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윤수현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윤수현 기자 입니다.
  • 자본시장부
  • ysh@ekn.kr

전체기사

[특징주]에프엔에스테크, 소재·부품 성장 기대감에 급등

에프엔에스테크가 증권사 신규 커버리지 개시와 유리기판 신사업 성장 기대감에 힘입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9분 기준 에프엔에스테크는 전 거래일 대비 1350원(9.27%) 오른 1만5920원에 거래 중이다. 주가 강세는 SK증권의 긍정적 리포트가 직접적인 촉매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SK증권은 이날 에프엔에스테크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원을 제시하며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현재 주가 대비 약 두 배에 달하는 상승 여력을 제시하면서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의 실적 개선은 고수익 구조를 갖춘 소재·부품 부문이 주도하고 있다. 소재·부품은 지난해 매출 비중이 47.4%에 불과하지만 전체 이익의 약 90%를 책임지는 핵심 사업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SK증권은 △대만 아사히램프 인수 효과 △HBM 및 첨단공정 확대에 따른 CMP 패드 수요 증가 등을 성장 배경으로 제시했다. 특히 아사히램프는 인수 후 가동률 상승과 비용 효율화가 이뤄지며 올해 3분기 영업이익률이 50%에 달했고, 램프·패드 제품군 역시 30%대 수익성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유리기판 신사업 모멘텀까지 더해졌다. 에프엔에스테크의 유리기판 사업은 CMP 패드와 Wet 장비로 나뉘며, 구조 특성상 기존 대비 CMP 패드 소모량이 53배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매출과 이익 동반 성장을 견인할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허선재 SK증권 연구원은 “소재·부품 매출은 지난해 246억원에서 올해 361억원, 내년 551억원으로 고성장할 것"이라며 “내년부터는 유리기판 신사업 효과까지 반영되며 EPS와 밸류에이션 멀티플이 동시에 상승하는 리레이팅이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운용사3Q] ETF 인기도 1·2위 체급 경쟁…삼성·미래에셋 광고 공세, 나머지는 선택적 전략

국내 자산운용사 중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점유율과 설정액, 브랜드 인지도 측면에서 1·2위를 다투는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간 경쟁이 격화되면서 양사의 마케팅 비용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ETF 시장 내 영향력과 투자자 선호도까지 양강 구도가 굳어지면서, 광고 역시 '브랜드 우위 싸움'의 연장선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올 3분기에는 이례적으로 1위인 삼성자산운용의 광고선전비(이하 광고비) 지출이 미래에셋운용을 근소하게 추월하면서 양사 간 신경전이 광고 전략을 통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이다. 26일 금융투자협회 공시에 따르면 올 3분기 말 기준 삼성자산운용의 광고비 지출은 130억3814만원으로 집계돼 미래에셋운용(129억6336만원)보다 약 0.6%가량 많았다. ETF 설정액 규모와 판매 점유율 모두에서 선두를 지키고 있는 삼성자산운용이 'KODEX' 브랜드 파워를 공고히 하기 위해 마케팅 수위를 높인 결과로 풀이된다. 삼성자산운용 관계자는 광고비가 늘어난 배경에 대해 “대고객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지속하는 차원에서 광고비가 증액됐다"며 “자사 상품에 대한 이해와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홈페이지와 SNS, 유튜브 등을 통한 투자 콘텐츠 제작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과거 흐름과는 뚜렷이 대비된다. 2022년에는 미래에셋운용 광고비가 185억원, 삼성운용은 75억원으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났고, 2023년에도 미래에셋운용(163억원)이 삼성운용(8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당시 미래에셋운용은 ETF 시장 점유율 확대와 'TIGER'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 대중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벌여왔다. 그러나 지난해 삼성운용의 광고비가 154억원까지 급증하면서 미래에셋운용(171억원)과의 격차가 빠르게 좁혀졌고, 올해 들어서는 삼성운용이 근소하게 앞서는 구도로 전환됐다. ETF 시장에서 양사의 점유율 격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브랜드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이 광고 집행으로 전이된 셈이다. 양사 간 신경전은 광고 문구와 콘셉트에서도 확인된다. 삼성자산운용이 최근 공개한 'KODEX ETF로 투자하는 이유' 캠페인은 지난해 미래에셋운용이 사용한 'TIGER ETF로 투자하는 이유'와 유사하다는 논란을 낳았고, 스포츠카 경주 콘셉트 광고 역시 두 회사가 비슷한 연출로 맞붙으며 경쟁 구도를 노골화했다. ETF 시장을 대표하는 상위 브랜드들이 서로의 존재를 의식하며 마케팅 전략을 짜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ETF 시장 내 실질적인 경쟁 구도는 사실상 삼성과 미래에셋으로 좁혀진 상태"라며 “광고 역시 신규 투자자 유입과 브랜드 각인 효과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러한 광고 경쟁은 삼성과 미래에셋에 국한된 '체급 싸움'에 가깝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중위권 운용사들의 경우 광고비를 줄이거나 집행 방식을 조정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3~4위를 다투는 KB자산운용의 광고비는 올해 3분기 35억원으로 전년 동기(37억원)보다 감소했고, 한국투자신탁운용 역시 11억4000만원에서 9억5000만원으로 줄었다. KB자산운용 관계자는 광고비가 축소된 배경에 대해 “RISE 브랜드가 지난해 7월 리브랜딩을 하면서 광고비를 평소보다 많이 써 (지난해 대비)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 관계자는 “2024년 대비해 2025년에는 연중 균등 배분 전략을 적용하면서 집행 시점상 9월 말 기준 광고선전비가 다소 작게 나타난 효과가 있었다"면서도 “연말 연금 시즌 및 주요 프로모션·브랜드 캠페인이 진행될 예정이라 연말 기준으로는 전년보다 소폭 높은 수준의 집행이 이뤄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신한자산운용과 키움투자자산운용은 광고비를 확대했다. 신한자산운용의 광고선전비는 11억8900만원으로 전년 동기(6억8000만원) 대비 크게 늘었고, 키움자산운용도 9억2300만원에서 11억5800만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삼성·미래에셋이 130억원대 광고비를 집행한 것과 비교하면 체급 차는 여전히 뚜렷하다. ETF 시장 경쟁이 과열되면서 광고비 부담이 수익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ETF는 구조적으로 보수가 낮은 상품군인 만큼 과도한 광고비 투입이 실질적인 이익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ETF는 마케팅비 비중이 너무 커지면 오히려 수익이 나지 않는 구조가 된다"며 “삼성과 미래에셋은 브랜드 경쟁 차원에서 공격적으로 가지만 다른 운용사들은 수익성 중심 전략으로 방향을 틀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10월 기업 직접금융 조달, 주식·채권·단기자금 모두 감소

지난 10월 국내 기업들의 직접금융 조달 실적이 일제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과 회사채 공모 발행 규모가 크게 줄어든데 이어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등 단기자금시장도 위축 흐름을 보였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10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주식과 회사채 공모 발행액은 23조7050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9891억원(17.4%) 감소했다. 이 가운데 주식 발행액은 939억원, 회사채는 23조6111억원으로 각각 74.6%, 16.6% 줄었다. 주식 발행은 4건, 939억원에 그치쳐 전월(8건, 3698억원)보다 2759억원 감소했다. 기업공개(IPO)는 2건, 524억원으로 전월보다 78.4% 급감했으며, 유상증자 역시 2건, 415억원으로 67.3% 줄었다. 모두 코스닥 기업의 소규모 발행으로, 건당 평균 규모도 전월에 비해 크게 축소됐다. 회사채 발행액은 23조6111억원으로 전월 대비 16.6% 감소했다. 이 가운데 일반회사채는 3조5550억원으로 37.8% 급감했다. 자금 용도별로 보면 차환 목적 발행 비중은 77.2%에서 72.7%로, 운영 목적은 18.5%에서 16.6%로 낮아졌다. 반면 시설 목적 발행 비중은 4.4%에서 10.7%로 확대됐다. 신용등급별로는 우량채 쏠림 현상이 뚜렷했다. AA등급 이상 발행 비중은 66.5%에서 73.0%로 늘었고, A등급도 25.9%에서 27.0%로 증가했다. 반면 BBB등급 이하는 7.6%에서 0%로 줄었다. 금융채 발행은 208건, 18조2309억원으로 전월 대비 11.8% 감소했다. 금융지주채는 1조4000억원으로 41.7% 급감했고 은행채는 8조1799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ABS는 1조8252억원으로 5.9% 감소했으며, 중소기업 지원용 P-CBO 발행도 전월 대비 22.1% 줄었다. 단기자금시장 역시 위축됐다. CP와 단기사채 발행액은 137조6459억원으로 전월 대비 8.3% 감소했다. CP는 44조6861억원으로 6.9% 줄었으며 이 중 일반CP와 PF-ABCP는 각각 14.7%, 15.2% 감소했다. 단기사채 발행액은 92조9598억원으로 전월보다 8.9% 감소했다. 일반단기사채와 PF-AB 단기사채는 각각 8.1%, 7.8% 축소됐고, 기타 AB 단기사채도 13.5% 감소했다. 한편 10월 말 기준 회사채 잔액은 750조447억원으로 전월 대비 1.1% 증가했다. 일반회사채는 순발행 기조를 유지했지만 전체 발행 흐름은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이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韓 3분기 경제 성장률, 주요국 최상위권…반도체 효과에 내년 2%대 중반 전망

우리나라의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주요국 가운데 최상위권을 기록하며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반도체 수출 호조와 내수 개선이 맞물리면서 성장 동력이 살아났다는 평가와 함께 내년 성장률이 2% 중반대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6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1.166%로 집계됐다. 전날까지 속보치를 발표한 26개국 가운데 3위에 해당한다. 이스라엘은 직전 분기 -1.1% 역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로 2.967%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고, 인도네시아가 1.216%로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1.1% 성장에 그치며 분기 기준으로 2022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한국보다 낮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유럽 주요국도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영국은 0.082%, 프랑스는 0.504%에 머물렀고 독일은 0%로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일본은 -0.442%로 조사 대상 26개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한국 경제는 올해 '상저하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다. 1분기에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성장률이 -0.219%까지 떨어졌고, 순위도 37개국 중 34위에 그쳤다. 그러나 2분기에는 미국 상호관세 충격 속에서도 수출이 선전하며 0.675%로 반등했고, 순위도 10위로 상승했다. 이러한 회복 흐름이 3분기까지 지속된 셈이다. 오는 27일 한국은행의 수정 경제전망 발표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내년 성장률 상향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특히 노무라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2.3%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노무라증권은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 확대와 자산 가격 상승을 주요 배경으로 지목했다. 주가와 집값이 동시에 오르며 소비를 자극하는 '부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정부, KDI, IMF가 제시한 1.8%는 물론 한국금융연구원(2.1%), OECD(2.2%)보다도 높은 수치다. 한은이 지난 8월 제시한 1.6%와 비교하면 0.7%포인트나 높다. 이 전망이 현실화될 경우 성장률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언급한 잠재성장률(1.8%)을 크게 웃돌게 된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주가와 집값이 동시에 오르면서 부의 효과가 일어나 소비를 회복시킬 것"이라며 “내년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은 종료된 것으로 본다"며 “한은이 정부의 확장 재정을 지원하며 내년 말까지 연 2.50%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솔루스첨단소재, 중국 배터리사 대형 수주에 급등

솔루스첨단소재가 유럽 현지 배터리사와의 대규모 공급 계약 소식에 강세를 보이고 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5분 기준 솔루스첨단소재는 전 거래일 대비 14% 넘게 급등한 919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개장 직후 상승폭을 키우며 장중 한때 9200원대로 올라섰다. 이번 주가 강세는 유럽에서 배터리 공장을 구축 중인 글로벌 10위권 중국 배터리 업체와 전지박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내년부터 최소 5년간 약 2만t 규모의 전지박을 공급하고 고객사는 2027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공급 제품은 전기차 배터리 경량화에 적합한 '극박' 하이엔드 동박으로 프리미엄 전기차 및 ESS 시장 수요 확대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해당 배터리는 최종적으로 독일계 완성차 업체(OEM)에 납품될 예정이며, 향후 유럽 내 추가 프로젝트로 공급 물량이 2만t 이상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로써 솔루스첨단소재의 글로벌 고객사는 총 8곳으로 늘었으며, 국내 동박업체 중 가장 많은 글로벌 고객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게 됐다. 회사는 내년까지 신규 고객사를 추가해 총 10개사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EU의 전기차 공급망 현지화 정책과 중국 배터리사의 유럽 진출 가속화가 맞물리면서 솔루스첨단소재의 수주 가시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헝가리 공장이 유럽 내 유일한 전지박 생산기지라는 점도 안정적인 성장 기대를 키우는 요소로 꼽힌다. 곽근만 대표는 “유럽 전기차 시장 재편 속에서 다변화된 고객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매출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개선하고 있다"며 “기술 차별화와 안정적인 공급 체제를 통해 장기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운용사3Q] 미래에셋자산운용, 국내 1탑…글로벌 무대선 ‘확장 국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이 2025년 3분기에도 확고한 1위의 위상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글로벌 운용사로서는 추가 성장 여지가 남아있다. /CRAISEE(크레이시) 국내 자산운용업계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위상은 확고하다. 운용자산(AUM)과 ETF 시장 점유율 모두에서 경쟁사를 앞서며 사실상 1강 체제를 굳혔다. 동시에 글로벌 시장에서도 빠르게 존재감을 넓히고 있다. ETF 기준으로는 세계 10위권에 진입하며 성과를 내고 있지만, 글로벌 무대에서는 아직도 추가 성장 여지가 남아 있는 확장 국면이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전체 AUM은 485조원(국내 256조원·해외 229조원)으로 국내 자산운용사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ETF 시장에서도 TIGER 브랜드를 앞세워 순자산 280조원대에 근접하며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미래에셋 뒤를 잇는 주요 운용사들도 체급은 꾸준히 커지고 있다. 2025년 3분기 누적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영업이익은 2834억원으로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뒤이어 KB자산운용이 1301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고, 삼성자산운용이 956억원으로 3위에 올랐다. 그 다음으로는 △한국투자신탁운용(509억원) △신한자산운용(424억원) △키움투자자산운용(420억원) △한화자산운용(399억원) △NH아문디자산운용(336억원) 순이다. 업계에서는 “미래에셋이 확실한 선두를 굳힌 가운데 KB와 삼성의 추격 구도가 형성되고 있으며, 중위권 운용사들도 고르게 실적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래에셋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서 가장 눈에 띄는 축은 ETF다. ETF 운용자산 기준으로 보면 미래에셋은 올해 9월말 기준으로 약 262.2조원을 기록해 세계 10위권대의 운용규모다. 미국 Global X를 중심으로 10개국에서 약 700개에 가까운 ETF를 운용하며 글로벌 패시브 시장에서도 입지를 넓히고 있다. ETF 부문에서는 '글로벌 플레이어' 반열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성장 속도 역시 가파르다. 최근 10년간 글로벌 ETF 시장 평균 성장률이 연 17.6%인 데 비해 미래에셋은 연평균 37%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두 배 이상 빠른 확장세를 보였다. 2018년 인수한 Global X의 경우 운용자산이 인수 당시 8조원 수준에서 현재 100조원대를 넘어서는 등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국내 시장에서도 TIGER ETF는 개인투자자 점유율 약 40%를 차지하며 4년 이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대표 상품인 TIGER 미국S&P500과 TIGER 미국나스닥100은 아시아 최대급 미국 지수 ETF로 성장하며 브랜드 파워를 입증하고 있다. 다만 종합 자산운용사 기준으로 시야를 넓히면 글로벌 상위 운용사들과의 체급 차도 함께 드러난다. 전 세계 시장에서는 조 단위 달러 규모의 운용사들이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2025년 기준 글로벌 자산운용사 AUM 상위권은 △블랙록(약 1경6250조원) △뱅가드(약 1경3130조원) △피델리티(약 7670조원) △스테이트스트리트(약 5330조원) △JP모건자산운용(약 4030조원) △골드만삭스(4280조원) △캐피탈그룹(약 3510조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에 비해 미래에셋의 전체 운용자산은 485조원 수준으로 글로벌 순위로 환산하면 중상위권에 해당한다. ETF 부문에서의 성과가 두드러지지만, 종합 운용 역량 측면에서는 여전히 성장과 확장이 진행 중인 단계로 해석된다. 미래에셋의 성장 동력은 ETF를 중심으로 분명한 성과를 보여왔다. 테마형, 글로벌 자산배분형, 인컴형 ETF까지 라인업을 넓히며 개인 투자자 수요를 흡수했고, 해외 시장에서도 글로벌 ETF 브랜딩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글로벌 메이저 운용사들과의 비교에서는 연금 자산 확대, 기관 자금 비중, 대체투자 영역 강화 등이 다음 단계 과제로 꼽힌다. ETF 경쟁력을 기반으로 종합 운용 포트폴리오를 얼마나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느냐가 향후 관건이라는 분석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전 세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미래에셋만의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글로벌 자산배분을 진행하고, 다양한 투자수단을 이용하는 역랑을 갖추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장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상품들을 선보이며 투자자들의 평안한 노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기자의 눈] ‘오천피’에 취한 시장, 누가 브레이크를 밟나

“코스피 5000p 시대", “7500p도 가능하다"는 장밋빛 전망에 어느새 익숙해졌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증시는 사상 처음 4000선을 넘어섰고, 일부에선 '재평가 장세'라는 단어까지 동원됐다. 반도체 실적 호조, 외국인 순매수, 정책 기대감이 맞물리며 분위기는 확실히 달라졌다. 문제는 이 상승이 얼마나 단단한 토대 위에 서 있느냐다. 최근의 시장은 숫자만 보면 화려하지만 속살은 불안하다. 4000p를 찍고도 코스피는 연일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최근 몇 주 사이에는 하루 만에 2~3%씩 출렁이는 장세가 낯설지 않다. 지수가 오르는 동안 개인의 신용융자 잔액은 빠르게 불어났다. 이제는 빚이 시장을 떠받치고 있는 건지, 시장이 빚을 부추기고 있는 건지 경계가 흐릿해졌다. 레버리지 자체가 잘못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최근의 빚투는 실적이나 구조 변화에 대한 '계산된 베팅'이라기보다 흐름을 쫓는 추격 매수에 가깝다. 변동성이 커질수록 이 취약한 고리는 가장 먼저 충격을 받게 된다. 외국인 수급에 대한 의존도도 여전하다. 그들이 등을 돌리는 순간 개인의 '저가 매수'는 버팀목이 아니라 낙폭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상승의 동력으로 꼽히는 반도체 역시 냉정히 봐야 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은 안정적이지만 슈퍼사이클이 영원한 적은 없다. 반도체를 제외한 제조업 지표는 부진한 흐름을 보인다. 소비는 둔화되고 있고, 제조업 고용은 회복세가 미약하다. 대형주 몇 개가 지수를 끌어올리는 동안 중소형주와 코스닥은 뒤처져 있다. 겉보기 호황과 체감 경기 사이의 괴리는 점점 커지고 있다. 여기에 AI 과열 논란도 겹쳤다.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던 AI 관련주가 급락하며 코스피도 순간적으로 3900선이 무너졌다. 일부 빅테크는 실적을 내고 있지만 밸류에이션이 과도하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더 우려스러운 건 정책 신호다. 증시 활성화를 외치면서도 빚투에 대해선 지나치게 관대한 메시지가 흘러나오고 있다. 부동산 빚은 경계하면서 주식 레버리지는 '투자의 한 방식'처럼 포장되는 이중 잣대는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 숫자 경쟁에 몰두한 나머지 리스크 관리라는 본질이 희미해지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볼 시점이다. 진짜 문제는 여기서다. 코스피 5000은 목표가 될 수는 있지만 구호가 되어선 안 된다. 지수만 올려놓고 나머지는 나중에 생각하자는 식이면 그 후폭풍은 고스란히 투자자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상법 개정이 시작점이 될 수는 있지만 기업 지배구조와 경영 문화가 실제로 바뀌지 않는다면 상승은 오래가지 못한다. 일본이 했던 것처럼 연기금과 거래소가 주도하는 구조 개혁, 자본 효율 중심의 경영 전환이 동반돼야 한다. 지금은 들뜬 축배를 들 시기가 아니라 속도를 조절할 타이밍이다. 시장의 체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랠리는 결국 되돌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오천피'는 구호가 아니라 펀더멘털로 설명 가능한 결과여야 한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이수페타시스, TPU 모멘텀에 주가 ‘훨훨’

이수페타시스가 증권사의 목표주가 상향 소식에 힘입어 장 초반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5분 기준 이수페타시스는 전 거래일 대비 1만8300원(14.63%) 오른 14만3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 급등 배경에는 메리츠증권의 긍정적인 리포트가 자리하고 있다. 메리츠증권은 이날 이수페타시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4만원에서 16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양승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수페타시스는 TPU(텐서처리장치) 내에서 독보적인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핵심 기업"이라며 “TPU 가격과 출하량이 동시에 확대되는 국면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구글의 AI 서비스인 '제미나이3'와 '나노바나나'의 고성장에 따라 토큰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내년 TPU 출하량 증가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TPU의 활용 영역이 내부 인프라를 넘어 외부 고객 판매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양 연구원은 “TPU 생태계가 사내용을 넘어 확장형 플랫폼으로 전환되는 분기점에 도달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수페타시스가 올해 6월부터 공급 중인 TPU 7세대향 물량이 연초 계획 대비 두 배 이상 확대된 점도 주가 상승 기대를 키웠다. 내년 출시될 차세대 학습용 TPU부터는 다중 적층 인쇄회로기판(MLB)이 적용되며, 제품 단가(ASP) 상승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돼 추가적인 실적 상향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외국인 동반 매도에 3840선 후퇴…코스닥도 약세

코스피가 개인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세에 밀리며 3840선으로 후퇴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7.20포인트(0.19%) 하락한 3846.06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수는 장 초반 3915.16까지 오르며 강보합 출발했으나, 장 후반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8970억원의 순매수를 기록했지만,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4265억원, 4547억원 순매도해 지수 방어에는 역부족이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2.00%)와 삼성물산(0.93%)이 상승한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종목이 약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루션(-3.17%) △셀트리온(-2.83%) △기아(-2.54%) △한화에어로스페이스(-1.61%) 등이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반면 △SK스퀘어(3.76% △HD한국조선해양(3.33%) 등은 강세를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증권(1.26%) △방송통신(1.21%) △통신(1.09%) △전기·전자(0.44%) △반도체(0.81%) 등이 상승한 반면 △철강(-2.40%) △금속(-2.55%) △헬스케어(-2.09%) △에너지화학(-2.06%) △운송장비·부품(-1.33%) 등은 약세 흐름을 보였다. 코스닥지수도 하락 마감했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7.51포인트(0.87%) 내린 856.44에 장을 마쳤다. 개인이 1034억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01억원, 353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에 부담을 줬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 △리노공업(3.68%) △원익IPS(4.59%) △로보티즈(7.66%) △실리콘투(1.63%) △케어젠(1.02%) 등이 상승한 반면 △알테오젠(-2.59%) △에코프로(-4.44%) △펩트론(-15.18%) △파마리서치(-9.33%) △리가켐바이오(-3.70%) △HLB(-1.67%) △삼천당제약(-1.66%) 등은 큰 폭으로 밀렸다. 한편 이날 오후 3시 30분 종가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5원 오른 1477.1원에 마감됐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윤수현의 해외 Top Picks] 서학개미, AI 조정장서도 레버리지 ‘정면승부’…3배 ETF에 자금 쏠림

▲AI버블론과 금리 불확실성으로 관련 종목 주가가 조정을 받은 뒤에도 서학개미들은 더욱 다양한 섹터로 미국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CRAISEE(크레이시) 글로벌 인공지능(AI) 관련주가 고평가 논란과 금리 불확실성 속에 조정을 받았지만 서학개미는 이를 되레 매수 기회로 삼으며 3주 연속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주 순매수 상위 종목을 살펴보면 AI와 반도체 레버리지 상품을 중심으로 양자컴퓨팅과 원전·에너지 전환, 비트코인 인프라 등 차세대 테마로까지 투자처가 확산하는 모습이다. 24일 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 집계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15~21일)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된 종목은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ETF(SOXL)로 순매수 규모는 5억6614만 달러에 달했다. 이어 △알파벳(Class A)이 2억2491만 달러 △엔비디아가 9878만 달러 △아이온큐가 9418만 달러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나스닥100 지수 3배 레버리지, 7544만 달러) △엔비디아 2배 레버리지 ETF(6812만 달러) △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5687만 달러) 등 AI·빅테크 관련 레버리지 상품들이 순매수 상위권에 다수 포진했다. 기술주 조정 국면에서도 이처럼 변동성이 큰 레버리지 상품에 매수세가 집중된 것은 '반등 베팅' 성격이 강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SOXL과 엔비디아·테슬라 레버리지 상품 등이 상위권을 차지한 가운데 △팔란티어(2394만 달러) △테슬라(2152만 달러) △엔비디아(9878만 달러) 등 AI 대장주에 대한 현물 매수도 동시에 확대되며 기대 심리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증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AI 산업에 대한 중장기 성장 신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윤철 iM증권 해외주식 담당 연구원은 “일각에서는 회사채 발행과 함께 나타난 신용부도스와프(CDS) 동반 상승 현상이 'AI 버블 붕괴'를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이는 과도한 해석"이라며 “엔비디아 중심의 AI 생태계 순환투자 구도가 형성돼 있어 압도적인 실적과 현금을 바탕으로 한 엔비디아 자체의 '양적완화' 여력도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AI 업종에 거품이 끼어 있는 것은 맞지만 터지기까지는 요원할 것으로 본다"며 “현재 시장은 강세장 속 조정 국면일 뿐 '투매'로 해석하기보다는 재정비 구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주 특징 중 하나는 비트코인·가상자산 인프라 종목의 재부상이다. △비트코인 채굴업체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4893만 달러) △아이리스에너지(IREN)(1481만 달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1357만 달러)가 순매수 상위에 올랐다.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Circle 관련 상품인 ULTRA CRCL도 624만 달러가 유입됐고, 이더리움 기반 Volatility Shares 2X Ether ETF 역시 2386만 달러 순매수를 기록했다. AI 이후 성장 기대가 반영된 차세대 기술주 매수도 두드러졌다. 양자컴퓨팅 종목 △아이온큐(9418만 달러) △퀀텀컴퓨팅(592만 달러), 원전 테마인 △뉴스케일파워(2048만 달러) △SMR 관련 2X 레버리지 ETF(1329만 달러) △LNG 기업 넥스트디케이드(1097만 달러)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971만 달러) 등으로 자금이 고르게 분산됐다. 한편 변동성 대응 차원의 안전자산 매수도 병행됐다. △iShares 0~3개월물 국채 ETF는 5631만 달러 순매수를 기록하며 상위권에 올랐고 △SPDR 블룸버그 1~3개월 T-Bill ETF도 798만 달러가 유입됐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