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의 요람' 코넥스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올해 신규 상장이 1건에 그친 데다가 거래대금도 줄고 있어서다. 코스닥 시장 문턱은 날로 낮아지는데, 코스닥 이전상장 실패 사례는 꾸준히 나와 코넥스에 상장할 메리트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올해부터는 정부 지원금도 끊겨 당분간 이같은 기조가 계속될 전망이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코넥스 시장에 상장된 회사는 총 122개사로 집계됐다. 올 1월 130개사였던 것에 비해 8개사가 줄어든 것이다. 올해 코넥스 시장은 생기를 잃은 상태다. 우선 신규상장된 회사가 단 1곳에 그쳤다. 1월 세븐브로이맥주가 코넥스 상장을 알린 것이 유일했다. 작년 총 14개사, 상반기에만 6개사가 상장한 것에 비해 초라한 숫자다. 코스닥 이전상장도 활발하게 이뤄지진 못했다. 코넥스는 코스닥 시장에 입성하기 전 벤처기업들이 짧은 업력에도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된 시장이다. 상장사들은 코넥스에서 공신력과 성장성을 확보해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넥스 설립 직후 초기에는 매년 상장사 중 10%가 코스닥으로의 이전상장에 성공했으나, 올해는 6월 들어서야 한중엔시에스, 다원넥스뷰 등이 이전상장에 성공했을 뿐이다. 노브메타파마, 퓨처메디신 등은 실패 사례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코넥스 상장폐지 기업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2021년 5건, 2022년 7건, 2023년 10건으로 증가세가 확연히 보인다. 올해도 디피코, 젬, 베른 등 벌써 4개사가 상폐 소식을 알렸으며, 에스엠비나도 상장폐지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점점 멀어져가고 있다. 1월 코넥스 거래대금은 485억원에 달했지만, 5월에는 395억원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작년 7월에만 해도 860억원을 기록한 데 비하면 반토막 넘게 감소했다. 코넥스 상장사, 혹은 상장 희망기업에 투자한 재무적투자자(FI)들이 달가워할 소식은 아니다.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는 코넥스 시장에 상장할 메리트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코스닥 시장의 경우 기술특례 상장, 성장성 특례 상장, 스팩 합병상장 등 상장요건을 완화하는 여러가지 제도가 존재한다. 간혹 '부실 상장' 논란이 터지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굳이 코넥스를 거치기보다 이런 제도를 통해 코스닥에 직상장해도 문제가 없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 지원도 끊겼다. 지난 2020년 12억원 규모로 조성됐던 코넥스 시장 활성화 지원 사업 지원금이 점차 줄어들다가 올해부터 아예 삭제됐다. 이 지원금은 코넥스 상장사들의 상장 유지비용으로 쓰였으나, 지원금이 사라지면서 상장사들의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됐다. 2022년 금융당국이 조성한 '코넥스 스케일업 펀드'도 올해 출자자 모집에 난항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 대해 코넥스협회의 한 임원은 “늘 시장이 잘됐으면 하는 마음이 늘 있지만, 상장 활성화에 관한 일은 거래소의 업무"라며 “협회로써는 이전 상장 컨설팅 등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거래소 측에서는 파두 및 이노그리드 사태를 거치며 실질적인 코스닥 상장 문턱이 높아진 만큼, 신생 기업들이 다시금 코넥스로 눈을 돌릴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의 심사 기준이 엄격해져 초기 기업들이 코스닥에 직상장하는 것이 계속 용이하지는 않으리라는 의미다. 한국거래소의 한 관계자는 “올해 코넥스 시장이 비교적 부진한 것이 사실이고, 정부 지원이 끊긴 것과 무관하진 않다"며 “거래소로서는 이전상장 컨설팅 등 코넥스 활성화를 위한 계획을 여러가지 진행 중이다"라고 전했다. 성우창 기자 su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