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웅제약이 오는 2030년까지 연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 의약품 3개 확보' 비전에 힘을 싣고 있다. 28일 대웅제약과 증권가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최근 의약품 연구개발(R&D) 간담회를 개최하고 향후 R&D 투자 계획과 성장전략 방향을 공개했다. 간담회에서 대웅제약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 등 3대 의약품을 2030년까지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현재 미국에서 시장점유율 11%를 기록하고 있는 나보타는 향후 주름개선 등 미용목적뿐 아니라 양성교근비대(사각턱) 등 치료목적 적응증을 확대해 오는 2028년 매출 1조원 진입을 달성한다는 목표이다. 펙수클루도 2030년 매출 1조원 돌파를 위해 국내에서 지난 4월부터 종근당과 함께 공동판매를 시작했고, 이어 내년 상반기 중국에서 승인 획득 뒤 하반기에 출시로 본격적인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도 내년 중국 출시를 앞두고 있다. 대웅제약은 경쟁약물인 아스트라제네카 '포시가'를 처방받은 환자가 자사의 엔블로로 전환하면 포도당 제어 능력이 개선된 임상결과를 확인한 만큼 기존 당뇨병 치료제를 빠르게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같은 '3대 블록버스터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대웅제약은 R&D 투자를 지속 확대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다올투자증권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대웅제약의 R&D 방향이 '안티에이징(노화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평가해 눈길을 끌었다. 다올 보고서는 “대웅제약이 자가면역질환, 섬유증, 대사질환, 암 등 노화가 유발하는 4개 질환에 주목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며 “자체 개발중인 항암제 후보물질이 내년 임상 1상 신청을 목표로 하는 등 핵심 파이프라인에 대해 자체 R&D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투자증권 역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의 15%를 차지하는 세계 2위 시장 중국에서 내년 펙수클루와 엔블로가 동시에 발매를 앞두고 있어 실적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긍정 평가했다. 이어 “(대웅제약이) 펙수클루, 엔블로 등 차별화된 효능으로 성공 사례를 만들어 가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혁신신약 개발에도 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같은 블록버스터 전략 차원에서 최근 2년간 매년 2000억 원 이상을 R&D에 투자해 온 점, 동시에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유망 후보물질 도입에 적극 나선 점을 대웅제약의 미래성장 원동력으로 시장은 공통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김철훈 기자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