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송기우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송기우 기자 입니다.
  • 교육컨텐츠부
  • kwsong@ekn.kr

전체기사

한국토픽교육센터, 2024년 하반기 관리감독자 집체 교육 진행

한국토픽교육센터에서 2024년 하반기 산업안전 관리감독자 집체 교육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한국토픽교육센터는 고용노동부 공식 인증 안전보건교육 위탁 기관으로 매월 본사 자체 교육장에서 관리감독자 집체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 교육 일정은 9월 24일, 25일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및 동법 시행 규칙 제26조 규정에 따르면 5인 이상 사업장의 관리감독자는 매년 16시간 이상의 안전보건교육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특히 재해 사업장의 경우 16시간, 무재해 사업장은 8시간의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이 중 50% 이상은 반드시 집체 교육으로 이수해야 최종 수료로 인정된다. 한국토픽교육센터에서 시행하는 9월 교육은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자체 교육장에서 진행된다. 교육 내용으로는 중대재해처벌법 주요 사항, 위험성 평가 방법, 관리감독자의 직무와 역할, 산업재해 보상 실무 등으로 구성돼 있다. 산업재해는 기계, 장치, 작업환경 등의 미비에 의해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업하는 근로자가 대상물에 대한 지식, 경험, 기능 부족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신규 채용자에 대해서는 충분한 안전보건교육을 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특히 위험, 유해한 업무에 대해 근로자를 종사시키는 경우 특별 교육을 실시하도록 사업주에게 의무화돼 있다. 산업재해를 줄이자는 목표로 정부는 지난 2022년 1월 27일부터 기존 개정안보다 한층 더 강화된 처벌 수위의 중대재해처벌법을 시행하고 있다. 경영 책임자가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다하지 않아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한국토픽교육센터 관계자는 “사업주 훈련의 경우 고용노동부에 등록된 교육기관이 아닌 곳에 위탁하여 교육을 진행하거나 법에서 정한 기준에 맞지 않는 교육을 받는 경우 이수 사실을 인정받을 수 없으며 사업장(또는 근로자)이 원치 않는 보험 상품을 구매하게 되는 피해 사례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리감독자 집체 교육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토픽교육센터 홈페이지, 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세종사이버대 외식창업프랜차이즈학과 최형진 셰프 특강 개최

세종사이버대학교(총장 신구) 외식창업프랜차이즈학과는 지난 2일 '식당으로 성공하기 위한 매장컨셉과 시그니처 메뉴'라는 주제로 특강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셰프출신 '장사 고수'인 최형진 셰프가 진행했다. 최형진 셰프는 이번 특강에서 “시그니처 메뉴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며 음식점의 브랜드 정체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그니처 메뉴는 창의성과 전문성을 지녀야 한다. 지속성과 대중성도 중요하지만 고객들에게 오랫동안 사랑받는 매장이 되려면 시그니처 메뉴를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종사이버대 외식창업프랜차이즈학과 어윤선 교수는 “점포의 컨셉을 개발할 때는 목표로 하는 시장 내 잠재고객과 경쟁점, 입지, 지역의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해야 하며 가격과 입지, 메뉴, 인테리어, 서비스 모두가 연동이 돼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세종사이버대 외식창업프랜차이즈학과는 뉴스가 있는 카페창업, 딜리버리사업 전략과 스토어 데이터 분석을 통한 매출 증대 기법 등 실무 위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학과는 외식창업전공과 카페창업전공, 프랜차이즈전공, 푸드테크전공으로 구성됐으며 학과생은 다양한 전공과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외식창업전공은 청년창업, 시니어 창업, 여성 창업 등 다양한 창업 교육을 다룬다. 카페창업전공은 시장분석과 사업계획, 콘셉트 개발 등 다양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커리큘럼으로 구성돼 있다. 프랜차이즈전공은 프랜차이즈 본부 구축, 슈퍼바이징실무, 프랜차이즈시스템 경영실무, 가맹거래사 자격증 등 프랜차이즈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푸드테크전공은 식품은 물론 가공과 포장, 유통, 품질관리 등을 교육한다. 고졸 학력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국가장학과 산업체위탁 장학과 같은 다양한 장학 혜택에 대한 사항은 학교 홈페이지와 모바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인공지능학과 순위 찾는 수험생, 한국IT전문학교에 지원

오는 9월 9일부터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수시모집 원서접수 기간은 9월 9일부터 13일까지다. 수시모집 전형 기간은 9월 14일부터 12월 12일까지 이어진다. 한 입시 전문가는 “인공지능학과 순위, 컴퓨터공학과 순위에 주목하는 수험생들이 학위를 취득하고 취업이 연계되는 인서울 전문학교 등에 노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 한국IT전문학교 인공지능학과는 잠재능력평가와 면접전형을 통해 2025학년도 신입생을 선발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학교 관계자는 “인서울 한아전 인공지능학과는 4년제 학사학위 취득과정을 운영한다. 수도권과 지방에 거주하는 고3수험생, 검정고시합격자, 대학 중퇴자들이 본교에 지원하고 있다"며, “인공지능산업은 미래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전공별 실무를 중점으로 교육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학생들은 AI 핵심기술의 개념과 기능 등을 파악하고 AI 프로젝트 기반을 학습하고 인공지능산업에 진출할 창의적인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챗GPT 열풍을 계기로 본교 인공지능학과, 컴퓨터공학과 등에 수험생들의 입학상담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산업은 미래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전공별 실무를 중점으로 교육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학생들은 AI 핵심기술의 개념과 기능 등을 파악하고 AI 프로젝트 기반을 학습하고 인공지능산업에 진출할 창의적인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한아전 IT융합계열에서는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공학과, 정보보안학과 등을 운영 중이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포스텍 김현우 교수팀, 전기산화·구리촉매 접목한 인접 위치 다이플루오로메틸 합성법 개발

국내 연구진이 비시널(vicinal‧인접) 위치에 다이플루오로메틸화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신약 후보 물질 합성 및 라이브러리 구축의 새로운 전략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포스텍 김현우 교수 연구팀이 전기촉매법을 사용하여 비시널 위치에 이중으로 다이플루오로메틸화 화합물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다이플루오로메틸(CF2H) 작용기는 극성화된 탄소-수소 결합 및 친유성을 포함한 화합물로 독특한 동배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수소 결합 주개에 상응하는 작용기를 다이플루오로메틸 그룹으로 대체하는 것만으로도 약물 후보 물질의 물리화학적·생물화학적 특성을 향상시켜 화학 물질 개발의 중심 전략으로 부상했다. 특히, 비시널 위치 수소 결합 주개의 동배체로, 새로운 형태의 골격 구조를 갖는 다이플루오로메틸화 화합물의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반응 중간체의 여러 합성적 가능성 때문에 원치 않은 부반응이 발생하거나 라디칼 중간체의 속도론적 장벽 때문에 원하는 구조의 생성에 있어서 낮은 효율을 보이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전기적 산화와 구리 촉매를 접목하여 비시널 위치에 이중 다이플루오로메틸화 화합물을 합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전기적으로 산화된 다이플루오로메틸 라디칼을 이용하여 기질의 말단에 다이플루오로메틸 그룹을 설치하고, 이후 생성된 탄소 라디칼 중간체에 고가의 구리 촉매와 결합했다. 연구팀은 전기화학 및 계산화학 등 여러 실험 기법을 이용하여 반응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또한 기존의 의약 활성 구조를 포함하는 복잡한 물질도 해당 합성법의 적용이 가능하여 추후 신약 후보 물질 도출을 위한 라이브러리 확장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김현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비시널 위치의 이중 다이플루오로메틸화 반응의 속도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이플루오로메틸화 시약의 라디칼/음이온 전구체로의 이중적인 역할과 구리-전기촉매 시스템을 접목한 합성법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며 “해당 합성법은 신약 물질의 구조적 다양성을 높이는 타개책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우수신진연구 및 기초연구실,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7월 30일 게재되었다. ※ 논문정보 - 논문명 : Cu-Electrocatalysis Enables Vicinal Bis(difluoromethylation) of Alkenes: Unraveling Dichotomous Role of Zn(CF2H)2(DMPU)2 as Both Radical and Anion Source - 저널명 :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미국화학회지) - 키워드 : 전기유기화학(Electroorganic chemistry), 전기촉매반응(Electrocatalysis), 다이플루오로메틸화 반응(Difluoromethylation), 생물학적 동배체(Bioisostere) - DOI : https://doi.org/10.1021/jacs.4c06207 - 저자 : 감현우 교수(교신저자/포스텍), 김선영 박사과정(제1저자/포스텍)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고려대 임상혁 교수팀, 0차원과 3차원 융합해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겼다!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소재로 꼽히는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고려대 임상혁 교수 연구팀이 텐진대 장페이(Zhang Fei) 교수 연구팀, 한밭대 홍기하 교수 연구팀과 함께 차원 융합을 통해 기존 3차원 무기 페로브스카이트의 한계를 극복한 고효율 및 고안정성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술이 성숙하고 상용화가 임박해 한국, 중국, 중동 등의 기술 개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는 전력 변환 효율이 뛰어나지만 유기물로 인한 장기 안정성 문제가 상업화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무기 페로브스카이트(CsPbI3)는 열 및 광 안정성이 뛰어난 반면 페로브스카이트 상구조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어 상용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무기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 안정성의 한계를 극복해 높은 효율과 내구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했다. 스프레이 코팅 기술을 활용해 고순도 0차원(Cs4PbBr6)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결정을 3차원(CsPbI3) 페로브스카이트층 위에 균일하게 도포했을 때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을 규명했다. 이때 0차원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결정은 전하 분리를 촉진하고 비방사 재결합을 억제하는 동시에 3차원 페로브스카이트의 격자를 고정해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0차원-3차원 융합 구조는 태양전지의 열 및 광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21.03%의 전력 변환 효율과 초기 효율 대비 92.48%를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내구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에 대해 임상혁 교수는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과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성과를 마련했다"며 “차원 융합 기술은 대규모 생산에도 적합한 제조 공정을 도입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 세종과학펠로우십,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재료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8월 17일 온라인 게재되었다. ※ 논문정보 - 논문명 : Inorganic-Derived 0D Perovskite Induced Surface Lattice Arrangement for Efficient and Stable All-Inorganic Perovskite Solar Cells - 저널명 : Advanced Materials 키워드 : Perovskite(페로브스카이트), All-inorganic(전-무기), Zero-dimensional perovskite(0차원 페로브스카이트), Inverted perovskite solar cell(역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Minimodule(미니모듈), Stability(내구성) - DOI : https://doi.org/10.1002/adma.202408387 - 저자 : 임상혁 교수(교신저자/고려대), 장비(Zhang Fei)(교신저자/텐진대), 홍기하 교수(교신저자/한밭대), 허진혁 박사(제1저자 및 교신저자/고려대), 박진경 박사 (제1저자/고려대), 이형준 학생(참여저자/고려대), 신은하 학생 (참여저자/한밭대), 홍석영 학생(참여저자/고려대)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플로르 소속 모델들과 패밀리 매거진 키라키즈 16호 출간

키즈 전문 매거진 '키라키즈 16호'가 지난 2일 발간됐다. 지난 7월 교보문고에서 성황리에 판매된 패밀리 매거진 '키라키즈 15호'는 교보문고 주간 베스트 잡지 분야 10위권을 돌파했다. 지난 2일 발행된 키라키즈 16호는 드림아트, 아이주, 지엠팜, 키친유, 브리엘, 요구르트런 등 어린이에게 잘 어울리는 키즈템들부터 부모와 함께하는 패션 코너까지 어린이들과 가까이 소통하고 있다. 특히, 온 가족이 함께 모여 볼 수 있는 패밀리 매거진 키라키즈에 키즈존으로 국립항공박물관과 객실 곳곳에 시나모롤이 가득한 서울드래곤시티 '위드 마이 키즈' 패키지가 함께 소개돼 있다. 아울러, 아이들이 놀러 갈 수 있는 장소 등 여러 가지 정보가 제공 중이다. 매거진을 감독하고 있는 플로르방송제작사는 “어린이들에게 좋은 것들을 소개해주고 즐겁게 만들어 줄 기회가 있어 기쁘다"며 “앞으로 더 많은 곳에서 어린이들이 즐겨 읽을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고 많은 스탭들이 함께 노력해낸 매거진에 보내주신 성원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키라키즈 매거진 화보 촬영에 관심 있는 어린이들은 플로르방송제작사 홈페이지에서 오디션 신청을 할 수 있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SK브로드밴드, ‘2024 블러썸 청소년 음악제’ 성료

SK브로드밴드(대표이사 사장 박진효)는 ESG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개최한 '2024 블러썸 청소년 음악제'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1일 밝혔다. 올해 3회를 맞는 2024 블러썸 청소년 음악제는 SK브로드밴드와 FNC 엔터테인먼트 비영리 공익재단인 LOVE FNC가 손잡고 '나와 우리의 행복을 노래하다'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됐다. 지난 6월까지 'With : 함께여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행복'이라는 주제로 청소년들이 직접 창작한 음악을 공모했고, 전국에서 200여명의 학생이 총 103개 팀으로 참여했다. 이후 치열한 예선 심사를 거쳐 최종 9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31일 오후 서울 성암아트홀에서 열린 본선 경연에서 영예의 대상은 'View'라는 곡을 선보인 소울밴드가 차지했다. 소울밴드 참가 학생들은 “멤버들이 고3이라 입시로 바빠지게 되는데 마지막 추억을 위해 최선을 다했고 좋은 결과를 얻어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받은 학생들도 많은 박수를 받았다. 본선 준비기간에는 다양한 멘토링 특강 등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가수 보라와 그룹 앰퍼샌드원 멤버 나캠든이 MC를 맡았고, 인기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 OST에 참여한 정진욱 작곡가와 서지은 작곡가가 본선 심사를 맡았다. 2024 블러썸 청소년 음악제에서 수상한 대상 및 최우수상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플로(FLO)를 통해 음원으로 공개된다. 청소년들이 노래하는 행복의 가치와 긍정적인 영향력이 널리 전달될 것으로 기대된다. SK브로드밴드는 B tv와 B tv 케이블 등 자체 미디어 채널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음악 홍보를 지원한다. 9월 중으로 이번 음악제 본선 공연을 1시간 분량으로 편성해 B tv에서 공개하고, B tv 케이블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지역 사회에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조영호 SK브로드밴드 ESG추진 담당은 “이번 2024 블러썸 청소년 음악제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음악으로 표현하고, 다양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며 “SK브로드밴드는 앞으로도 청소년들의 꿈과 열정을 응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한항전 울진비행훈련원, ‘비행2시간 비용 면제’ 2024 하반기 특별 이벤트

한국항공전문학교 울진비행훈련원(이하 훈련원)이 본교 UPP 과정 입과생을 대상으로 2024 하반기 특별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훈련원은 2024 하반기 특별 이벤트를 통해 교육비를 일시납하는 입과생에게 비행 2시간 비용(약 63만원 상당) 면제 혜택과 약 8만원 상당의 국토부 표준 교재를 제공한다. 자가용 면장 취득 후 입과 하는 경력과정 훈련생에게는 1.5시간 비용 면제 혜택(약 47만원 상당)이 제공된다. 이번 행사는 2025년 교육비 인상 전 예산 소진 시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교육비 분납 시 이벤트 대상에서 제외된다. 훈련원 관계자는 “2024년이 지나가기 전 훈련원에 입과 하는 예비 조종사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고자 이번 이벤트를 마련했다"며 “최첨단 시설과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조종사를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지정 조종전문교육기관 한국항공전문학교 울진비행훈련원은 현대식 GARMIN 시스템, 최신식 ALSIM AL172 모의비행훈련장치, ILS 장비를 보함한 양방향 계기접근시설 등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훈련생에게 퀄리티 있는 비행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또 민간항공사 지원에 필요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국토부사업용통합과정(UPP)부터 조종교육증명과정, 비행경력축적과정, 항공사 취업MOU 등 조종교육을 비롯한 취업률 강화 프로그램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훈련원은 조종사 지망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오는 9월28일 오전 10시 조종사 양성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는 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에 위치한 '글로리아타워'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조종사 직업의 여건, 항공시장의 변화, 학사학위+조종사면허, 국토부사업용통합과정, APP 미국교육과정 등 항공조종사에 대한 정보를 소개할 예정이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한국IT전문학교, ‘전망 좋은 학과’ 웹툰학과 신입생 모집

한국IT전문학교(이하 한아전)는 수시모집 전 웹툰학과를 포함해 '전망 좋은 학과'에 대한 2025학년도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한아전 웹툰학과는 수시모집 전 비실기전형으로 2025학년도 신입생을 선발 중이다. 수능과 내신성적 반영없이 신입생을 선발 중이다. 한아전 관계자는 “최근 웹툰이 콘텐츠의 대표 주자로 성장하며 수험생들도 웹툰과 일러스트에 주목하고 있다"며 “웹툰학과를 졸업하면 진출할 수 있는 분야는 웹툰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디자인, 영상제작 분야 등 다양하다. 한아전 웹툰학과는 전국에 거주하는 고3수험생, 검정고시 합격자 등을 대상으로 입학상담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험생들이 '전망 좋은 학과'로 애니메이션학과, 웹툰학과 등을 선택해 지원하고 있다"며 “내신 4등급, 5등급, 6등급 수험생들이 진학 상담을 요청하고 있다. 웹툰산업, 애니메이션,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종사할 웹툰작가, 웹툰PD, 스토리작가, 캐릭터 디자이너 등을 양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고3 수험생, 검정고시 합격자, 대학 중퇴자 등이 지원 중이다. 학교 관계자는 “인서울 한아전은 게임계열, 디지털디자인계열, IT융합계열 등 다양한 계열을 운영하고 있다. 2025학년도 입학 희망자를 대상으로 입학 상담 및 원서접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러스트학과에서도 기초미술부터 출판만화, 웹툰, 2D·3D애니메이션, 일러스트와 콘셉트아트까지 세분화된 전문 과정을 교육하고 있다. 학생들은 재학 동안 컴퓨터 그래픽스 운용기능사, 시각디자인 기사, 컬러리스트 산업기사 등 다양한 디자인 관련 자격증도 취득하고 졸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아전 디지털디자인계열은 디지털시각·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일러스트레이션·드로잉학과, 웹툰·애니학과 등을 운영하고 있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한성대, 헝가리 주요 대학과 글로벌 산학협력 및 인재양성 협력한다!

한성대학교(총장 이창원)는 9월 2일부터 4일까지 헝가리 부다페스트 5개 대학을 방문해 고등교육 혁신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고 글로벌 산학협력·인재양성 추진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헝가리는 기초과학 분야가 우수하고 한국어·한국학에 관심이 많은 국가이다. 또한 최근 국가 주요 정책 과제로 교육개혁을 진행 중이며 특히 고등교육 혁신을 위해 한국 대학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한성대는 이번 방문을 통해 부다페스트 메트로폴리탄 대학(Budapest Metropolitan University), 루도비카 공공서비스 대학(Ludovika University of Public Service)과 교류협력 강화를 위한 공동협정을 체결했다. 이뿐 아니라 모홀리-나기 디자인 대학(Moholy-Nagy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MOME), 오부다 대학(Obuda University), 카롤리 가스파르 대학(Károli Gáspár University)과 공동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헝가리 최대 사립대학교인 부다페스트 메트로폴리탄 대학(총장 György Kocziszky, 죄르지 코치스키)은 최근 고등교육 혁신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대학혁신의 아이콘인 아리조나 주립대와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주목받는 대학이다. 한성대 역시 최근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사업에서 최우수등급(S등급)을 받아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두 대학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노하우를 공유하고, AI 및 디지털미디어 분야 공동교육 등을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또 헝가리 행정 및 국방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받고 있는 루도비카 공공서비스대학(총장 Gergely Deli, 게르겔리 델리)과 협약을 체결하고, 교육·연구 교류, 한성대 국방과학대학원과의 혁신기술을 적용한 연구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오부다 대학(총장 Levente Kovács, 레벤테 코바치)은 헝가리에서 가장 큰 공과대학으로 삼성SDI를 비롯한 국내외 기업과 연계하여 산학협력 연구·교육, 기술기반 창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대학이다. 양교는 학생 및 교수 교류협력을 통해 AI, 사이버 보안, 창조산업 등 산학연구·교육 협력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디자인 분야에서 대내외적으로 명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성대는 디자인 분야 중부유럽 최고 대학인 모홀리-나기 예술디자인 대학(총장 Pál Koós, 팔 코오슈)과 새로운 미디어 및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미래 디자인 교육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카롤리 가스파르 대학(총장 László Trócsányi, 라슬로 트록사니) 한국학과는 헝가리 내 최고의 한국학 대가인 초모 모세(Csoma Mózes) 전 주한 헝가리 대사가 창설한 학과로 이번 헝가리 방문을 통해 양교간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연구 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합의했다. 홍규덕 주헝가리 대한민국 대사는 양국간 글로벌 산학협력 및 고등교육 협력을 활성화한다는 차원에서, 이번에 한성대가 헝가리 주요 5대 대학과의 협력방안을 합의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창원 총장은 “헝가리 대학들과 한성대는 고등교육 혁신에 대한 공동관심사를 공유하고 있다"며, “헝가리 내 대표적인 대학들과 글로벌 산학협력·교육, 기술기반 창업 등을 통해 한국과 헝가리 고등교육 혁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송기우 기자 kwso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