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임진영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임진영 기자 입니다.
  • 정치경제부
  • ijy@ekn.kr

전체기사

투르크 ‘반쪽 계약’ 대우건설, 尹 홍보에 ‘곤란’

대우건설이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 인해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대통령실이 작년 6월 윤 전 대통령의 투르크메니스탄 방문 도중 대우건설의 3조원대 플랜트 수주를 '영업 실적'으로 대대적으로 홍보했는데, 정작 대우건설이 실제 따낸 공사는 반도 안 되는 1조원대에 그치면서 '과장 홍보' 논란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지난 18일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요구를 통해 최근 언론을 통해 공개됐던 투르크메니스탄 비료공장 건설 프로젝트 수주에 대해 이례적으로 '구구절절한' 해명을 했다. 요지는 당초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진행되는 총 3조원 규모의 요소-암모니아 비료 공장, 미네랄 비료 공장 프로젝트에 각각 입찰했는데, 당초 예상과 달리 요소-암모니아 비료 공장 최종 입찰에서는 떨어지고 1조원 규모 미네랄 비료 공장 프로젝트만 따내다는 설명이었다. 대우건설은 특히 “금액과 기간에 대한 최종 통보는 공사계약서에서 규정하는 조건 등에 따라 확정될 예정"이라며 “ 최초 보도된 비료 공장 프로젝트 2건 중 1건에만 참여함에 따라 계약 금액과 기간은 미확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18일자로 체결된 '수주 기본합의서(Framework Agreement)'에 대해 “본계약에 해당하지 않으며, 수주 추진 과정에서 당사자 간 향후 계약 체결을 위한 상호 이해와 협력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체결됐다. (계약이) 구체적으로 확정되는 시점 또는 6개월 이내에 재공시 하겠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대우건설이 이처럼 이례적으로 '반쪽 수주'에 대한 해명에 나선 것은 한국거래소가 투자자들에 대한 정보 제공 차원에서 경위를 설명하는 조회공시요구를 해왔기 때문이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작년 6월 10일 투르크메니스탄 국빈 방문에 나서면서 대통령실이 대통령의 세일즈 외교를 대내외적으로 홍보하면서 대우건설이 현지에서 '3조원 규모'의 계약을 맺은 것처럼 알려진 것이 문제가 됐다. 실제 윤 전 대통령이 현지에 도착한 다음날인 6월11일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 일디즈 호텔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내 중앙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대우건설이 3조원 규모의 비료 암모니아 플랜트 건설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고 시장을 공략 중이고 국빈 방문을 계기로 투르크메니스탄 현지에서 60억 달러(약 8.5조원) 규모의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혔었다. 대우건설 측은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대우건설이 고의로 공사 수주 규모를 부풀려 성과를 과시하려 했다는 의혹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작년에 3조원 규모의 수주가 기대된다고 대통령실을 통해 얘기가 나왔을 때도 업무협약 단계에 있다고 대외적으로 명확히 공표했었다"면서도 “업무협약 단계에선 얼마든지 최종 계약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대우건설이 대통령실의 '지나치게 낙관적인 홍보'로 인해 본의 아니게 곤란한 상황에 처해진 셈이다. 다만 업계에선 대우건설이 다소 억울하긴 하지만, 회사 홍보에 이용한 것도 분명한 사실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대우건설은 작년 10월 21일 보도자료에서 “지난 6월 윤석열 대통령의 투르크메니스탄 공식방문 시 본 사업의 적극적인 협조 요청과 9월 박상우 국토부장관의 현지방문 지원요청 등 보이지 않는 정부의 노력과 협조를 통해 최종 프로젝트 낙찰 성과로 이어지게 됐다"고 명시했었다. 임진영 기자 ijy@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