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일이 오는 4일 오전 11시로 결정되자 주요 외신들도 이 소식을 빠르게 보도했다. 1일 블룸버그통신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 소식을 보도하면서 “한국이 탄핵된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을 곧 결정한다"며 “빠르게 끝난 계엄으로 윤 대통령이 파면될지 직무에 복귀될지 결정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이어 “헌법재판소의 선고는 한국 현대 정치사 중 가장 격동적인 사건에 종지부를 찍을 것"이라며 “이번 결정은 또 도널드 트럼프의 보호주의 정책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한국을 약한 위치에 몰아넣은 리더십 공백을 종식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선고일 발표 이후 한국 코스피 지수가 2% 가까이 급등하고 정치적 불안에 타격을 입었던 원/달러 환율도 달러당 1467.65원으로 하락(원화가치 상승)했다고 전했다. 스위스 자산운용사 롬바드 오디에의 이호민 선임 거시경제 전략가는 “윤 대통령 선고일이 확정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뿐만 아니라 선고일을 기다리던 투자자들의 불안으로 압박을 받아왔던 한국 증시에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며 “향후 국정 방향이 명확해지고 트럼프 행정부과의 협상이 효과적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또 대통령 탄핵 심판과 관련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며 과거 노무현·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 사례에 대해서 소개했다. 로이터통신은 탄핵이 헌재에서 인용된다면 전직 인기 검사로 정계에 발을 들인 윤 대통령이 임기 5년 중 3년도 채우지 못한 채 파면될 것이라며 “혼란스러웠던 임기가 끝을 맺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진 후속 보도에서는 이번 탄핵심판 결정을 내릴 헌법재판관 8명의 프로필을 상세히 소개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헌재의 탄핵소추 기각으로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면 정치적 위기는 심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NYT는 “윤 대통령의 계엄령 시도는 수백만 명의 한국인을 분노하게 만들었다"며 “복권되더라도 통치 능력이 상당히 약화된 채 대통령직을 재개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지도자가 미국의 중요한 동맹국인 한국을 군사 통치하에 두려고 시도한 것은 40여 년 만에 처음"이라고 전했다. AP통신은 “헌재의 선고가 어느 방향으로든 한국의 분열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AFP 통신은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이후 한국 헌법재판소가 “오래 기다린" 탄핵 선고를 오는 4일 내릴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전했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