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던 중국 로보락이 이용자 개인정보 공유 논란 등으로 소비자 신뢰도에 타격을 입는 모습이다. 이에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시장 주도권을 되찾을 기회를 맞이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로보락 제품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 공유 문제가 불거지면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로보락은 중국 사물인터넷(IoT) 기업 '항저우투야인포메이션테크놀로지'에 한국 사용자 개인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고 적시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로보락 측은 “로봇청소기가 수집하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등은 서버에 저장되지 않으며, 제삼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고 해명하며 “한국 법률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쉽게 해소되지 않는 분위기다. 로보락 제품의 데이터 공유 정보를 접한 소비자들은 “중국 제품을 믿고 쓰기 어렵다", “개인정보 유출이 이미 발생한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로보락은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40%가 넘는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번 사건으로 인해 소비자 신뢰도 하락과 함께 점유율 감소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최근 저사양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던 중국의 딥시크가 정보 유출 우려로 각국에서 사용 금지 조치를 받으며, 로보락을 비롯한 중국산 로봇청소기 업체들에 대한 '백도어' 우려도 커지고 있다. 백도어란 인증을 받지 않고 망에 침투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경계심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로 로봇청소기 선택 시 보안성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 기업은 스마트 가전 전반에서 보안성을 강조해 왔으며, 로봇청소기에도 이를 반영해왔다. 삼성전자는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에 자체 보안 솔루션 플랫폼 '녹스'를 적용해 악성코드 감염, 불법적 접근 등의 위협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LG전자도 엄격한 품질·보안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최고 수준의 보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제품에 'LG 표준 보안개발 프로세스(LG SDL)'를 적용했다. 시장에서는 올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선보일 신제품에서 데이터 암호화, 로컬 AI 처리 방식 적용 등을 통해 보안성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양사는 올해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구체적인 출시 시점에 대해서는 양측 모두 “확인 불가"라는 입장이지만, 시장에서는 상반기 내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로봇청소기 신제품 출시를 앞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기존 기조대로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운다면, 향후 시장 구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로보락이) 보안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한 번 논란이 일면 그 제조사의 제품 사용을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며 “(삼성·LG 등) 국내 기업이 보안 기능을 중국 제품 대비 차별화 요소로 삼고 강화된 솔루션을 적용한 신제품을 내놓을 경우, 국내 기업의 점유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