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아이오닉5, 美 누적 판매량 10만대…현대차그룹 EV 최초

현대차의 첫번째 전용 전기차(EV) 아이오닉5가 현대차그룹 EV 중 처음으로 미국 누적 판매량 10만대를 넘겼다. 12일 현대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까지 아이오닉5는 현지에서 10만1453대 판매됐다. 미국에서 첫번째 판매 이후 3년 1개월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아이오닉5는 전기차 캐즘 뿐 아니라 미국산 전기차에만 보조금이 지급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라는 악재 속에서 출발했다. 실제로 2021년 12월 판매량은 153대에 그쳤다. 그러나 2023년 3만3918대, 지난해 4만4400대로 반등하면서 입지를 강화했다. 미국 재무부가 2022년말 상업용 전기차 대상 세액공제 조항(45W)을 확정한 영향이다. 이는 차량 대여(리스)·렌터카에 대해 원산지와 무관하게 세액공제 혜택을 부여하는 조항이다. 아이오닉5는 올해부터 조지아주 전기차 신공장(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본격 생산되면서 IRA 보조금 혜택도 받게 된다. HMGMA는 기존 30만대 수준인 연간 생산량을 50만대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으로, 아이오닉5 물량도 불어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이 테슬라가 쓰는 북미충전규격(NACS)을 지원하는 것도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전기차 의무화 정책 및 IRA 폐기를 공약으로 내걸고, 보편관세 부과도 추진한다는 점은 악재로 꼽힌다. 현대차그룹은 △아이오닉5 △기아 EV9 △제네시스 GV70 등 5개 차종의 미국 생산 비중을 70%로 높이는 등 현지생산-현지소비(지산지소) 전략을 앞세워 파도를 넘는다는 구상이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현대차그룹, 엔비디아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AI 전환 가속화

현대차그룹은 지난 9일(한국시각) 미국 네바다주(州)에 있는 퐁텐블로 라스베이거스(Fontainebleau Las Vegas) 호텔에서 엔비디아와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제조를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생성형 AI 등을 활용하여 첨단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적극 확보해 나가고 있으며 AI, 로봇 기술 등 혁신적인 자동화 방식을 적용한 스마트팩토리 생태계 '이포레스트(E-FOREST)'를 구축해 글로벌 제조 역량을 고도화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로보틱스 등 핵심 모빌리티 솔루션을 지능화하고 사업 운영 전반에 걸쳐 AI 기술 적용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 환경에서 신규 공장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조 효율성과 품질 향상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엔비디아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어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의 가속 컴퓨팅 하드웨어와 생성형 AI(인공지능) 개발 툴을 활용해 AI 모델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학습시키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밸류체인 전반에 필요한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의 로보틱스 플랫폼인 아이작(Isaac)으로 AI 기반 로봇을 개발하고 로봇 학습에 필요한 가상환경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한다. 김흥수 현대차그룹 GSO(Global Strategy Office) 본부장 부사장은 “현대차그룹은 로봇,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활용해 혁신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혁신들을 내실화하고 가속화해 미래 모빌리티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시 달(Rishi Dhall) 엔비디아 오토모티브 담당 부사장은 “생성형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가속 컴퓨팅 하드웨어 기술 등이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더 안정적이고 지능화된 차량을 만들고 높은 효율성과 품질로 제조 역량을 강화하며 혁신적인 로봇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위축되지 말자”던 정의선, 퍼펙트스톰 속 ‘R&D만 12조’ 과감한 투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과감한 투자를 결정했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투자의 절반을 연구개발(R&D) 분야에 집중시켰다. 치열해지는 자동차 시장 경쟁 속에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성장 동력을 적극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9일 현대차그룹은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24조3000억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이전 최대 기록인 지난해 20조4000원 대비 19%, 3조9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은 뛰어난 경영실적을 비롯해 다양한 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성과와 성장을 거뒀다. 그러나 올해는 내수 부진, 트럼프 2기 집권으로 인한 무역환경 변화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로 해법을 모색할 방침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6일 신년사에서 “우리 앞에 놓인 도전과 불확실성 때문에 위축될 필요는 없다"며 “외부로부터의 자극은 오히려 우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연구개발(R&D)투자 11조5000억원, 경상투자 12조원, 전략투자 8000억원을 각각 배정했다. 가장 눈에 띄는 투자 부문은 R&D다. 현대차그룹의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이전 대비 훨씬 커졌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3조7406억원, 지난해 약 4억원 정도였던 연구개발 투자액이 올해 약 12조원까지 증액됐다. 중국의 BYD 등 기술력을 갖춘 신흥강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수소차, EREV 등 미래차 개발에 집중해 수요를 지키려는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그룹은 기존의 하이브리드 모델과 연비와 성능을 강화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EREV(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 등을 앞세워 전기차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027년 출시 예정인 '제네시스 하이브리드' 탑재 예정이다. EREV는 전기차와 같이 전력으로 구동하지만 엔진이 전기를 생산해 배터리 충전을 지원하는 모델로 1회 충전시 1000㎞ 이상 주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신모델 개발을 꾸준히 확대해 전동화 전환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2030년 보급형부터 럭셔리, 고성능까지 21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하고, 기아도 2027년까지 다양한 목적기반모빌리티(PBV)를 포함해 15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특히 기아의 첫 번째 PBV모델 PV5는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이며, 보급형 전기차인 EV4·5도 올해 중으로 시장에 나올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SDV 분야 투자도 놓치지 않는다. SDV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정의되는 차를 뜻한다. 현대차는 SDV를 전기차 이상의 미래 먹거리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올해 소프트웨어 내재화를 통해 2026년까지 차량용 고성능 전기·전자 아키텍처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추후에도 적극적인 R&D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열린 CEO 인베스터데이서 “10년간 R&D 분야에 54조5000억원을 투자할 것"이라 밝혔다. 이어 경상투자는 EV 전환 및 신차 대응 생산시설 확충, 제조기술 혁신, 고객체험 거점 등 인프라 보완 등에 투입된다. 특히 그룹은 EV 전용공장 건설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다. 지난해 가동된 기아 광명 EVO Plant에 이어 올해 하반기 '기아 화성 EVO Plant'를 완공하고 PBV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또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 현대차 울산 EV 전용공장에서는 초대형 SUV 전기차 모델을 시작으로 다양한 차종을 양산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제조 경쟁력 향상을 위해 혁신적인 생산공법 도입에도 나선다. 현대차 울산 공장에 하이퍼캐스팅 공장을 신설한다. 하이퍼캐스팅은 차체를 통째로 제조하는 첨단 공법으로 전동화 차량 등 차세대 제품 성능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그룹은 신규 모빌리티 디바이스 개발, 로보틱스 비즈니스 등 신사업 다각화에도 나설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안전하고 자유로운 이동과 평화로운 삶이라는 인류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대내외 경영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적극적인 투자, 끊임없는 체질 개선, 변화와 혁신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지속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폭스바겐코리아, 전기 SUV ‘ID.5’ 출시 확정…부진 늪 벗어나나

2024년 힘든 한해를 보냈던 폭스바겐코리아가 올해 새로운 차량으로 돌아온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준중형 쿠페 SUV' ID.5 출시를 통해 한국 시장서 다시금 영향력을 뽐낼 방침이다. 폭스바겐코리아는 쿠페형 순수 전기 SUV ID.5의 한국 시장 공식 출시를 확정 지었다고 9일 밝혔다. 최근 폭스바겐은 한국 시장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왔다. 한국수입차협회(KAIDA) 2024년 수입 승용차 등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폭스바겐은 국내 시장서 전년 대비 19.3% 감소한 8273대 판매에 그쳤다. 판매 순위도 2023년보다 두 계단 내려온 9위를 기록했다. 국내 시장에 '하이브리드 붐'이 불면서 토요타, 렉서스 등 브랜드들이 반등한 반면 디젤 차량이 대부분인 폭스바겐은 소비자들의 선택지에서 멀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전기차 쪽에선 유의미한 판매량을 보였다. 폭스바겐의 전기차 모델 ID.4는 지난해 2613대 팔리며 전년 대비 163.1%라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처럼 전기차에서 희망을 본 폭스바겐은 올해 새로운 모델 'ID.5'를 출시한다. ID.5는 폭스바겐코리아가 한국 시장에 소개하는 두 번째 순수 전기차다. 폭스바겐 전기SUV 고유의 우아함과 탁월한 효율성, 쿠페 스타일의 유려한 디자인과 파워풀한 퍼포먼스를 두루 갖춘 쿠페형 전기SUV다. 특히 우수한 공기역학 성능과 더불어 강력하고 효율적인 드라이브 시스템, 편리하고 직관적인 컨트롤이 가능해진 대화면 신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보이스 어시스턴트 'IDA' 등 첨단 사양을 대거 탑재, 뛰어난 완성도로 폭스바겐 전기차 고객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한다. 쿠페형 e-SUV ID.5는 베스트셀링 e-SUV ID.4와 더불어 폭스바겐코리아의 수입 전기차 리더십 강화와 전동화 전략을 이끄는 쌍두마차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틸 셰어 폭스바겐코리아 대표이사 사장은 “ID.5는 매력적인 디자인과 퍼포먼스, 진보적인 첨단 사양을 두루 갖춘 폭스바겐 최초의 쿠페형 전기SUV"라고 소개하며, “ID.5를 필두로 폭스바겐은 전동화 리더십 강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현대차그룹, 올해 국내 투자 24.3조원…‘역대 최대’ 규모

현대자동차그룹이 대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국내에 역대 연간 최대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 현대차그룹은 이전 국내 최대인 2024년 20조4000억원 대비 19% 이상 늘어난 24조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금액으로는 3조9000억원이 증가한 규모다. 투자 규모에 대해 현대차그룹은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또 “고객·주주·시장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신뢰를 쌓아가려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은 뛰어난 경영실적을 비롯해 다양한 부문에서 괄목할만한 성과와 성장을 거뒀다. 그러나 올해는 그 어느때보다 돌발적인 경영환경 변수가 산재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해법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연간 최대 규모 국내 투자는 경제활성화와 연관 산업의 고도화 촉진으로 전후방 산업의 동반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투자는 중장기 투자 방향성에 따라 차세대 제품 개발, 핵심 신기술 선점, 전동화, SDV 가속화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집중된다. 현대차그룹은 △연구개발(R&D)투자 11조5000억원 △경상투자 12조원 △전략투자 8000억원을 각각 집행한다. 연구개발 투자는 제품 경쟁력 향상, 전동화, SDV, 수소 제품, 원천기술 개발 등 핵심 미래 역량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현대차그룹은 성능과 연비가 뛰어난 하이브리드 모델과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EREV(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 등을 앞세워 전기차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전기차 신모델 개발을 꾸준히 확대하며 전동화 전환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2030년 경제형에서부터 럭셔리, 고성능까지 21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하고, 기아도 2027년까지 다양한 PBV를 포함해 15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SDV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 내재화를 통해 2026년까지 차량용 고성능 전기·전자 아키텍처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경상투자는 EV 전환 및 신차 대응 생산시설 확충, 제조기술 혁신, 고객체험 거점 등 인프라 보완 등에 투입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도 EV 전용공장 건설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다. 지난해에는 기아 광명 EVO Plant를 가동하고 소형 전기차 EV3 생산을 시작했다.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기아 화성 EVO Plant를 완공하고 고객 맞춤형 PBV 전기차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 현대차 울산 EV 전용공장에서는 초대형 SUV 전기차 모델을 시작으로 다양한 차종을 양산할 계획이다. 전략투자는 자율주행, SW, AI 등 핵심 미래 사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집행된다. 2025년 국내 투자를 사업군별로 분류하면, 완성차 분야 투자액이 16조3000억원를 차지한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한 투자 외에 제조 경쟁력 향상을 위한 혁신적인 자동차 생산공법 도입에도 나선다. 이의 일환으로 현대차 울산 공장에 하이퍼캐스팅 공장을 신설한다. 하이퍼캐스팅은 차체를 통째로 제조하는 첨단 공법으로 전동화 차량 등 차세대 제품 성능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V, SDV 전환 대응 원천기술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내고, 차세대 연료전지 시스템 및 수소 버스·트럭 개발, 수소충전소 구축 등 HTWO Grid 솔루션을 위한 수소 제품 및 기술 연구와 생태계 구축에도 매진한다. 이 외에 신규 모빌리티 디바이스 개발, 로보틱스 비즈니스 등 신사업 다각화에도 나설 예정이다. 완성차 분야 외에 부품, 철강, 건설, 금융 및 기타 사업 분야에서도 신사업 발굴, 핵심 사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8조원의 투자를 단행한다. 부품 분야는 전동화 기술 개발 및 설비 투자, 완성차 분야의 신차 대응을 위한 생산 라인 신증설, SDV 전환, EV 및 하이브리드용 차세대 친환경 부품 개발, 전기차 모듈 신공장 구축 등을 추진한다. 철강 분야는 전력비용 감축을 위한 LNG 자가발전소 건설,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소화설비 신설, 안전 강화 관련 투자 등에 나선다. 건설 분야는 수전해 수소 생산 실증사업, 소형모듈원전,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인프라 구축 등 신사업 발굴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금융 분야 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IT 시스템, 인프라 개선을 추진, 물류 거점과 친환경 자동차 용선 확대, 차량 SW 플랫폼 관련 투자, 방산 및 철도 차량 관련 핵심 역량 확보에도 나설 방침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안전하고 자유로운 이동과 평화로운 삶이라는 인류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대내외 경영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적극적인 투자, 끊임없는 체질 개선, 변화와 혁신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지속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CES 2025] 현대모비스, 홀로그래픽 HUD 첫 공개…車 유리에 온갖 정보 담는다

현대모비스는 미국 라스베가스서 열린 CES 2025에서 차량 앞 유리창(윈드쉴드)을 활용한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을 실차에 적용해 글로벌 시장에 첫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기아의 전기차 EV9에 탑재하고 생중계 시연에 나서며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사용자 경험을 선사했다. 최근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대화면, 고화질, 신기술(3D, AR 등), 프라이버시 모드 등 사용자 경험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에 디자인까지 차별화해 차량의 실내 인상을 특별하게 바꾸고 있다. 완성차 업체들도 차량 내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해 다양한 기능의 첨단 디스플레이를 적용하고 있는 추세다. 현대모비스가 선보인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차량 유리창이 그대로 스크린이 된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됐던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두 사라지고 대신 앞 유리창 하단에 차량 사용에 필요한 주행 정보, 내비게이션, 음악 플레이리스트 등 각종 콘텐츠들이 선명하게 구현된다. 바깥에서 보면 그냥 투명한 유리창이지만 안에서는 온갖 정보가 생생히 전달되며 높은 밝기와 색재현율을 통해 밝은 외부 환경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은 차량 전면 유리창(윈드쉴드) 어디에나 이미지나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즉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 필요에 따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라는 광학 소자를 활용한 특수 필름을 사용하기에 가능하다. 일반적인 스크린과 달리 빛의 회절(휘어져 도달하는 빛의 파동 현상) 원리를 이용하는 이 필름은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이미지나 영상을 차량 운전석과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의 눈 위치로 효율적으로 전달해준다. 이 때문에 운전석에서는 조수석 승객의 화면이 보이지 않는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도 구현 가능하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차량 유리창 상단이나 하단, 측면 등 필름을 적용하는 위치에 따라 어디에나 자유롭게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아직 양산 사례가 없는 이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세계적인 광학 기업 독일 ZEISS와 공동 개발 중이다. 양사는 기술 시너지를 극대화해 내년 상반기 선행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 개발 과정을 거쳐 이르면 2027년부터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은 “시장 선도 기술 경쟁력과 고부가가치 핵심 제품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신기술을 선제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현대·기아 길 막아서는 ‘닛산·혼다 BYD’… ‘한중일 車삼국지’ 치열

일본 닛산과 혼다의 합병, 중국 BYD의 무서운 성장세와 한국진출까지 올해 동북아시아 자동차 업계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자동차그룹은 일본의 거대 기업과 파죽지세의 중국 업체를 모두 방어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장기적인 신차·친환경차 개발,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 등을 통해 이들과 경쟁에 적극적으로 임할 방침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의 자동차 기업 닛산과 혼다는 본격적인 경영 통합 협의를 시작하는 등 합병을 구체화하고 있다. 글로벌 업계의 전동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두 기업이 힘을 합쳐 극심한 부진을 극복하자는 취지다. 닛산과 혼다는 최근 글로벌 시장서 뚜렷한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판매량도 현대차그룹에 크게 뒤처졌을 뿐만 아니라 이렇다 할 전기차 모델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특히 중국 전기차 브랜들에 밀리며 텃밭이던 중국과 동남아시장도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합쳐졌을 땐 계산이 달라진다. 2023년 기준 혼다는 398만대, 닛산은 337만대를 판매했다. 양사 판매량을 합산하면 약 735만대로 3위 현대차그룹(730만대)를 뛰어넘는 기록이다. 단숨에 글로벌 판매량 3위 거대 자동차 기업이 탄생하는 셈이다. 반면 대부분 업계에선 이들의 합병을 '일본판 스텔란티스'라며 비판하고 있다. PSA그룹과 FCA그룹의 합병으로 등장한 스텔란티스는 출범 이후 오히려 판매량이 급감하며 현재까지도 부진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합병을 통한 R&D 비용 절감으로 적극적으로 신차, 기술 개발에 전념할 수 있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이다. 특히 혼다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닛산은 전기차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시너지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 아직까진 이들이 현대차그룹 판매량에 영향을 미치진 못할 전망이지만 매력적인 전동화 모델이 출시된다면 언제든 수요를 빼앗길 수 있다. 갑작스러운 일본 거대 경쟁자 탄생에 이어 전기차 최강자의 '한국 공습'도 예정됐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에 오른 중국의 BYD는 오는 16일 한국 승용시장 진출을 공식화한다. 극심한 캐즘으로 힘든 전기차 내수 시장에 강력한 상대가 등장한 것이다. BYD는 이미 세계적인 기업으로 거듭났다. 에너지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2024년 1~11월 글로벌 전기차 등록대수 현황에 따르면 BYD는 이 기간 동안 367만3000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43.4%의 성장률과 함께 전체 1위를 기록했다. 전기차 최강자인 테슬라가 전년 대비 2% 역성장하는 동안 그 자리를 뺏어버렸다. 같은 기간 현대차그룹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2% 하락한 51만대를 판매에 그쳤다. BYD의 무기는 '저렴한 가격'이다, 정부의 든든한 지원, 값 싼 인력 그리고 내재화를 통한 엄청난 생산비용 절감 등을 통해 타 브랜드 전기차 대비 1000~2000만원 저렴한 가격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세계를 제패한 BYD의 다음 타깃은 한국이다. 반중감정이 가득한 시장인 탓에 험난한 여정이 예상되지만 분명히 이들의 전기차를 구매하는 수요는 존재할 것이다. 이들의 첫 모델로 예상되는 아토3의 경우 글로벌 시장서 동급인 기아 EV3 보다 약 1000만원 이상 저렴하다. 아무리 중국산에 대한 불신이 깊은 소비자들이어도 구매비용이 파격적으로 낮다면 이끌릴 수밖에 없는 것이 시장의 원리다. 게다가 화재에 안전한 LFP 블레이드 배터리가 탑재됐다는 점도 국내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올해를 '위기의 해'로 인식하고 신차 개발, 해외생산 확대,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장기적인 경쟁에 돌입할 것임을 밝혔다. 내수시장서는 아이오닉9, EV4·5 등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해 BYD 공세에 대응하고 팰리세이드 HEV 등 하이브리드 모델도 늘려 전동화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보급형 전기차 EV4·5로 BYD의 저가공세에 대응한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는 추후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전환까지 고려하면서 장기적인 관점으로 BYD와 경쟁할 방침이다. 지난 6일 열린 현대차그룹 신년회에서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충전 인프라부터 SDV 전환까지 모든 생태계를 전기차 경쟁에서 고려하고 있다“며 "전체적인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닛산·혼다의 등장과 트럼프 2기 집권 등으로 복잡해질 글로벌 시장에선 유연한 대응을 통해 판매량을 확보하고 조지아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공장 등 해외 공장 생산능력을 확대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또 글로벌 시장서 경쟁력을 갖춘 제네시스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구축해 세계 소비자들의 구미를 자극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미래차 시장을 이끌 EREV 개발도 나선다. EREV는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각각 적용한 차량이다. 이어 현대차는 미국 제네럴모터스(GM), 일본 토요타 등과 협력을 통해 몸집을 키우고 생산 비용 절감, 효율성 증대 방안 등을 모색할 예정이다. 장재훈 부회장은 “볼륨보다도 내실, 얼마만큼 질적 성장을 하느냐 그 부분이 중요하다“며 "기술 측면, 원가 측면에서 품질과 더불어 과거와는 또 다른 부분에서 성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CES 2025] 토요타 ‘우븐 시티’ 1단계 완공 발표…올 가을 오픈 목표

토요타자동차는 미국 라스베가스서 열린 CES 2025에서 자사의 혁신적인 모빌리티 테스트 코스인 '토요타 우븐 시티(Toyota Woven City)'의 1단계 건축이 완료됐음을 발표하고 2025년 가을 이후의 공식 론칭을 위한 준비를 본격화했다고 7일 밝혔다. 토요타는 2018년 CES에서 모빌리티 컴퍼니로의 변혁을 선언한 후 2020년 CES에서 '우븐 시티' 구상을 처음 공개했다. 우븐 시티는 2021년 2월 23일 일본 시즈오카현 스소노시의 토요타 히가시후지 공장 부지에서 기공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건축에 들어갔으며, 2024년 10월 말 최초 실증을 위한 1단계 건물이 완성됐다. 우븐 시티는 친환경적인 설계와 더불어 '삶의 질 향상(Quality of Life)'을 목표로 하는 도시로 설계됐으며 이를 인정받아 일본 최초로 “LEED for Communities"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 인증을 획득했다. 현재는 내부 설비 공사 및 인프라 구축이 진행 중이며, 2025년 가을 이후 실증을 시작으로 공식 론칭될 예정이다. 또 기존 히가시후지 공장의 일부 건물은 리노베이션을 통해 모노즈쿠리(장인 정신)의 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동시에 2단계 조성 공사도 시작되어 1단계에서의 경험을 기반으로 모빌리티 테스트 코스에 필요한 요건을 반영하고 있다. 우븐 시티는 '자신 이외의 누군가를 위해'라는 철학을 가진 '인벤터스(Inventors)'가 모빌리티의 확장을 목표로 제품과 서비스를 실증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인벤터스에는 토요타 그룹을 비롯한 외부 기업, 스타트업, 창업자 등이 포함된다. 토요타의 제조 기술과 WbyT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사회 문제 해결과 미래를 위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우븐 시티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사람들은 '위버스(Weavers)'라 불리며, 이들은 실증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도시의 가치를 함께 창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초기에는 토요타 및 WbyT 관계자와 그 가족 약 100명이 거주하며, 점차 외부 인벤터스와 그 가족들로 확대될 예정이다. 1단계 지역 최종 인구는 약 360명, 전체 도시 완성 시 약 2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토요타는 ENEOS, 일본전신전화(NTT), 린나이 등 기존 파트너와의 협력을 지속하며, 2025년 여름에는 스타트업과 기업가를 대상으로 한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모집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한 대학 및 연구기관도 우븐 시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토요타와 WbyT는 이동 수단의 개념을 넘어 사람, 물건, 정보, 에너지를 연결하는 모빌리티의 확장을 통해 사회와 개인의 가능성을 넓히고, '행복의 양산'이라는 공통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 육·해·공 모빌리티를 넘어 우주 분야로의 확장을 목표로, WbyT는 인터스텔라 테크놀로지스에 대한 출자와 로켓 양산화 지원을 결정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전기차 화재 때만 후끈…마이배터리 자율 등록 12월 달랑 10건

전기차 배터리 정보(식별번호)를 온라인에 자율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마이배터리 서비스 이용자가 지난해 화재 사고 당시에만 크게 늘었다가 연말 다시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파악된다. 전기차 화재 사고에 대한 관심이 옅어지는 상황에서 안전성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인 대책을 추진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1년 동안 마이배터리 등록은 784건 수준이다. 지난해 국내에 보급된 전기차가 54만여대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0.15% 가량에 불과하다. 마이배터리는 전기차 소유자가 배터리 정보(식별번호)를 온라인에 자율적으로 등록하도록 한 서비스다. 등록 정보는 차량 화재 시 조사기관에 제공돼 조사기간 단축과 제작결함 조사 등에 활용된다. 다만 올해 등록마저도 대부분 지난해 8월에 685건(전체의 87.37%)이 몰린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8월 인천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가 화재로 전소되면서 '전기차 포비아(공포증)'가 극에 달하면서 소비자의 우려가 확산됐다. 이에 많은 소비자들이 마이배터리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배터리를 등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지난해 8월을 제외하면 나머지 11개월 동안 배터리 등록은 99건으로, 월평균 9건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8월 이후 9월에 28건, 10월에 17건로 다소 많았으나 11월과 12월에는 각각 0건과 10건으로 8월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전기차 화재 사고가 주목받기 직전인 지난해 7월 마이배터리 등록 건수가 10건에 그쳤다. 지난해 전기차 화재 사건으로 한 때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됐지만 금방 시들해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공단은 지난 2023년 11월부터 마이배터리 서비스 시작했다. 그러나 마이배터리에 차량을 등록할 수 있게 하려면 차량 제조사와의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배터리 식별번호는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고,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조회해 알려주는 시스템도 일부 제조사만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마이배터리에 등록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는 현대차·기아, BMW, 테슬라, KG모빌리티 등의 완성차 업체게 탑재된 것에 불과하다. 다른 완성차 제조사는 고객이 관심이 없다는 이유로 공단과 협력을 등한시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완성차·배터리 업계에서는 배터리 등록·관리에 대한 관심을 높여 소비자의 불안을 덜고 안전성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음달 차량 등록 시 배터리 정보도 반드시 등록하도록 한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행을전기차 화재 때만 잠시 관심…마이배터리 자율 등록 12월에는 10건 앞두고 배터리 등록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알릴 필요가 있다는 시각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마이배터리 등록 누적 건수가 기대에 크게 못미치는 상황"이라며 “고객이 관심을 가지고 등록·관리할 수 있도록 마이배터리 서비스에 대해서 더욱 알릴 필요가 있고 배터리 안전성에 대해서도 중장기적인 관리 방안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윤동 기자 dong01@ekn.kr

갈수록 덜 팔리는 수입차, 하이브리드가 올해 성적표 좌우

계속되는 고금리, 경기침체로 인해 수입자동차 시장이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반면 하이브리드차를 보유한 토요타, 렉서스, 혼다 등 일본 3사는 웃었다. 이 흐름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하이브리드 기술력'이 곧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7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지난해 수입 승용차 등록현황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시장에 판매된 수입차는 26만32881대로 전년 대비 2.9% 감소한 기록을 보였다. 지난해부터 집계된 테슬라 판매량을 제외하면 2023년 대비 11.9% 감소한 것이다. 수입차 시장의 하락세는 2년째 이어졌다. 2023년에도 전년 대비 4.4% 하락한 판매량을 보였다. 약 3만대 팔린 테슬라를 제외한 벤츠, BMW, 볼보, 아우디 등 대부분의 메이저 수입차 브랜드들은 일제히 하락세 기록했다. 업계에선 수입차 시장의 연속 부진 원인에 대해 불경기로 인해 얇아진 소비자들의 지갑사정을 꼽았다. 불황으로 인해 국산차를 포함한 전체적인 자동차 내수 시장이 침체됐는데 값이 더 나가는 수입차의 경우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국내 시장에 등록된 신차는 143만9310대로 전년 대비 4.5% 떨어졌다. 이에 대해 정윤영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부회장은 “2024년 수입 승용차 시장은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수요둔화와 일부 브랜드의 물량부족 등으로 2023년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잘나가던 브랜드들도 부진을 면치 못한 반면 토요타, 렉서스, 혼다 '일본 3사'는 웃었다. 세계적인 하이브리드 기술을 통해 한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렉서스, 토요타는 전년 대비 각각 3%, 14.3% 증가세 보였고 혼다는 2507대로 판매량은 적지만 81%라는 고성장을 기록했다. 최근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상품은 단연 '하이브리드차'다. 내연기관차보다 연비가 좋고 전기차보다 편리해 소비자들의 많은 선택을 받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하이브리드차는 전년 대비 27.6% 오른 39만4613대 판매를 기록했다. 내연기관, 전기차 모두 하락세를 보인 것과 대조되는 결과다. 수입차 시장도 마찬가지로 마일드하이브리드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등록 물량은 13만4426대로 전년 대비 46.6% 증가했다. 일본 3사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열풍에 제대로 올라탔다. 특히 한국 소비자들이 익숙한 현대차그룹의 하이브리드 방식과 유사한 수입 브랜드가 일본 3사 밖에 없는 것이 주효했다. 현대차와 일본 3사의 하이브리드차는 충전이 필요 없고 저출력엔 전기모터가 고출력엔 엔진이 돌아가면서 연비를 절약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반면 벤츠, BMW, 아우디 등도 하이브리드 모델을 판매 중이지만 그들은 충전이 필요한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차량은 유럽이나 미국에선 인기가 많지만 충전이 귀찮은 한국 소비자들에겐 큰 인기가 없다. 볼보의 하이브리드 차량들도 마일드하이브리드 방식으로 현대차나 일본 3사가 판매하고 있는 차량들과 다른 방식으로 구동되고 있다. 특히 연비가 그다지 좋지 않다. 업계에선 고금리, 불경기, 달러 강세로 수입차 시장의 부진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올해 역시 전년과 유사하게 '하이브리드 라인업 유무'가 성적을 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불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보다 연비가 좋은 하이브리드차의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충전의 불편함이 있는 PHEV보다 일본 3사가 보유한 보편적인 하이브리드 기술이 더욱 각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