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내놓은 인공지능(AI) 모델이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킨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주의 자신의 골프클럽에서 진행 중인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에서 행한 연설에서 “긍정적인 일이고 이를 자산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딥시크가 저렴한 비용으로 AI 모델을 개발한 것에 대해 “돈을 많이 쓰지 않고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좋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또 “중국 기업이 출시한 딥시크는 미국의 산업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며 “우리는 승리를 위한 경쟁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과학자들을 보유하고 있고 중국 지도부에서도 이같이 말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는 대신 적은 비용을 지출하게 될 것이고,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 같은 해법을 찾길 바란다"고 했다. 그는 “지난주에 조 바이든의 파괴적인 AI 규제를 철회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AI 기업들이 다시 한번 최고가 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됐다"면서 “우리는 기술 기업을 최대한 활용해 전례 없는 방식으로 미래를 지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수입하는 해외 의약품, 반도체, 금속 원자재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필수품들이 미국에서 생산되기 위해 우리는 가까운 미래에 해외 컵퓨터 칩, 반도체,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 군사용으로 필요한 물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것(관세)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공장을 짓는 것"이라며 “세금을 내기 싫으면 미국에서 공장을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조금 중심의 조 바이든 행정부 정책과 달리 관세를 통해 미국에서 첨단 반도체가 생산될 수 있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내가 (집권 1기 때) 대규모 철강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면, 미국에는 철강 공장이 하나도 없었을 것"이라며 “세탁기, 건조기 등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면 오하이오에 있는 회사들은 모두 망했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오하이오에서) 공장을 폐쇄하려 했다. 한국이 세탁기 등을 덤핑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우리는 50%의 관세를 부과했고, 75%, 100%까지 올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신이 강력히 추진하는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에 비협조한 콜롬비아에 즉각적인 고율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점을 언급, “만약 그렇게 하지 않으면(협조하지 않으면) 그들은 매우 높은 경제적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고, 우리는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제재도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매각 방안과 관련해서는 “많은 사람이 입찰에 참여할 것이고, 중국은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이스라엘의 방공망인 아이언돔과 유사하게 미국에도 아이언돔 건설을 즉시 시작하는 행정명령, 군대에서 트랜스젠더 이데올로기를 제거하는 행정명령 등에 서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2028년 대선에서 3선 도전 가능성을 암시하는 발언을 내놓았다. 그는 “다음 선거운동을 위해 많은 돈을 모금했는데, 나를 위해 사용할 수 없을 것 같지만, 100% 확신할 수는 없다"면서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을 향해 “나는 확신할 수 없겠는데, 내가 다시 출마할 수 있나"라고 묻기도 했다. 미국 헌법은 대통령의 임기를 두 번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이미 2017∼2021년 한 차례 대통령을 지낸 트럼프 대통령은 3선이 불가능하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