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로컬뉴스]경북교육청 소식](http://www.ekn.kr/mnt/thum/202504/news-p.v1.20250403.d30df8c2ae6a4fd396e30ed0a027732c_T1.jpg)
◇ 산불 피해 학생 긴급 지원—생필품 꾸러미로 희망을 전하다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북도교육청이 최근 의성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피해를 입은 학생들에게 긴급 지원을 2일 결정했다. 교육청은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지역 교육지원청과 협력하여 피해 학생 150명을 선정하고, 즉각적인 구호에 나섰다. 지원 꾸러미는 10만 원 상당의 개인 위생용품, 응급처치 키트, 학용품 등으로 구성됐으며, 피해 학생들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경북교육청은 이번 지원을 시작으로 긴급구호단체, 사회복지기관, 기업체와 협력해 추가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더 나아가 피해 학생들이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장기적인 교육 지원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예기치 못한 재난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생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학생들이 학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배움에 나이가 없다...경북교육청, 학력 인정 문해교육 확대 ◇ 경북교육청, 배움의 기회를 놓친 성인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열린다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북도교육청은 올해 학력 인정 문해교육 기관으로 17곳을 지정하고, 초등과정 359명, 중학과정 212명 등 총 571명의 만학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문해교육 과정은 단순한 기초 교육을 넘어 실생활과 밀접한 체험 활동까지 포함한다. 한글 읽기·쓰기, 셈하기 외에도 시화전 참가, 문화 탐방, 스마트폰 활용 교육 등을 병행하여 배움의 즐거움을 극대화한다. 초등과정 720시간, 중학과정 1350시간을 이수하면 경상북도교육청 교육감 명의의 졸업장이 수여되며, 2013년부터 현재까지 809명이 이 제도를 통해 학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교육을 통해 특히 70~80대 고령층의 문해율 향상이 기대된다. 경북교육청은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총 2억 1430만 원의 예산을 배정했으며, 강사비를 우선 지원한 후 교재비, 체험학습비, 졸업·입학식 운영비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유진선 행복교육지원과장은 “배움의 기회를 확장하는 것은 교육청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성인 학습자가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I be Lab'—경북형 IB 교육, 미래형 수업 혁신 선도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북도교육청이 3일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의 도입을 본격화하며, 도내 교원들의 IB 교육 이해도 제고와 학교 적용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에 나섰다. 현재 공모 중인 'I be Lab' IB 전문연구팀은 초등(PYP), 중학교(MYP), 고등학교(DP), 리더스랩(Leaders Lab) 등 총 5개 팀으로 운영되며, 경북형 IB 교육과정을 연구하고 실제 수업 및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오는 19일 구미고등학교에서는 'IB OPEN CLASS – I be Student: 다시! 학생이 되다'라는 체험형 연수가 진행된다. 이 연수에서는 교사들이 직접 IB 탐구 기반 수업을 체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방안을 논의한다. IB 교육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연구 중심의 지원을 확대하고 교원 연수를 강화하는 한편, 교육공동체의 이해와 공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임종식 교육감은 “IB 교육은 교사가 배우고 연구하며 실천하는 과정 속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정착될 수 있다"며 “경북형 IB 모델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경북교육청, 교사 역량 강화—수업 전문가 육성으로 교육 품질 제고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북도교육청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2025 수업 전문가 육성 정책'을 3일 발표했다. 올해 정책에는 지난해보다 151명 증가한 637명의 교사가 참여해 교육의 질을 한층 더 끌어올릴 전망이다. 수업 전문가 과정은 △수업연구교사 △수업선도교사 △수업명인 등 3단계로 구성되며, 단계별 인증을 거쳐야 다음 단계로 도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성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교사들은 연구 수업과 공개 수업, 수업 컨설팅, 교원 학습공동체 활동 등을 수행하며 교육 전문성을 심화하게 된다. 특히 올해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질문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질문 기반 수업'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AI 디지털 교과서 및 에듀테크 활용 능력 강화를 위한 지원도 병행하여 미래형 교육 역량을 배양할 계획이다. 경북교육청은 2015년부터 해당 정책을 추진해 5000여 명의 수업 전문가를 양성했으며, 이들은 온·오프라인 수업 공유와 연구 자료 제공 등을 통해 교실 수업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임종식 교육감은 “수업은 학교 교육의 핵심이며, 교사는 학생들의 배움을 설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며 “교사들이 다양한 수업 방식을 연구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북교육청의 정책들은 단순한 교육 지원을 넘어, 학생과 교사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재난 피해 학생들을 위한 실질적 지원부터 미래 교육 혁신까지, 경북교육청의 노력은 지역 교육을 세계 수준으로 도약시키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jjw580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