다. 그는 1930억원의 자금으로 영풍정밀 주식 551만2500주를 1주당 3만5000원에 매수할 예정이다. 최 회장이 매입하고자 하는 영풍정밀 주식 수는 동일하지만, 유통주식수를 보는 관점에 따라 매입 비율이 달라진다. 551만주는 전체 유통주식수 1575만주의 약 35%에 해당한다. 반면, 최 회장 측의 지분 555만주를 제외한 유통주식수(1020만주)를 기준으로 보면 매입 비율은 약 54%에 이른다. 여기에 MBK와 영풍의 지분까지 제외한 유통주식수(686만주)를 기준으로는 매입 비율이 약 80%로 상승한다. 한편, 영풍·MBK는 14일 종료된 주당 3만원의 공개매수에서 단 830주(약 2490만원)만 매수하며 유통주식수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못했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최 회장이 매입하는 주식 수를 유통주식의 80% 수준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MBK·영풍 연합 지분이 공개매수와 무관하다는 접근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으로는 현재의 주가를 설명하기 어렵다. 만약 80%의 매입 비율을 가정한다면, 5주를 매수할 경우 4주는 공개매수로 3만5000원에 매각되고 나머지 1주는 보유하게 된다. 1주의 주가를 영풍정밀 공개매수 이전의 가격인 약 1만원으로 가정하고 가중평균하면 3만원 수준이 나온다. 이는 현재의 2만2500원 수준과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MBK·영풍 연합이 지분을 매각할 수 있다고 접근한다면 결과는 180도 달라진다. 이는 기존의 접근법은 아니었다. 최 회장의 제리코파트너스 측 역시 그간 보도자료를 통해 “유통주식의 80% 이상 흡수 가능하다"고 주장했는데 이 역시 MBK·영풍 연합의 참여를 배제하고 접근한 것이다. 공개매수에 관한 규정은 자본시장법 133조부터 146조까지 규정돼 있다. 해당 조문에는 '매수' 방법, 절차, 제한, 배상 등의 규정이 다뤄지고 있다. 다만, 매도의 제한과 관련해서는 별도의 명확한 규정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대형 법무법인에서 오랜 기간 투자은행(IB)을 자문한 한 변호사는 “최소한 자본시장법 기준으로는 매도에 관한 규정을 정해놓지 않았다"며 “다른 법에서 규정했을 수는 있겠지만, 사실상 없다고 보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고려아연의 공개매각 당시 주목받았던 133조 3항과 140조 모두 '매수'와 관련됐다. 고려아연 공개매수 초기에 영풍의 특별관계자인 최윤범 회장이 자사주 매입과 같은 대항 공개매수를 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다툴 당시 다뤄졌던 조문들이다. 공개매수 과정에서 특별관계자를 통해 다른 방식으로 매수하는 경우, 공개매수 규정이 무의미해질 수 있어 이를 제한하는 규정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해석을 적용하면 현재의 주가는 설명이 된다. 최 회장은 유통주식수의 54%를 인수하게 되며, 이를 가중평균한 주가는 주당 2만3500원으로 현재 주가와 유사한 수준이 된다. 한 IB 관계자는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해서 반드시 MBK·영풍 연합이 공개매수에 응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하지만 주가 흐름은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는 방향으로 흐르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