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3분 건강] 봄날의 낮술, 알코올 의존증 부른다](http://www.ekn.kr/mnt/thum/202504/news-a.v1.20250413.33b22708d4e14df586852f8bf41562b0_T1.jpg)
화창한 날씨에 낮술의 유혹도 덩달아 커지는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과 화창한 분위기 속에서 가볍게 한잔 하려다가 과음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다. 낮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알코올이 체내에 더 빠르게 흡수되며, 이로 인해 술이 금세 몸에 돌고 혈중 알코올 농도도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지나친 양의 알코올 섭취는 간세포에 지방을 축적시키고, 알코올 분해로 생기는 대사산물은 간 손상을 일으킨다. 간의 휴식시간이 없이 술을 자주 마시면 손상된 간세포가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할 확률도 높아진다. 게다가 기분 전환이나 여유를 즐기기 위한 가벼운 음주로 시작된 낮술이 반복되거나 과음할 경우 감정 조절 능력을 떨어뜨리고 충동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어 문제다. 다사랑중앙병원(보건복지부 지정 알코올질환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하운식 원장은 “음주 후에 자책이나 후회를 자주 느낀다면 알코올 의존 가능성을 의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전문가들은 습관적인 낮술은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시 '의존 위험'을 판단하는 주요 신호 중 하나로 보고 있다. 하 원장은 “술이 없으면 불안하거나 짜증이 나는 금단 증상이 반복되거나, 음주 조절이 어렵다고 느껴질 때는 혼자 무작정 참기보다는 중독 전문기관이나 알코올치료 전문병원을 찾아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술을 마신 후에는 숙취해소에 신경을 써야 한다. 며칠간 숙취 현상이 계속된다면 다른 질병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숙취가 오래 가는 것일 뿐이라고 함부로 단정짓지 말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음식, 특히 더운 국물을 먹으면 몸에 있는 숙취유발의 주범인 아세트 알데하이드가 신진대사를 거쳐 잘 배출된다. 그런데 술 마신 뒤 위·간이 부담스러운 상태에서 자극적인 음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매운 국물보다는 맑은 국물이 좋다는 얘기다. 또한 산책이나 가벼운 운동, 스트레칭 등을 하는 것도 숙취해소뿐 아니라 기분 전환을 위해 좋은 습관이다. 한의서 '동의보감'에는 숙취 해소법으로 '발한 이소변(發汗 利小便)'이 등장한다. 땀을 많이 내고 소변을 배출한다는 뜻이다. 따뜻한 물에 샤워를 하면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알코올 대사를 촉진한다. 그러나 한증막이나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물로 샤워하는 것은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따뜻한 물로 양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머리를 감은 후 빗질을 하면서 두피를 자극하면 머리에 모여 있는 여러 경락혈들을 자극하여 술을 빨리 깰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뜻한 물이나 음료를 수시로 마셔주면 속도 달래고 이뇨작용도 원활히 도와준다. 술을 마신 후 숨이 가빠지고 심장이 두근거리는 사람이 폭음을 할 경우 알코올성 심근증으로 인해 실신이나 심장이 멎는 돌연사까지 우려된다. 알코올이 체내에서 분해될 때 발생하는 숙취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심장 수축을 방해하는 등 심장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박효순 기자 anyto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