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권대경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권대경 기자 입니다.
  • 정치경제부
  • kwondk213@ekn.kr

전체기사

안덕근 산업장관, 美노스다코타 주지사 면담…“정책 연속성 유지돼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더그 버검 미국 노스다코타 주지사가 지속적인 한미 양국 발전을 위한 안정적인 협력 관계에 대해 논의했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자리에서 안 장관은 “수소 산업을 육성하고 탄소포집 기술을 고도화해 탄소중립 사회 목표를 달성하려는 한국과 미국 7대 수소 허브인 '하트랜드 수소허브'의 핵심 지역인 노스다코타 사이에 협력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 장관은 “한국 기업들이 노스다코타를 포함한 미국 전역에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투자·경영 환경을 조성하는 데 버검 주지사의 관심과 지지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또 자리에서 양측은 핵심 경제협력 파트너로 발전한 한미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 안정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한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나아가 안 장관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법 등 양국의 경제·투자 협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미국의 주요 정책이 연속성 있게 유지돼야 한다는 뜻을 전했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정부, 6개월째 ‘내수 회복’ 평가, 수출 완연한 호조세

정부가 여섯 달째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이 이어지고 내수는 서비스업 개선을 근거로 완만한 회복 조짐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고 있으나, 불확실성 요인으로는 주요국 경기둔화 우려와 함께 원자재 가격 변동성을 지목했다. 18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 따르면 정부는 서비스업 개선 등을 근거로 지난 5월부터 내수에 대해 '회복 조짐'이라면서 수출과는 온도 차가 있다는 진단을 내렸다. 특히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 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설비투자·서비스업 중심의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 속에 부문별 속도 차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실제 8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2% 늘어 석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소매판매도 1.7% 늘어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 줄어든 수준으로 감소세다. 지난달 소매판매의 경우 신용카드 승인액과 자동차 내수 판매량의 증가가 긍정적 요인으로, 소비자 심리지수 하락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국민 삶의 질 제고와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역동경제 로드맵을 병행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 소비자 심리지수는 지난달 100.0으로 한달 전보다 0.8포인트(p) 하락했다. 소비자 심리지수는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기대 심리를 보여주는 지표로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2003∼2023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설비투자는 7월에 전월 대비 10.2% 증가했다가 8월에 5.4% 감소했다. 정부는 7∼8월 합쳐서 보면 증가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수출은 완연한 호조세다. 지난달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7.5% 늘어 12개월째 증가세를 지속했다. 수출 호조에 8월 광공업 생산도 전월보다 4.1% 증가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3.8% 증가한 수치다. 물가는 안정세가 확대되고 있다는 진단을 지난달에 이어 유지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6% 올라 2021년 3월(1.9%) 이후 처음으로 상승률이 1%대로 낮아졌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제2 티메프’ 막는다…이커머스 판매대금 20일 내 정산해야

앞으로 이커머스 사업자는 소비자가 구매를 확정하면 20일 이내 판매대금을 입점 사업자에게 지급해야 한다. 또 판매대금의 50% 이상을 금융기관 예치를 의무화해 플랫폼이 파산해도 입점 사업자가 대금 일부를 돌여받을 수 있게 한다. 이른바 '제2의 티메프 사태'를 막기 위한 조치다. 공정거래위원회가 18일 내놓은 '대규모유통업법 개정 방안'을 보면 법 적용 대상 사업자는 국내 중개거래 수익(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이거나 중개거래 규모(판매금액)가 1000억원 이상인 온라인 중개거래 사업자다. 소비자가 구매를 확정한 날로부터 20일 이내 직접 혹은 결제대행업체(PG사)가 관리하는 판매대금을 입점 사업자와 정산해야 한다. 법 적용 대상 사업자의 평균 정산기일이 20일인 점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숙박·공연 등 구매 이후 서비스가 공급되는 경우 소비자가 실제 이용하는 날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정산해야 한다. 플랫폼이나 PG사가 정산 기한 3영업일 전까지 판매대금을 받지 못하면 대금 수령일로부터 3영업일 내 정산할 수 있도록 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개정안이 입법화되면 수많은 입점 소상공인의 거래 안전·신뢰성이 제고되고 온라인 중개 거래 시장의 공정성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플랫폼이 직접 판매대금을 관리하는 경우에는 판매대금의 50% 이상을 금융기관에 별도로 예치하거나 지급보증보험에 가입하도록 하는 안도 방안에 포함했다. 플랫폼이 파산하는 경우에도 입점 사업자에게 판매대금을 우선 지급하고 다른 채권자보다 먼저 변제받도록 하겠다는 취지에 따른 것이다. 관련해 공정위는 사업자들이 새 법안에 대비할 수 있도록 법안 공포 후 1년의 유예기간을 둔다. 나아가 공정위는 판매대금 정산 기한도 단계적으로 단축하고 판매대금 별도 관리 비율도 점진적으로 상향할 방침이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고용부 브랜드평판 결과…근로복지공단 1위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2024년 10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근로복지공단 2위 한국산업인력공단 3위 한국잡월드 순으로 분석됐다.​​​ 18일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 따르면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12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2024년 9월 18일부터 2024년 10월 18일까지의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33,872,005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9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32,561,812개와 비교하면 4.02%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2024년 10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순위는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잡월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건설근로자공제회,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노동교육원,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순이었다.​​​​​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근로복지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3,793,289 미디어지수 1,657,906 소통지수 1,090,206 커뮤니티지수 940,954 사회공헌지수 205,45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687,811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7,314,621과 비교해보면 5.10% 상승했다.​ ​2위, 한국산업인력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2,353,307 미디어지수 1,324,397 소통지수 1,214,034 커뮤니티지수 647,956 사회공헌지수 103,34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643,038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4,768,545와 비교해보면 18.34% 상승했다.​ ​3위, 한국잡월드 브랜드는 참여지수 1,587,426 미디어지수 708,422 소통지수 800,567 커뮤니티지수 389,638 사회공헌지수 139,2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625,325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2,912,203과 비교해보면 24.49% 상승했다.​ 4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1,013,496 미디어지수 764,895 소통지수 367,372 커뮤니티지수 441,951 사회공헌지수 435,54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023,259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3,159,351과 비교해보면 4.31% 하락했다.​ 5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브랜드는 참여지수 147,082 미디어지수 505,150 소통지수 158,028 커뮤니티지수 804,922 사회공헌지수 890,5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505,695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2,697,188과 비교해보면 7.10%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4년 10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결과, 근로복지공단 ( 대표 박종길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며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9월 고용노동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32,561,812개와 비교하면 4.02% 증가했다“고 말했다. 구 소장은 이어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0.23% 상승, 브랜드이슈 8.40% 상승, 브랜드소통 4.04% 상승, 브랜드확산 10.19% 상승, 브랜드공헌 3.05% 하락했다"라고 분석했다. ​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고독사 10명 중 6명 50·60대…빈곤·일자리가 원인, 청년층은 자살이 압도적

홀로 외롭게 삶을 마감하는 한국인이 매년 늘어나 한해 4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년층은 퇴직이나 이혼 등의 가족해체 등으로, 청년층은 구직 실패와 경제적 이유로 사회에서 고립되면서 고독사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50·60대가 전체 고독사의 60%를 넘었으며, 청년층은 자살로 인해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3661명이 고독사로 생을 마감했다. 이는 전체 사망자의 1.04%에 해당한다. 100명의 사망자 중 1명은 고독사로 죽음을 맞이하는 셈이다. 고독사 조사는 공식적으로 이뤄지지 않다가 2021년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고독사 예방법)' 시행으로 이듬해 12월 복지부가 실시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조사 결과를 보면 2021년 고독사 사망자는 총 3378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06%를 차지했다. 이후 고독사 사망자는 2022년 3559명을 기록했고, 지난해 3661명으로 늘었다. 복지부는 1인 가구 증가를 고독사 사망자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실제 1인 가구는 2021년 716만6000명에서 2022년 750만2000명, 지난해 782만9000명으로 매년 크게 늘고 있다. 또 지난해 6월 법 개정으로 고독사 대상이 늘어난 것도 전체 숫자 증가의 원인으로 꼽힌다. 당초에는 '홀로 사는 사람'을 고독사 대상으로 봤으나, '사회적 고립상태에서 생활하던 사람'으로 대상의 범위가 넓어진 것이다. 고독사는 장년층인 50·60대에 집중됐다. 연령대별로 60대 고독사 사망자는 2022년 31.4%(연령 미상 제외)였고, 2023년은 31.6%를 차지했다. 50대 역시 각각 30.4%와 30.2%를 기록했다. 전체 고독사 사망자 10명 중 6명이 50대와 60대인 것이다. 성별로는 50대와 60대 남성 고독사 사망자는 2022년과 지난해 전체 고독사의 무려 54.1%와 53.9%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노정훈 복지부 지역복지과장은 “50·60대 고독사는 사별이나 이혼, 알코올 관련질환 등 고질적인 만성질환, 주거 취약 등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며 “내년에 고독사 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고독사 의심 위험 가구'를 추출해 지방자치단체에 명단을 제공해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층의 특징은 고독사 사망자가 많지만 상당수가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점이다. 청년층 고독사 사망자가 전체 고독사 사망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3.9%인데 반해, 같은 해 20대 고독사 중 자살 비중은 71.7%, 30대도 51.0%나 된다. 2023년 전체 고독사 중 자살 사망자는 14.1%였지만, 20대는 59.5%, 30대는 43.4%에 달했다. 2022년과 지난해 모두 연령대가 낮을수록 자살로 인한 고독사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돼 자살 예방정책과 연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9월 자동차 수출 55억달러…역대 최고 실적 기록

지난 9월 자동차 수출액이 55억 달러(+4.9%)를 기록해 역대 9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9월까지 누적 수출액도 529억 달러(전년동월 대비 +1.6%)로 최고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7일 내놓은 '2024년 9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9월 실적은 기존 최고였던 2023년 9월 52억 달러를 뛰어넘는 수치다. 주로 전기차 신차인 기아 EV3 수출 본격화와 SUV 수출 확대, 한국지엠의 수출 회복세 등이 9월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친환경차 수출은 19.6억 달러(전년동월 대비 +12.3%)를 기록하면서 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특히 투싼, 싼타페, 카니발 등 하이브리드차(9월 10.1억 달러, +75.6%)가 수출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국내 생산량은 30만.7000대로 작년 9월보다 1.7% 증가했다. 지난해 9월보다 조업일수는 하루 감소(평일 기준)했지만, 주요 완성차사는 해외 수요를 바탕으로 생산을 확대하면서 3개월 만에 월 생산 30만 대를 회복했다. 내수 판매량은 지난해 9월보다 2.3% 감소한 13.1만 대를 기록했다. 다만, 친환경차 판매는 5.9만 대로 작년 9월과 비교해 37.9% 증가했으며,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4.6만 대(+60.4% +63.9%)가 판매되며 월 최고 실적(기존최고 '23.12월 4.1만 대)을 경신했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AI 적용 R&D 프로젝트 600개 추진…산업기술 혁신 가속화

정부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연구개발(R&D) 프로젝트 600개를 추진한다. 산업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다. 또 기업이 산업 현장에서 AI 활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내용을 지원한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타이어 판교 테크노플렉스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제3차 산업디지털전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AI+R&DI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은 지난달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표한 산업 AI 전환 확산 방안의 후속 조치다. 또 5월 출범한 'AI 시대 신산업 정책위원회'에서 정한 6대 AI 활용 전략 중 하나다. 'AI+R&DI 추진전략'에 따르면 AI를 산업현장의 R&D와 혁신(Innovation) 과정에 적용해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으로 구성했다. 우선 △AI를 적용한 기술개발을 확산하고(AI+기술개발) △전 세계 기술·인재를 AI로 탐색하고 연결하며(AI+개방혁신) △정부 연구개발(R&D) 기획-평가-성과관리 과정에 AI를 전면 적용하는(AI+연구행정) 등 세가지 축이다. 이를 통해 '30년까지 기술혁신 소요기간과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고, 사업화 매출을 40% 확대하며, 정부 연구개발(R&D)에 참여하는 연구자의 행정부담 50% 경감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R&D 설계와 실험에 AI 기술 도입을 적극 지원한다. 2030년까지 600개 R&D 프로젝트를 단계별로 추진하고, 2032년까지 산업부 신규 R&D 과제 100%를 투입하는 것이다. 기업 수요가 많은 소재 분야의 물질 데이터도 2026년까지 2배 이상으로 확대해 1000만건을 구축하고 연산 자원에 대해 지원한다. 또 AI와 로봇공학을 활용해 실험을 자동화하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AI 자율실험실도 도입한다. 자율실험실은 실험계획을 AI가 스스로 변경·수행할 수 있도록 해 연구 효율성을 높인 개념이다. AI 자율실험실은 2030년까지 500개 도입이 목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AI는 이제 기술 혁신의 핵심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산업 전반에 걸친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갈 게임체인저"라며 “AI를 활용해 우리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해 산업부는 특히 전략의 빠른 확산을 위해 'AI+R&DI 트랙'을 만들고, 정부 R&D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나아가 전 세계에 흩어진 기술과 인재 등 혁신 자원을 AI를 통해 탐색하고 연결하는 '테크(Tech)-GPT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 육성에 나선다. 당장 다음 달부터 특허 1억1000만건, 논문 2억2000만편 등 민간 보유 데이터를 대형언어모델(LLM)로 학습시켜 내년 하반기부터 서비스한다. 2026년 실시간 인재·기업정보 탐색, 2027년 글로벌 플랫폼과 연계한 기술·인재 정보 구축이 목표다. 이를 위해 2028년까지 민관이 함께 161억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축적된 정보·설루션을 바탕으로 국내외 전문기업이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테크-GPT 활용을 위한 '테크-GPT 스토어'도 개설한다. 이와 함께 지식재산권(IP) 전략 수립 및 공급망 분석 등 전문 서비스 생태계도 함께 조성한다. 산업부는 이날 함께 발표한 '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 방안'을 통해 데이터 전처리 자동화 시스템 등 기업의 AI 활용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최상목 부총리 “미 대선, 중동 분쟁 등 대외여건 신중히 살필 것”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대선이 20일 앞으로 다가오고, 중동지역 분쟁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앞으로의 대외여건 변화를 신중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대외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미국정치발(發) 불확실성과 기술주권 침해 우려가 커지는 지금은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시기라는 게 최 부총리의 지적이다. 최 부총리는 “경계를 늦추지 않고 대외동향을 주시하고, 혹시라도 경제심리 쏠림이나 위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외정책의 무게중심을 굳건하게 유지하겠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기술유출 대응책에 대해 최 부총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방지체계를 구축하고 중소기업 등 기술보호에 취약한 계층이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고도화되는 수법에 대한 처벌 규정을 신설해 영업비밀 유출과 부정경쟁 행위 처벌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상외교 후속 조치로는 “체코 원전 건설이 차질없이 최종 계약에 이를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고, 체결된 56건의 양해각서(MOU)가 신속하게 수출·수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 이날 회의에서는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유출 대응방안 △정상외교 경제분야 후속조치 등이 논의됐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국토부 브랜드평판 결과, 인천공항공사 1위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2024년 10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인천국제공항공사 2위 한국도로공사 3위 한국부동산원 순으로 분석됐다.​​​ 16일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28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2024년 9월 16일부터 2024년 10월 16일까지의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66,664,475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9월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73,500,129 비교하면 9.30%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했다.​​​​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2024년 10월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순위는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교통안전공단,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한국공항공사, 국립항공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안전관리원, 주택관리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건설기술교육원, 새만금개발공사, 공간정보품질관리원, 코레일관광개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코레일유통, 코레일네트웍스, 주식회사 에스알, 항공안전기술원, 코레일테크, 코레일로지스 순이었다.​​​​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인천국제공항공사 브랜드는 참여지수 1,515,030 미디어지수 1,196,905 소통지수 2,121,047 커뮤니티지수 1,415,349 사회공헌지수 402,7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651,044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6,948,502와 비교해보면 4.28% 하락했다.​ 2위, 한국도로공사 브랜드는 참여지수 1,819,805 미디어지수 881,148 소통지수 2,074,414 커뮤니티지수 1,401,746 사회공헌지수 120,69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297,807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8,731,101과 비교해보면 27.87% 하락했다.​ 3위, 한국부동산원 브랜드는 참여지수 1,502,171 미디어지수 1,778,776 소통지수 1,285,908 커뮤니티지수 1,464,067 사회공헌지수 195,56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226,491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5,515,743과 비교해보면 12.89% 상승했다.​ 4위, 한국교통안전공단 브랜드는 참여지수 1,844,699 미디어지수 694,147 소통지수 1,076,352 커뮤니티지수 903,777 사회공헌지수 285,35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804,331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3,494,193과 비교해보면 37.49% 상승했다.​ 5위, 주택도시보증공사 브랜드는 참여지수 1,612,380 미디어지수 885,113 소통지수 946,395 커뮤니티지수 413,530 사회공헌지수 63,96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921,381로 분석됐다. 지난 9월 브랜드평판지수 5,050,136과 비교해보면 22.35%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4년 10월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평판 결과, 인천국제공항공사 ( 대표 이학재 )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며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9월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브랜드 빅데이터 73,500,129개와 비교하면 9.30%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 소장은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1.93% 하락, 브랜드이슈 20.41% 하락, 브랜드소통 0.14% 하락, 브랜드확산 12.79% 상승, 브랜드공헌 45.49% 하락했다"라고 덧붙였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2024 국감] 국세청장 “내년 금투세 시행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강민수 국세청장이 내년 금융투자소득세 시행이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금투세 시행을 위해 원천징수와 거래자료 등을 제출할 금융권과의 합의가 더 돼야 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강 청장은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금투세 시행이 내년에 가능하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금투세 시행을 전제로 구축한 거래 자료 통보 시스템 등은 금투세 시행과 무관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공정 과세라는 측면에서 보면 맞는 말씀"이라면서도 “정책 부처에서는 다른 면을 생각하기 때문에 저희는 과세 정의 공평성 정도만 말씀드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해외 고소득자 '비거주자' 신분 악용 여지가 있다고도 지적했다. 조세회피처를 악용한 비거주자 탈세와 관련 “해외에 소득이 많은 분이 비거주자 신분을 이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이다. 강 청장은 “비거주자는 거주자와 세무상 의무나 권리에 차이가 있다"라며 “경제·민생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세수를 확보하고 공평과세를 이룰 수 있는 틈새 분야가 역외탈세 분야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LG가(家) 맏사위인 윤관 블루런벤처스(BRV) 대표 등 해외에 거주하는 고소득자들이 비거주자 신분을 이용해 세금을 탈루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윤 대표는 조세회피처인 '세인트키츠 네비스(구 세인트크리스토퍼네비스) 연방'의 국적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다. 이외에 강 청장은 다국적 기업의 세무조사 방해행위에 대한 이행강제금 부과 등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라고도 밝혔다. 권대경 기자 kwondk21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