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 인하 지연, 고물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금융사들의 불안감이 계속되고 있다. 저축은행 업권은 올해 연간 기준 영업적자가 불가피한 가운데 일부 은행은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경기 침체로 부실채권(NPL)이 쌓이면서 NPL 전문회사는 수혜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는 13조4000억원으로 작년 말(12조5000억원) 대비 불과 3개월 새 9000억원 증가했다. 1년 전(10조4000억원) 보다는 3조원 늘었다. 부실채권 규모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분기별 10조원대를 기록했는데, 올해 들어 13조원대로 증가했다. 1분기 중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전분기(5조7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 줄어든 4조5000억원이었지만, 전년 동기(3조원) 대비로는 1조5000억원 늘었다. 부실채권비율은 2022년 9월 전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최저점(0.38%)을 기록한 이후 작년 분기별로 0.4%대에서 움직였지만, 올해 3월 말 현재 0.50%로 뛰었다. 특히나 고물가, 고금리,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저축은행 79곳은 지난해 연간 기준 555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올해는 이보다 적자 폭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 당기순손실은 1543억원으로 작년 1분기(-527억원)보다 적자 규모가 1000억원 넘게 불었다. 저축은행 업권이 보수적으로 여신을 취급한데다 매각, 상각 등 리스크 관리 강화 기조로 여신 규모가 작년 말(104조원) 대비 2조7000억원 줄어든 10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선제적인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으로 적자가 불가피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PF 사업성이 떨어진 점도 저축은행에 부담이다. 부동산PF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자산건전성이 저하된 가운데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 회복도 요원하다는 분석이다. 한국기업평가는 최근 이러한 대내외적인 상황을 고려해 OK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기존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하향 조정했다. 금융사들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매각하면서 NPL 시장은 작년부터 급격하게 커지고 있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은행권 NPL 경쟁 입찰 매입액 기준 지난해 NPL 시장 규모는 4조8000억원으로 2022년(1조9000억원) 대비 148.8% 늘었다. 1분기에는 1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7000억원) 대비 2배 이상 불었다. 실제 저축은행 18곳은 이달(6월) 말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키움에프앤아이, 하나에프앤아이 등 3곳과 약 1360억원 규모의 개인 및 개인사업자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권은 중저신용자 이용자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시장 경제가 살아나야만 영업은 물론 건전성 지표 관리도 보다 활발하게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업황이 워낙 좋지 않다보니 각 회사마다 신용등급도 한 단계씩 떨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단순 연체율, 부실채권 비율 등 숫자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감춰진 차주들의 상황을 면밀하게 파악하는데 분주한 분위기다. 3월 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3%로, 2월 말(0.51%) 대비 0.08%포인트 내렸지만, 0.43%라는 숫자를 결코 가볍게 봐서는 안 된다는 취지다.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이 불과 금융사 한 곳에서 빚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다른 금융사에도 리스크가 전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빚을 갚지 못하는 개인사업자가 늘거나 개인사업자 연체율이 오른다는 것은 해당 기업에 고용된 직원들도 고용불안 등으로 은행권 빚을 상환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에 파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은행권 관계자는 “통상 차주들은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등의 이자를 우선적으로 상환하는 경향이 있는데, 만약에 전세대출, 주담대의 연체율이 상승할 경우 이는 금융권 전반적으로 큰 위험신호가 될 수 있다"며 “해당 대출의 연체율이 올랐다는 것은 신용대출 등 다른 항목들의 경우 이미 곪을 만큼 곪았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