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30일 “금융안정도 고려해 중립금리를 추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별관에서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에서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와 대담 중 “물가안정뿐 아니라 금융안정도 우리의 임무"라며 이같이 밝혔다. 중립금리는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없이 물가가 안정된 상태에서 자금 공급과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말한다. 이 총재는 “금융안정을 고려한 중립금리는 물가안정만 고려한 중립금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다"고 했다. 이 총재는 한은의 중립금리 추정 과정도 간단히 소개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중립금리를 추정하는 데에 4∼5가지 모형을 가지고 있다며 중립금리를 한 수준(level)으로 추정하기보다는 범위(range)로 추정한다고 했다. 그 다음 실질금리가 중립금리 범위 위쪽이라면 긴축적, 아래쪽이라면 완화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립금리 추정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근원 인플레이션 움직임을 보거나, 금융상황지수(FCI) 등 지표도 사용한다고 했다. 이 총재는 “중립금리 추정 과정에서 환율과 경상수지, 자본이동 같은 국제적 요인을 도입하려고 하면 추정치 변동성이 상당히 커진다"며 “내일 외부 요인을 더 많이 통합할 수 있는 추정 모델을 제시하겠지만, 이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요르단 총재는 기조연설에서 “중립금리가 재상승하고 있는지 판단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낮은 잠재성장률, 기대수명 증가 등 실질금리를 낮추는 요인과 비경제활동인구 증가로 인한 저축률 하락, 대규모 재정적자, 신기술에 따른 생산성 향상, 녹색 전환에 따른 대규모 투자 등 실질금리를 높이는 요인이 혼재돼있다고 했다. 그는 중립금리가 통화정책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준거지만, 추정치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 중립금리를 정책에 활용하려면 신뢰할 만한 추정치를 도출하는 게 중요하다며 다양한 추정 방식과 모형을 활용하고, 교차 확인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