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최근 '빅컷'(0.5%포인트 금리인하)을 단행하자 금리인하 수혜주를 모색하려는 트레이더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블룸버그통신은 22일(현지시간) 월가 트레이더들이 금리인하 수혜주에 베팅하는 데 있어서 과거 사례를 참조할 수 없는 독특한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통상 기준금리가 인하될 때 경제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그리고 배당성향이 강한 유틸리티 섹터의 주식들이 전통 수혜주로 떠오른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전반적으로 식어가거나 이미 침체에 빠졌을 때 연준이 경기부양 차원으로 금리를 낮추기 때문이다. 이에 기술주처럼 성장성이 높은 주식들은 수익률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실제 스트라테가스 증권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네 차례의 금리인하 사이클에서 투자자들은 S&P500 지수에 편입된 주식 중에서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섹터를 가장 많이 주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금리가 처음으로 인하된 시점(1995년 7월 6일, 2001년 1월 3일, 2007년 9월 18일, 2019년 8월 1일)에서 6개월 동안 유틸리티 섹터가 평균 5.2% 올랐고 필수수소비재(4.2%), 헬스케어(3.6%)가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기술 섹터가 평균 6.2% 하락하면서 가장 많이 떨어졌고 부동산(-3%), 임의소비재(-2.1%), 금융(-1.7%) 등도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금은 환경이 달라 이에 맞는 투자전략이 없다는 게 블룸버그의 지적이다. 미국 노동시장은 냉각되고 있지만 소비 등은 여전히 견고한 데다 기업 실적은 앞으로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기에 뉴욕증시 주요 지수들은 사상 최고치에 유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연준이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빅컷에 나선 것이다. 원자재 트레이딩 업체 안티모의 프랭크 몬캄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금융여건이 상당히 완화된 상황 속에서 연준이 빅컷을 선택한 것은 투자자들에게 있어서 공격적인 포지션을 취하라는 분명한 신호"라며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등 전통적인 경기방어주를 매수하는 전략은 큰 주목을 받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하기엔 금융주에 주목하라고 입을 모은다. 그린우드 캐피털 어소시에이츠의 월터 토드 회장은 “지불해야 할 예금이자가 줄어들어 예대차 마진이 개선될 것"이라며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체이스, PNC 파이낸셜 서비스 등을 주목했다. UBS 글로벌 자산관리의 데이비드 레프코위츠 미국 주식 총괄은 금융주에 이어 경제 성장과 연관된 산업 섹터를 선호한다고 전했다. 연착륙 기대감 속에 금리가 인하되면서 미국인들의 소비 확대에 따른 수혜주에 주목하라는 의견도 제기됐다. 라덴버그 탈만 자산관리의 필 블란카토 최고경영자(CEO)는 “행복한 소비자들을 보게 될 것"이라며 “금리인하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 주택 시장이든 자동차 시장이든 연말 소비든 지출이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테그리티 자산관리의 조 길버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미국 최대 쇼핑몰 운영업체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 부동산회사 프로로지스 등에서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헤지펀드들은 기술주, 미디어주, 통신주를 4개월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