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대성파인텍이 약 28억원 규모의 제4회차 전환사채(CB)를 발행한다. 회사는 이번 조달 자금을 운영자금과 자회사 투자에 활용할 방침이다. 10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성파인텍은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를 발행하기로 했다. 발행 총액은 28억원이며, 표면이자율은 0.0%, 만기이자율은 5.0%다. 만기일은 2029년 9월 18일이다. 조달 자금 중 13억원은 일반 운영자금으로, 15억원은 100% 자회사 모노리스인천파크㈜의 신주 취득에 투입된다. 모노리스인천파크는 '9.81파크 국내 2호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전환가액은 1주당 1,253원으로 확정됐으며, 전환 가능 주식수는 223만4636주다. 이는 발행주식총수의 1.64%에 해당한다. 전환청구기간은 2026년 9월 18일부터 2029년 8월 18일까지다. 최저 전환가액은 최초 전환가의 70%인 878원으로 설정됐다. 또한 이번 사채에는 조기상환청구권과 매도청구권이 부여됐다. 사채권자는 발행 2년 후부터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으며, 회사와 제3자는 발행 1년 후부터 일정 조건에 따라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이번 발행으로 대성파인텍의 미상환 전환사채 총액은 기존 35억원에 이번 28억원이 더해져 총 63억원 규모가 된다. 전환 시 발행 가능한 주식은 약 568만주로, 현재 발행주식총수(1340만여주) 대비 4.24% 수준이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마감 시황]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외국인·기관 2조 ‘매수 폭발’

코스피가 장중과 종가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대주주 양도세 요건 유지 전망에 외국인과 기관이 대규모 매수에 나서면서 지수를 밀어올렸다. 코스닥 역시 833선까지 올라섰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3272.20에 출발해 장중 한때 3317.77까지 치솟으며 직전 장중 최고치(2021년 6월 25일·3316.08)를 넘어섰다. 종가 역시 2021년 7월 6일의 3305.21을 뛰어넘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수급은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3778억, 9045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개인은 2조2559억원 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업종별로는 증권(3.6%), 금융(2.8%), 건설(2.7%)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제약(–0.24%), 섬유의류(–0.18%), 화학(–0.16%)은 약세로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주 가운데서는 삼성전자(+1.54%)와 SK하이닉스(+5.56%)가 나란히 상승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금융주도 강세를 보이며 KB금융(+7.01%), 하나금융지주(+4.56%), 신한지주(+3.37%) 등이 급등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1.87%), 삼성바이오로직스(–0.67%)는 하락했다. 코스피는 9월 들어 무려 7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왔다. 이달 초 3142선에서 출발한 지수는 불과 열흘 만에 170포인트(5.5%) 넘게 뛰어오르며 사실상 랠리 장세를 펼쳤다. 이날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8.18포인트(0.99%) 오른 833.00에 마감했다. 장중 한때 833.21까지 오르며 연중 고점 부근을 터치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789억)과 기관(+629억)이 매수 우위를 보였고, 개인(–1332억)은 순매도로 돌아섰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 안정 흐름 속에서 대통령이 대주주 요건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증권·금융주가 강하게 반등했다"며 “글로벌 AI 대표 기업들의 견조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가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을 키운 점도 지수 강세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크레딧첵] SK, 재무 다이어트 후 쏠리는 배터리를 향한 시선

SK그룹이 지난해 재무상태 악화의 고리를 끊어내는 데 성공했다. 그룹 차원의 고강도 자산 재조정(리밸런싱)과 반도체 부문 성과가 주효했다. 향후 그룹 반등의 향배는 미래 먹거리 사업인 배터리 부문에 달렸다. 수익성 의존도가 상당한 반도체는 사이클에 따라 변동이 심하고 정유·화학은 여전히 뒷걸음질 치고 있는 것이 그룹의 부담 요인이다. 10일 신용평가 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SK그룹의 순차입금은 74조원이다. 이는 순차입금이 최고조에 달한 지난 2023년 84조원 대비 10조원 감소한 수준이다. 이는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이 2023년 하반기 임원 인사에서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으로 선임된 후 고강도로 진행한 리밸런싱 작업과 반도체 부문 현금창출 개선이 맞물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2023년은 SK그룹의 재무 위기가 상당했던 해다. 지난해 그룹을 견인한 반도체부터 정유·화학, 배터리 등 주요 사업 부문 전체가 수익성 악화를 겪었다. 당시 그룹내에서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등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을 제외한 전 계열사의 수익성이 뒷걸음질 쳤다. 실제 SK의 2023년 연결기준 영업이익(기타영업수익 제외)은 4조4000억원으로 2022년 8조원 대비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계열 전반의 수익성 악화는 누적된 투자부담에 더해졌다. SK그룹은 코로나19 발발 전후로 자본적지출·설비투자(CAPEX)에 공격적으로 나섰다. 특히 2022년 CAPEX 규모는 34조원까지 늘어 전년 22조원 대비 55%가량 증가했다. 다음해인 2023년 SK·SK하이닉스, SK디스커버리의 연결실적 부채비율은 145.7%로 전년 133.7% 대비 12%p 늘었고, 차입금의존도는 36.8%에서 39.6%로 2%p 증가했다. 각각 안정성 기준치인 100%와 30%를 훨씬 웃돌았다. 2022년 CAPEX 투자로 인한 자금 조달이 상당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외부 차입이 늘면서 그룹의 순금융비용도 급격히 늘었다. 2021년 1조3000억원에서 2022년 1조7000억원, 2023년 2조4600억원, 2024년 2조8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순금융비용은 기업이 실제로 부담하는 금융비용의 순수 금액으로, 채무 상환 능력이나 재무 안정성을 평가할 때 활용하는 지표다. 최 의장 취임 이후 SK그룹은 대규모 투자금 회수와 비주력 사업 철수를 단행하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섰다. 당시 인사는 그룹 내에서도 의미가 남다르다. 앞서 4명의 부회장을 모두 정리한 뒤, 사실상 '구원투수'로 투입된 인물이기 때문이다. 최 의장은 비주력 사업 철수와 투자금 회수를 병행하며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그룹 전반의 재무 건전성 회복에 주력했다. 대표적으로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으로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데 이어, SK는 SK스페셜티 지분 85%를 약 2조7000억원에 매각했다. SK네트웍스 역시 SK렌터카를 처분하며 8200억원을 확보했다. 이어 지난 8월에는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등이 투자한 베트남 법인 'SK 인베스트먼트 비나 Ⅱ'를 통해 보유한 빈그룹 지분(6.05%)을 매각했다. 이를 통해 걷어들인 현금은 2000억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 의장의 재무 건전성 강화 작업이 수치로 증명될 수 있도록 도운 것은 반도체였다. SK그룹은 지난해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부문 반등으로 영업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지난해 SK하이닉스와 SK실트론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68조원으로 전년 35조원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었고, 영업이익은 24조원으로 전년 -7조원의 영업적자에서 큰 폭의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난해 말 SK, SK하이닉스, SK디스커버리의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145.7%로 전년 133.7% 대비 12%p로, 차입금의존도는 39.6%에서 36%로 3.6%p 감소했다. 2023년 1년간 튀어 오른 재무 부담을 1년 만에 눌러버린 셈이다. 다만 이익 구조가 반도체에 과도하게 쏠려 있다는 점은 잠재적 부담이다. 지난해 SK그룹 전체 EBITDA의 76.3%는 반도체 부문에서 나왔다. 반도체가 사이클에 따라 실적 변동이 심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정적으로 그룹을 이끌어갈 또 하나의 현금창출원(캐시카우)이 필요하다. 한국기업평가는 이에 대해 “계열 전반의 수익기반 다각화 역량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고 있는 점은 그룹 신용도 관리 측면에 부담요인"이라며 “SK하이닉스를 제외할 경우 그룹 전반의 영업현금창출력이 종전대비 크게 저하된 상황에서, 특정 사업부문에 집중된 현금창출력과 재무역량은 그룹 전반의 신용위험을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SK그룹이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것은 배터리 사업이다. SK는 사업체 몸집을 줄이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는 고강도 구조조정 기조에서도 SK온과 SK엔무브를 합병하는 등 배터리 덩치는 키우고 있다. 문제는 SK온이 버텨야 하는 시간이다. SK온의 핵심 사업은 배터리 및 정유사업이다. 정유·화학과 배터리 모두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정유화학은 지난해 외형은 확대됐으나, 수익성은 퇴보했다. 경기 부진 여파에 따른 정제마진 하락 때문인데, 이 사정이 앞으로도 나아질 것이란 전망은 여전히 전무하다. 사정은 배터리도 비슷하다. 실제 SK그룹에서 정유화학·에너지 부문 EBITDA는 1조원으로 전년 2조6000억원 대비 62% 하락했다. 두 업권은 현재도 부진한데 앞으로도 난관이 많은 산업군에 속한다. 특히 배터리 사업은 미국 정책 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클 전망이다. SK온 배터리 셀 생산능력의 상당 부분이 핵심시장인 미국 내에 구축돼 있지만, 양극재 등 주요 소재를 해외에서 조달하는데 따른 비용 증가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SK온은 2021년 출범 후 현재까지 매년 영업 적자를 기록했다. 차입금의존도는 34.2%로 적정 수치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수익성 악화가 지속한다면 자금 조달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은 상장사이기에 주주들로부터 자금 조달이 용이하지만, SK온은 비상장사이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그룹 차원의 자금 수혈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는 의미다. SK그룹 한 관계자는 “SK하이닉스도 처음 인수할 당시 고평가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최대 캐시카우로 성장했다"며 “배터리 사업이 현재는 부진해도 미래 먹거리 산업인 만큼 그룹 차원에서 성장 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관계자는 “외부 차입 보다는 우량한 계열사와의 합병 등 내부적인 재무구조 개선책에 힘을 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반도체株 질주…美규제 완화·AI 칩 수혜 기대감 ‘동반 상승’

국내 반도체주가 증시에서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공장에 대해 반도체 장비 반입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한 데다, 글로벌 AI 시장의 확대 기대감이 겹치며 투자심리가 개선된 결과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50분 기준 'KRX 반도체' 지수는 전일 대비 112.39포인트(2.74%↑) 오른 4216.79를 기록했다. 같은 시각 코스피는 3313.64(1.64%↑), 코스닥은 830.80(0.73%↑)으로 반도체 업종 상승률이 두 지수를 크게 웃돌았다. 'KRX 반도체 Top 15' 지수는 2803.24(2.99%↑), 'KRX AI 반도체' 지수는 5092.94(1.70%↑)로 집계됐다. 대표 종목인 삼성전자는 7만2500원으로 전일 대비 1.40% 올랐고, SK하이닉스는 30만3000원으로 5.21% 급등하며 30만원 선을 돌파했다. 대형주 투톱이 지수 상승을 주도한 가운데, 중소형 종목들의 랠리도 두드러졌다. △원익IPS는 9.73% 급등한 4만5100원에 거래됐고, △DB하이텍은 8.84% 오른 5만500원, △한미반도체는 4.40% 상승한 8만7700원에 거래 중이다. △젬백스 역시 2.65% 오른 5만8000원을 기록했다. ETF 시장도 반도체 강세 흐름을 그대로 반영했다.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가 6.96% 뛰었고, △'KODEX 반도체레버리지'(5.44%↑), △'WON 반도체밸류체인액티브'(2.67%↑) 역시 동반 상승세를 보였다.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은 미국의 규제 완화 검토다. 외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 기존 건별 승인 방식 대신 '연간 승인'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한국 정부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두 회사 공장이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명단에서 제외되며 불확실성이 커졌으나, 제도가 바뀌면 생산 차질 우려가 완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AI 반도체 공급망 확대 기대도 호재로 작용했다. 브로드컴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100억 달러 규모의 맞춤형 AI 칩 주문을 확보했다고 밝혔으며, 시장에서는 이를 오픈AI의 주문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AI 칩 생산에 필수적인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가 커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공급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출 지표 역시 긍정적이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8월 메모리 반도체 일평균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4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D램(1억3000만달러, 49%↑), 낸드(3227만달러, 75%↑)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서버용 DDR5와 eSSD 가격 상승세가 뚜렷하다"며 “3분기 실적 전망도 상향 조정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역대 정부 출범 100일째 증시 성적표…이재명 정부, 19% 올리며 ‘1위’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앞두고 역대 정부 중 가장 높은 코스피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세제 개편안에 대한 실망감 탓에 지난 두 달간 코스피는 3100~3200대 박스권에 갇혀 있다. 증권가에서는 미국 관세 충격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경계하면서 이달 중 미국 금리 인하가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6월 4일 이재명 정부 출범 첫날 시가 기준 2,737.92이었던 코스피는 이달 9일 3,260.05로 마감하며 19.07%나 상승했다. 9일은 정부 출범 98일째 되는 날이다. 역대 대통령 취임 100일간 코스피 추이를 보면, 이재명 정부의 상승세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에는 노태우 정부 때 증시 상승폭이 가장 컸다. 당시 출범 100일간 코스피는 14.89% 올랐다. 김영삼 정부(13.03%)와 이명박 정부(6.91%)도 출범 100일간 코스피는 강세를 보였다. IMF 외환위기 직후 취임한 김대중 정부는 출범 100일간 36.68% 하락했다. 계엄과 탄핵 국면을 거치며 증시가 저평가된 상태에서 출범한 이재명 정부는 강력한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을 폈다.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가운데 16개 종목의 순위가 뒤바뀌면서 증시는 역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조선·방산·원전 업종 상승세가 두드러지며 시가총액 상위권 지형이 크게 흔들렸다. 반면 전통적인 강세 업종이던 금융과 자동차주는 뒷걸음질 쳤다. 7월 초 3200선을 돌파할 때만 해도 역사적 고점(3300)을 넘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지만, 7월 말 이후 코스피는 3100~3200대 박스권에 갇혔다. 7월 말 세법을 둘러싼 논란이 코스피 상승의 발목을 잡았다. 정부가 7월 31일 법인세를 인상하고,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 대주주의 종목당 주식 보유액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추는 내용의 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또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밝힌 개편안도 시장이 기대했던 수준에 못 미쳤다. 정부는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50억원 이상'을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진다. 오는 11일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에 대한 견해를 밝힐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신중해진 모습이다. 지난달 하나증권은 올해 말 코스피 상단 전망을 3,710에서 3,240으로 대폭 낮췄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7월 말 코스피의 연중 고점을 넘어서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정책 모멘텀이 소진됐고, 미국 관세의 영향을 받을 3분기(7∼9월) 실적이 주가를 끌어올리기 어려워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유동성 증가라는 점에서 주도주의 상승과 강세장 추세는 전반적으로 변함이 없다"면서도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한 장기 금리 하방 경직성과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해 9월 주식시장은 조정세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반등 의견도 있다. 지난달은 정부 정책, 미 기준금리 인하 향방을 두고 기대와 경계심리 사이에서 코스피가 숨을 고르는 시기였다면 9월 중후반부터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등 호재가 나올 경우 이를 토대로 재도약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가 박스권에 머물며 단기 과열을 해소하는 국면이라고 본다"며 “미국 금리 인하, 중국 경기 부양 등이 확인되면 상승 반전이 가능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후가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며 “9월 후반부에는 3,100선 전후 지지력을 바탕으로 3,300선 돌파 시도가 가시화되고, 9월 말∼10월 초 역사적 고점 돌파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대신증권은 9월 코스피 범위를 2,950∼3,300으로 제시했다. 조아인 삼성증권 연구원은 “매년 9월 약세론이 불거지나 이는 과도한 편견이며 현재 상황을 볼 때 주식시장이 하락했을 때보다는 상승했을 당시와 유사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과거 9월 강세를 기록했던 시기의 특징은 △ 완화적 통화환경(2005, 2007, 2009∼2010, 2019년) △ 장기간 주식시장 침체 이후의 회복 국면(2004∼2005, 2012∼2013년) △ 정부의 경기 회복 및 증시 부양 노력(2005, 2009, 2020년)으로 현재와 유사하다고 봤다. 조 연구원은 “실적 모멘텀(동력)과 투자 포인트가 확실한 시장의 주도주(조선·방산·원전), 금리 인하 시기와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한 바이오, 9월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과 방한객 증가로 구조적인 성장세가 기대되는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 관광) 소비로 압축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특징주] KT 가입자 무단 소액결제 피해…보안주 강세

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이어지면서 10일 장초반 보안 기업들의 주가가 강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현재 통합보안솔루션 개발·공급사 SGA는 전 거래일 대비 20.91% 뛴 3845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간 싸이버원과 샌즈랩도 각각 22.64%, 8.84% 올랐다. KT는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사이버 침해 사실을 신고했다. 지난달 말부터 최근까지 주로 새벽 시간대 특정 지역의 KT 이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모바일 상품권 구매 등이 이뤄지며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기남부경찰청이 사건을 병합해 수사 중이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특징주] 코윈테크, 로봇·스마트팩토리 동반 성장 기대에 강세

코윈테크가 스마트팩토리와 자동화 로봇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기업이라는 증권가 평가와 글로벌 로보틱스 협력 소식에 힘입어 장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27분 기준 코스닥시장에서 코윈테크는 전 거래일보다 1880원(14.51%) 오른 1만48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유안타증권은 코윈테크가 이차전지 소재 관련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나, 별도 기준으로는 공장자동화(FA) 중심의 자동화시스템 회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 권명준 연구원은 “코윈테크는 자율이동로봇(AMR)을 이차전지 기업향으로 납품하고 있다"며 “경쟁이 치열해지는 이차전지 장비업체보다는 FA·로봇 기업을 비교 대상으로 삼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또한 코윈테크는 지난 3일 중국 기업 아이플러스모봇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로보틱스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행보가 글로벌 로보틱스 시장 공략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UDC 2025]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진입 가속…글로벌 결제 지형 흔든다”

지난 7월 미국에서 통과된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앞당기고 지급결제 인프라 전반의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전망이다. 금융계의 관심은 이제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금융 시스템을 어떻게 흡수하고 확장해 나갈 것인가'로 모이고 있다. 9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UDC) 2025'의 '제도권 금융과 블록체인의 만남, 그 시작 - 스테이블코인' 세션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사용 사례, 금융권 재편 과정 등이 논의됐다. 이종섭 서울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로스 에드워드(Ross Edwards) 리플 글로벌 금융기관 담당 시니어 디렉터(이하 로스)와 폴 밴시스(Paul Bances) 팍소스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성장 총괄(이하 폴)이 패널로 나와 토론했다. 한국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해야 할지, 아니면 달러 스테이블코인만으로 충분한지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국채 수요를 끌어올리고 글로벌 금융 질서 속 달러 위상을 강화하는 가운데, 한국이 이를 벤치마킹하려면 무엇을 유념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무조건 따라가기보다는 원화와 달러의 성격 차이, 그리고 한국 금융 시스템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폴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하려면 비축 자산의 요건을 잘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폴은 “비축 자산의 원칙은 자본 보존과 유동성 확보"라며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은 지연 없이 현금화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설계할 경우, 국채 시장의 유동성, 대규모 현금화 수요 대응 능력, 사용자 관리 체계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원화와 미 국채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를 고려하더라도 '신속한 현금화'와 '자본 보존'이라는 원칙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역내 한정 상품으로 갈지, 글로벌 확장을 목표로 할지에 따라 달러 스테이블코인과의 상호운용성까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로스는 미국 사례를 언급하며 “명확한 규제가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성공 요인이었다"고 짚었다. 다만 원화를 달러와 동일 선상에서 비교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달러는 글로벌 기축통화지만 원화는 지역 통화에 가까운 성격을 가진다"며 “한국은 기존 결제 인프라가 이미 안정적이기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은 오히려 외환(FX) 거래나 기업 간 결제에서 찾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나아가 “온체인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먼저 자리 잡아야 토큰화 자산이 자연스럽게 확산할 수 있다"며 “달러와는 다른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7월 미국 의회에서 '지니어스법'이 통과됐다. 가상자산이 제도권에 편입하면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규제 명확성을 확보한 이 법은 미국 내 지급결제 시스템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중대한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기존 신용카드와 은행 결제망을 보완하거나 일부 대체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폴은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뿐만 아니라 암호화폐·블록체인 전반의 결정적인 이정표"라며 “규제 확실성을 바탕으로 은행과 금융기관들이 본격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전략에 반영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의 강점은 24시간 주 7일 이용 가능하고 낮은 수수료, 높은 투명성에 있다"며 “일부 영역에서는 기존 결제망을 완전히 대체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또 “비자, 마스터카드 같은 글로벌 카드 네트워크도 스테이블코인을 지지하며 디지털 지갑과 결합 가능성을 모색 중"이라며 “금융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도 서비스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스는 “지니어스법으로 규제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도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 법은 미국의 투티어(two-tier) 은행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발행기관에 더 높은 기준을 부과하고, 도산 시 책임 요건과 자산 복구 규정을 명확히 했다"며 “소비자 보호와 발행사의 책임성이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카드 결제 네트워크 변화에도 주목했다. 로스는 “플라스틱 카드 시대는 저물고 있고, 모바일 기반 결제가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다"며 “비자, 마스터카드 등도 청산·결제 시스템 혁신을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연구·도입 중"이라고 전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