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7일(금)
기자 이미지

윤병효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윤병효 기자 입니다.
  • 기후에너지부
  • chyybh@ekn.kr

전체기사

더그리트, 서울시 축제에 다회용기 18만여개 공급

서울시 축제에 일회용컵 대신 다회용컵이 사용돼 폐플라스틱 발생량을 줄였다. 다회용기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더그리트는 서울시 미래한강본부가 주최한 '2024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에 친환경 다회용기 약 18만5000개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3번째로 열린 축제는 지난 5월 5일부터 6월 23일까지 매주 일요일 1시부터 9시까지 서울 한강 잠수교 및 반포 한강공원 일원에서 총 8회 열렸다. 더그리트는 축제에 친환경 다회용기를 공급해 일회용품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했다. 행사 참여자가 식음료 구매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도록 했고 행사장 내 비치된 다회용기 반납소에 다회용기를 반납하도록 했다. 반납한 다회용기는 더그리트 직영 세척장에서 7단계로 세척 및 정밀 검수 한다. 세척과 검수가 끝난 다회용기는 일회용기보다 위생적이고 안전하다. 양우정 더그리트 대표는 “이번 행사에 공급한 다회용기 18만5000개를 포함해 현재까지 더그리트가 제공한 누적 다회용기는 약 4500만개"라며 “이는 소나무 약 2만1200여 그루를 심는 효과와 같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다회용기 솔루션으로 탄소 배출 절감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는 오는 9월에 다시 시민들을 찾는다. 9월 1일부터 10월 27일까지 매주 일요일 열릴 예정이다. 더그리트는 하반기에도 축제에 다회용기를 공급하며 '일회용품보다 더 위생적이고 안전한 다회용기'에 대한 홍보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포스코 제1 LNG터미널 준공…최남호 차관 “배관망 공정 사용”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2년에 걸쳐 총 1조원을 넘게 투자한 광양 제1 액화천연가스(LNG)터미널이 종합 준공됐다. 준공식에 참석한 산업부 차관은 가스공사 배관망이 공정하게 사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002년부터 약 22년간 26만㎡(약 7만9000평) 부지에 1조450억원을 투자해 건설한 민간기업 최초의 광양 제1 LNG터미널이 종합 준공됐다. 이 터미널은 LNG 저장탱크 6기, 총 용량 93만㎘와 시간당 680톤의 기화송출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18만㎥ 급 LNG 운반선을 접안할 수 있는 항만설비도 갖추고 있다. 2005년 6월 1·2호기 준공, 2010년 9월 3호기 준공, 2013년 6월 4호기 준공, 2019년 12월 5호기 준공, 2024년 6월 6호기를 준공했다. 제2 터미널 부지에 2022년부터 2026년 7월까지 7·8호기가 준공될 예정이다. 최남호 2차관은 이날 종합 준공식에 참석해 “최초의 민간 LNG 생산기지인 광양 제1 LNG터미널이 LNG 밸류체인의 핵심 요소로서 해당 기업이 글로벌 에너지기업으로 성장해나가는데 소중한 자산임과 동시에 우리 경제에 필수적인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는데 핵심 역할을 하게 될 필수 인프라"라고 평가했다. 이 터미널에 저장된 LNG는 국내 첫 직수입사인 포스코를 비롯해 에쓰오일, SK E&S, HD현대중공업 등이 사용한다. 직수입이란 도시가스사업법에 의거해 원래 천연가스 수입은 한국가스공사만 가능하나, 산업용 및 발전용의 자가 사용분에 한해서는 해당 기업의 직수입을 허용하는 제도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 운영 중인 LNG 터미널은 △가스공사 인천 23기(348㎘), 평택 23기(336㎘), 통영 17기(262㎘), 삼척 12기(261㎘), 제주 2기(9㎘) 등 총 77기(1216㎘) △보령LNG터미널 7기(140㎘) △포스코인터내셔널 광양 6기(93㎘) 등으로 총 90기(1449㎘)이다. 건설예정 터미널은 △가스공사 당진 10기(270㎘) △포스코인터내셔널 광양 2기(40㎘) △동북아LNG허브터미널 여수 4기(80㎘) △KET 울산 4기(86㎘) △통영에코파워 1기(20㎘) 등으로 총 21기(496㎘)이다. 최남호 2차관은 가스공사 배관망이 공정하게 사용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주배관망의 민간 기업 사용이 더욱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 차관은 “가스공사와 민간 업계가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면서 국가 전체적으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면서 “가스공사와 민간 기업이 LNG 터미널과 같은 관련 인프라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스공사가 운영중인 천연가스 배관망을 누구나 공정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는 올 하반기에 새롭게 운영되는 전문가 중심의 배관망이용심의위원회를 통해 터미널별 천연가스 인입량 조정 등 배관망 이용과 관련한 사항이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결정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청정수소 가장 싼 곳은 러시아…“에너지 교역 이어가야”

탄소중립에 필수 에너지인 청정 수소 및 암모니아가 가장 저렴하게 생산되는 곳은 러시아로 나타났다. 수요가 가장 많은 우리나라와 일본 생산단가보다 거의 절반 수준이다. 특히 러시아 동시베리아는 에너지가 풍부하고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워 청정수소 저장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미래를 위해선 러시아와 대화 채널 및 교류를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8일 글로벌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정보 제공업체인 아르구스(Argus)에 따르면 청정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이 가능한 나라 가운데 생산단가가 가장 저렴한 곳은 러시아와 북미로 나타났다. 자동열개질(ATR)과 탄소포집저장(CCS) 기술로 생산한 저탄소(LOW-C) 암모니아의 생산단가(톤당)를 보면 러시아 서부 418달러, 동부 411달러이며, 북미에서는 미국 걸프코스트 443달러, 캐나다 408달러이다. 이에 비해 한국은 758달러, 일본은 753달러로 조사가 이뤄진 나라 가운데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746달러, 영국 721달러, 독일 740달러, 스페인 733달러, 프랑스 728달러 등 유럽도 비싼 편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입국이 될 호주 679달러, 트리니다드 747달러, 카타르 676달러, 아랍에미리트 697달러는 동북아보다는 낮지만 러시아, 북미보다는 높은 단가가 형성됐다. 수증기개질반응(SMR)과 CCS로 생산한 BAT(Best Available Techniques)+ 암모니아의 생산단가(톤당)를 보면 러시아 동부 320달러, 서부 327달러이며, 캐나다 324달러, 미국 걸프코스트 335달러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은 각각 649달러, 647달러로 역시 가장 높게 형성됐다. 이에 못지 않게 유럽도 네덜란드 647달러, 영국 607달러, 독일 636달러, 스페인 639달러, 프랑스 643달러로 높게 형성됐다. 호주는 573달러, 카타르는 591달러, 아랍에미리트는 586달러로 형성됐다. 탄소 배출이 거의 없는 풍력과 태양광 전력으로 만들어진 무탄소(No-C) 암모니아의 생산단가는 저탄소 암모니아보다 크게 높아진다. 가장 저렴한 순으로는 톤당 중국 1012달러, 아랍에미리트 1105달러, 호주 1126달러, 미국 웨스트코스트 1142달러, 사우디아라비아 1148달러, 스페인 1148달러, 카타르 1155달러, 브라질 1173달러, 칠레 1218달러, 남아프리카 1258달러, 나미비아 1279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은 각각 2748달러, 3046달러로 가장 저렴한 곳보다 2.5~3배 이상 비쌌다. 반면 네덜란드 1389달러, 영국 1423달러, 독일 1584달러, 프랑스 1634달러 등 재생에너지가 많이 설치된 유럽의 생산단가는 한국과 일본보다는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구스가 정의하는 청정암모니아 기준은 암모니아 1톤 생산에 배출되는 탄소량 기준으로 △No-C 암모니아 0.01톤 미만 △LOW-C 암모니아 0.09톤 초과, 0.17톤 미만 △BAT+ 암모니아 0.17톤 초과, 0.49톤 미만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청정암모니아 수요가 상업적으로 시작되는 나라다. 올해부터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CHPS)이 개설돼 빠르면 2027년부터 실제 청정수소가 발전 연료로 공급될 예정이다. 2030년경 국내 청정수소 수요는 500만톤가량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는 수소 생산단가가 매우 비싸 수소운반체인 청정암모니아의 거의 전량을 수입해야 하는 처지이다. 이 때문에 수입처로서 러시아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우리나라의 러시아 에너지 수입액은 2021년 135억달러에서 러-우 전쟁 이후 뚝 떨어져 2023년 58억달러로 감소했다. 우리나라는 러시아 에너지 수입을 줄인 만큼 이를 북미, 중동, 호주 등에서 대체 수입하고 있으나 가격이 올라 물가 인플레이션의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우리나라가 탄소중립 체제에서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의 청정암모니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실 전쟁 전부터 러시아의 청정 수소 및 암모니아 수입을 검토하고 있었다. 러시아 동시베리아에는 에너지가 풍부하고 CCS 사이트도 충분해 저렴한 청정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이 가능하고,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도 매우 가깝다"며 “러-우 전쟁이 계속되지는 않을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미래를 위해 러시아와 대화 채널 유지하고 학문 교류를 이어가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나에게 청정수소란?’ 제6회 수소경제 바로알기 공모전 개최

수소융합얼라이언스(회장 김재홍)는 수소경제에 대한 국민의 정책 공감대 형성을 위한 캠페인으로 '수소경제 바로알기 공모전'을 8일부터 8월 16일까지 40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6회차를 맞아 공모 명칭을 변경해 추진되는 공모전은 '나에게 청정수소란?'을 주제로 청정수소의 개념, 장점 및 국민이 상상하는 모습 등을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직접 제작함으로써, 수소경제·청정수소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해 인식과 수용성을 높이는 데 의의가 있다. 공모전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수소산업진흥 전담기관인 H2KOREA가 주관으로, 수소 전담기관인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후원으로 참여한다. 공모분야는 △디자인 △웹툰 △영상(숏폼) △음악(CM송) △표어(슬로건) 5개 부문으로, 수소경제·청정수소에 관심이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모전 누리집(www.수소경제바로알기.c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한다. 접수된 작품을 대상으로 평가위원회의 1차 심사와 대국민 투표를 통한 2차 심사(9월 예정)를 거쳐, 대상 1점, 최우수상 5점, 우수상 5점, 장려상 10점 총 21점을 선정한다. 입상자에게는 총 2100만원 상금과 산업부 장관상 및 주관·후원기관장 상이 수여된다.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모전 운영사무국(02-6395-3121)이나 공모전 누리집,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수소경제바로알기공모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재홍 H2KOREA 회장은 “수소경제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과 함께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면서 “공모전을 통해 청정수소에 대한 국민의 다양한 생각을 확인하고, 소통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가스公, 민원으로 재설계 시 적정대가 지급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4일 대구 본사에서 '건설기술용역 제도개선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건설 공사의 설계 기준을 명확하게 정립해 공정하고 청렴한 건설 환경을 조성하고자 개최됐다. 가스공사 건설설계처 직원을 비롯해 천연가스 인프라 건설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설계용역사 등 전문가 3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설계용역비 현실화 및 설계업무의 애로사항에 대해 폭넓고 심도 있는 토론을 펼쳤다. 가스공사는 설계용역사에서 제안한 사급·지입 기자재 구매 지원 등 설계업무 제도 개선 안건 32건에 대해 관계법령 및 국내⸱외 최신 기술동향 등을 반영해 실효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로 했다. 아울러 설계용역사가 현장여건 변화 및 각종 민원 등으로 인해 재설계를 할 때, 기술용역 대가기준을 최신화해 적정한 대가를 지급함으로써 상생‧협력의 건설문화 조성에 힘쓰기로 협의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들을 현장에 적기에 반영해 설계 기준을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설계 업무절차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감으로써 건설 기술용역사들과 공정하고 투명한 상생협력문화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5배 더 비싸”…폐지 보다 폐플라스틱 모으는 시대

플라스틱의 재활용 의무율이 80%대까지 오르면서 폐플라스틱 가격도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주요 폐플라스틱 가공제품은 폐종이보다 5~6배 높은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다. 오는 11월 부산에서 플라스틱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회의에서 플라스틱 재활용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폐플라스틱의 몸값이 더욱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7일 한국환경공단의 재활용 가능자원 가격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평균 기준 ㎏당 PE압축제품은 429.4원, PP압축제품은 320.5원. PET압축제품은 459.4원에 가격이 형성됐다. 이는 폐신문지 129.6원, 폐골판지 85원보다 3.5배에서 5.4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폐플라스틱은 세척 및 가공할 수록 가격은 더욱 높아진다. 세척 뒤 파쇄한 플레이크 단계의 PE는 641.2원, PP는 517.6원, PS는 910.8원, ABS는 952.5원, PVC는 588.7원, PET무색은 955.8원, PET유색은 444.1원, PET복합은 377.8원에 가격이 형성됐다. 플레이크를 용융 압축시킨 펠렛 단계의 PE는 914.3원, PP는 732.4원, PS는 1247.7원, ABS는 1445원, EPS는 1115.7원에 가격이 형성됐다.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는 가장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 원료로 대부분의 플라스틱 용기에 적용되고 있다.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무색이며 단단하고 가스차단성이 탁월에 탄산음료 등 흔히 말하는 페트병으로 사용된다. PS(폴리스티렌)는 착색이 자유롭고 상온에서 단단해 배달음식 일회용기로 사용되고, EPS(익스팬디드 폴리스티렌)은 흔히 스티로폼으로 불린다.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레진)은 착색 및 탄성이 좋고 흠집이 적어 레고제품 등 완구류에 많이 사용된다. 플라스틱 원료의 재활용 의무율은 지속적으로 올라 대부분이 70~80%대에 이르고 있다. PET병(무색) 재활용 의무율은 작년 76.3%에서 올해 76.8%로 올랐고, PET병 복합재질은 85.6%에서 89.4%로 올랐다. 발포합성수지는 작년 86.6%에서 올해 87.1%로, PVC는 38.5%에서 40.8%로, 용기류 등 단일재질 기타합성수지는 87%에서 89.3%로, 윤활유용기는 82.1%에서 82.6%로 올랐다. 1회용 비닐장갑 등 필름류는 작년과 동일하지만 86%로 높은 수준이다. 이에 비해 종이팩 재활용 의무율은 일반팩의 경우 29.3%, 멸균팩의 경우 14.6% 수준에 머물고 있다. 플라스틱 재활용이 크게 늘어난 것은 생산자책임재활용(EPR) 제도 영향이 크다. EPR(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제도는 기존의 사용 후 폐기물의 책임이 소비자한테만 있었다면 이를 생산자까지 확대하는 것으로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과 남미에서 시행하고 있다. 특히 고분자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은 반영구적으로 썩지 않고 최종적으로 바다로 흘러 들어가 생태계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어 대부분의 나라에서 높은 재활용 의무율을 부과하고 있다. 올해 기준 EPR 대상품목은 4대 포장재 재질인 종이, 합성수지(플라스틱), 금속, 유리를 비롯해 타이어, 전지, 윤활유, 형광등, 양식용부자, 전자제품 등 총 44개 품목에 적용되고 있다. 갈수록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폐플라스틱 가격은 앞으로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플라스틱 오염 방지를 위한 정부간협상위원회(INC) 최종회의에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플라스틱 규제 최종안이 도출될 예정이다. 페루와 르완다 같은 강경파는 플라스틱 폴리머 생산량을 2040년까지 2025년 대비 40% 감축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러시아와 이란 같은 온건파는 오염을 줄이자는 것이기 때문에 폐기물만 잘 관리하면 된다고 맞서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우리나라가 최종회의 개최국으로서 모범을 보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량 감축 및 재활용 의무율 상향,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등 강화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식품용 페트병에 2025년까지 25%, 2030년까지 30%의 재생원료를 사용하도록 의무화했다. 우리나라는 세계 4위의 석유화학산업 강국이지만, 중국과 중동에 밀려 급격히 경쟁력을 잃고 있다. 강화된 플라스틱 정책과 함께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안이 나올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GS파워 안양열병합, 공정안전관리 우수성 인정

GS파워의 똑똑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시스템이 대내외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GS파워(대표 유재영) 안양열병합발전소는 지난 2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4년도 공정안전관리(PSM) 운영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공정안전관리(PSM) 운영 우수사례 발표대회는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공정안전관리(PSM)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중심의 산업재해예방활동 우수사례를 발굴해 관련 업계에 전파하기 위한 목적에서 매년 개최해 오고 있다. 이번 대회는 서류심사와 현장심사를 거쳐 본선에 진출한 7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GS파워 안양열병합발전소는 서울, 경기 사업장 대표로 참가했다. GS파워는 이번 발표대회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최근의 PSM 이행상태평가를 통해 경영진을 중심으로 모든 구성원들이 공정안전관리체계 개선에 참여해 더욱 체계적이고 고도화된 GS파워만의 PSM 문화를 알리는데 중점을 뒀다. 또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한 PSM TF를 중심으로 △공정안전관리 182개 이행관리 점검표 운영 △상생협력사업과 매칭지원프로그램을 통한 협력업체 안전보건지원 △협력업체 안전평가시스템 구축 △GS파워만의 작업위험성평가인 P-JSA 개발 △위험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3D map 도입 △GenAI를 활용한 안전보건도우미인 안Gen봇 운영 △자재관리부터 안전작업관리까지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등의 사례에 대해 발표해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뒀다. GS파워 관계자는 “앞으로도 산업재해 ZERO 사업장 유지와 위험성평가의 수준 제고를 위해 AI기술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고도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추가 도입 등의 지속적인 노력을 다할 예정"이라며 “협력사에도 우수사례를 공유해 안전보건수준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포스코인터, 전문무역상사의 날 산업부장관상 수상

포스코인터내셔널(사장 이계인)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전문무역상사의 날' 행사에서 해외시장 확장을 통한 국익 창출과 중소·벤처 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성과를 인정받아 대기업 부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전문무역상사'는 우수 기술을 보유한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도입된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수출 대행기업 제도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문무역상사 중에서도 수출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09년 전문무역상사로 지정된 이후 철강, 식량, 에너지, 친환경 소재 등 산업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해외 시장을 확대해 왔다. 또한 산업부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도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2022년 하반기부터 한국무역협회와 함께 'Go-Global with POSCO INTERNATIONAL'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유망 중소·벤처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했다. 작년 회사는 중소·중견 212개사의 제품 7억달러를 수출한 바 있다. 또한 국내 친환경 분야 중소·벤처기업과 함께 태국, 미국, 베트남 등지에서 수출 상담회를 진행해 86건의 바이어 미팅을 주선하고 수출상담 실적 8700만달러를 달성하기도 했다. 올해에는 상담회 규모를 늘려 리셋컴퍼니, 오즈세파, 그린웨일글로벌, CK월드, 한국워터테크놀로지 등의 9개 유망 중소·벤처기업과 연간 5회의 수출상담회를 개최하며 해외 시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수출상담회 외에도 현지 법인 및 지사를 활용한 바이어 신용도 조사, 잠재 수요가 발굴, 계약 검토 등의 수출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회사 관계자는 “중소·벤처 기업과의 동반성장 노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감사하다"며 “전문무역상사로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리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주택용 도시가스 도매요금 6.8% 인상…“서민 고려 최소화”

주택용 도시가스 도매요금이 1년만에 인상된다. 인상 폭은 약 6.8%로, 가스공사는 서민 부담을 고려해 최소 수준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한국가스공사는 오는 8월 1일부터 적용되는 도시가스 주택용 도매요금을 MJ당 1.41원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서울시 소매요금 기준으로 6.8% 수준이다. 일반용 도매요금은 1.30원 인상된다. 도시가스 요금 조정에 따라 서울시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가스요금은 약 3770원(부가세 포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수용(주택용, 일반용) 도매요금은 2023년 5월 인상(1.04원/MJ, 5.3%) 이후 현재까지 동결됐다. 가스공사는 원가 미만 도매요금으로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이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13조5000억원으로 늘어나면서 재무 상태가 심각하게 악화됐다. 별도기준 1분기 가스공사 부채비율은 624%이며, 미수금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비용이 연 5000억을 초과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이번 인상이 “불가피하다"면서도 “서민 부담을 고려해 인상폭을 최소화하는 수준에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사회복지시설과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열효율 개선사업'의 대상자를 적극 발굴해 작년 225개소에서 2027년까지 2350개소로 10배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노후 건물의 보일러, 단열재, 창호 교체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사업으로, 가스공사는 2010년부터 지금까지 전국 1298개의 저소득 가구와 1537개의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계층 주거지 총 2835여 곳에 따뜻한 온기를 전하고 있다. 이번 지원정책 확대로 동절기 취약계층의 가구당 난방비가 약 10% 절감되는 등 취약계층의 난방비 절감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스공사는 “앞으로도 요금 인상 요인을 최소화하는 한편 취약계층 지원 및 상생협력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유류세 환원 5일째…직영주유소, 자영보다 2.5배 더 올라

이달 1일부터 리터당 휘발유와 경유는 약 40원, LPG부탄은 12원의 유류세가 오른 가운데 현재까지 정유사가 직접 운영하는 직영주유소 가격이 일반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자영주유소보다 2.5배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상표별로는 GS칼텍스가 가장 많이 올랐고, 석유공사가 물량을 공급하는 자영알뜰주유소는 가장 적게 올라 최근 정부의 석유가격 모니터링이 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5일 한국석유공사 주유소 가격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유류세 일부 환원으로 리터당 휘발유 41원, 경유 38원, LPG부탄 12원 인상요인이 발생한 가운데 4일까지 전국 평균 판매가격은 환원액보다 적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유소의 6월 30일 가격과 7월 4일 가격을 비교한 결과 리터당 고급휘발유는 21.73원, 보통휘발유는 20.96원, 경유는 21.96원, LPG부탄은 12.91원 올랐다. 같은 기간 동안 주유소 상표별 휘발유 가격은 HD현대오일뱅크 19.51원, SK에너지 19.87원, 에쓰오일 20.01원, GS칼텍스 27.06원 올라 GS칼텍스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알뜰주유소는 18.1원 올라 정유사 주유소보다 적게 올랐다. 특히 석유공사로부터 물량을 공급받는 자영알뜰주유소는 12.93원 올라 가장 적었다. 석유산업과 석유공사 관할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석유가격 모니터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LPG부탄은 SK가스 13원, E1 12.01원, SK에너지 13.19원, GS칼텍스 12.94원, HD현대오일뱅크 13.43원, 에쓰오일 13.53원, NH농협 13원, 자가상표 12.33원 올랐다. 정유사가 직접 운영하는 직영주유소와 일반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자영주유소의 가격을 비교한 결과 직영주유소 가격이 훨씬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6월 30일부터 7월 4일까지 휘발유 기준으로 직영주유소 가격은 47.65원 오른 반면, 자영주유소는 19.21원 올라 직영이 자영보다 약 2.5배 더 올랐다. 같은 기간 셀프주유소는 23.06원, 비셀프주유소는 18.57원 올랐고, 마트주유소는 51.93원, 비마트주유소는 20.88원 올랐다. 전체 주유소 중 직영주유소는 약 6.7% 비중으로 많지 않다. 하지만 직영주유소는 도심의 주요 상권마다 배치돼 가격이나 서비스 부분에서 지역 벤치마크 역할을 한다. 즉 그 지역의 가격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서울의 직영주유소 비중은 25%로 높은 편이다. 한국석유관리원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전국 주유소 수는 1만931개이다. 상표별로는 SK에너지 2855개(26.12%), HD현대오일뱅크 2371개(21.69%), 에쓰오일 2228개(20.38%), GS칼텍스 2051개(18.76%), 알뜰주유소 1287개(11.77%), 비상표 139개 이다. 알뜰주유소는 자영알뜰 398개, 농협알뜰 692개, 도로공사알뜰 197개이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