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05일(토)
기자 이미지

김윤호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김윤호 기자 입니다.
  • 산업부
  • kyh81@ekn.kr

전체기사

LG U+ 디지털 콘텐츠 채널 ‘유잼’, ICT 어워드 코리아서 금상 수상

LG유플러스가 한국정보과학진흥협회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기도가 후원하는 'ICT 어워드 코리아 2024'에서 디지털 콘텐츠 & 마케팅 분야 '금상'을 수상했다고 25일 밝혔다. 올해로 21회째 맞는 ICT 어워드 코리아는 웹‧앱‧디지털 플랫폼 등 ICT 서비스를 대상으로 열리는 국내 최대 어워드다. △디지털 인사이트 △디지털 서비스 혁신 △웹·앱사이트 품질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기술혁신 △디지털 콘텐츠 & 마케팅 6개 부문에서 혁신적이고 우수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선보인 기업을 선정해 시상한다. LG유플러스는 공식 웹사이트 '유플러스닷컴'과 공식 애플리케이션 '당신의U+' 등 디지털 대표채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채널 '유잼'이 △정보의 접근성 및 신뢰성 △카피의 독창성 △콘텐츠의 정량·정성적 평가 △콘텐츠 이용의 효율성과 편의성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유잼은 올 1월 디지털 대표채널에서 고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해 신설한 콘텐츠 채널이다. 통신 분야 특성상 고객이 어렵게 느낄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 설명하는 '통신 꿀팁' 콘텐츠 57편을 공개, 오픈 7개월 만에 누적 조회 수 1172만 건을 기록했다. 전경혜 LG유플러스 디지털CX담당(상무)는 “고객이 통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올해 디지털 대표채널에서 신설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채널이 인정을 받아 기쁘다"며 “디지털 채널 접점을 중심으로 MZ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강화해 차별적인 고객가치를 지속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LG전자 5G 특화망 솔루션 ‘국산 네트워크 장비’ 인증 획득…“업계 최초”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5G 특화망 솔루션이 최근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로부터 '국산 네트워크 장비 인증'을 5G 특화망 업계 최초로 획득했다. 25일 LG전자에 따르면 '국산 네트워크 장비 인증'은 국내에서의 개발·생산 여부를 심사해 부여하는 인증으로 공공 기관에 제품 공급시 증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번 인증으로 LG전자는 5G 특화망 관련 핵심 기술력 내재화를 공인 받았다. 5G 특화망은 공장, 빌딩 등 특정 공간에 제공하는 맞춤형 5G 네트워크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성이 뛰어나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전환(DX/AX) △스마트팩토리 운영 등 산업 혁신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꼽힌다. 이번에 인증 받은 LG전자 5G 특화망 솔루션은 기지국 장치(RAN), 5G 코어(5G CORE) 등 기존 5G 통신 장비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하드웨어(HW)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SW) 업그레이드를 통해 데이터 처리 속도나 안정성 등을 개선할 수 있어 운영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다양한 고객 니즈와 설치환경에 최적화한 맞춤 5G 특화망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보안이 중요한 고객을 위해 외부 접속을 차단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다른 기업과 협업이 많은 고객을 위해 외부 클라우드와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각각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구축에 그치지 않고, 로봇·사이니지 등 LG전자 제품은 물론 고객이 보유한 CCTV·스마트 안전장비 등을 5G 특화망으로 연결해 통합 관리하도록 디바이스 제어 솔루션도 제공한다. LG전자는 이번 국산 인증을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을 원하는 기업은 물론, 공공기관의 5G 특화망 사업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이준성 LG전자 Private Network사업개발실장(상무)은 “LG전자는 앞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원하는 고객에게 맞춤형 5G 특화망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최종현 SK 선대회장 26주기…최태원·최재원·최창원 등 ‘조용한 추모’

SK그룹이 고(故)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 26주기를 맞아 고인이 정립한 경영철학 'SK 경영관리체계(SKMS)'를 재조명하며 고인을 기렸다. 25일 연합뉴스와 재계에 따르면 최 선대회장 기일인 26일을 앞두고 지난 24일 SK그룹의 최태원 회장, 최재원 수석부회장,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가까운 가족이 모여 고인의 26기를 추모했다. 참석자들은 한국 경제의 선지자였던 선대회장의 업적을 되돌아보면서 고인의 리더십을 널리 알리자고 의지를 다진 것으로 전해졌다. SK그룹은 2018년 최 선대회장의 20주기 추모 행사를 마지막으로 그룹 행사는 따로 열지 않고 있다. 이번에도 별도 행사 없이 '조용한 추모'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선대회장은 1973년 최종건 창업회장의 뒤를 이어 그룹을 맡았다. 이후 1979년 SK 고유의 경영관리체계인 SKMS를 만들었다. 45년간 경영환경 변화에 맞춰 개정을 거듭한 SKMS는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 위기 때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업문화 역할을 해 왔다. 최근 SK그룹은 경영전략회의와 지식경영 플랫폼 이천포럼에서 SKMS의 정신과 적극적인 실천 방안을 잇달아 강조하기도 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반도체 인재’ 확보 사활…삼성전자·SK하이닉스, 하반기 채용 돌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반도체 인재 확보전에 뛰어든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다음 달 초 '하반기 신입사원 정기 채용'을 시작한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메모리·시스템LSI·파운드리 사업부 등 직무별 채용 모집 공고를 낼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다음 달 중 내년 2월 졸업 예정자와 기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경력 2∼4년차를 대상으로 한 '주니어탤런트' 전형을 진행한다. SK하이닉스는 하반기 전임직(생산직) 직원 채용에도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상·하반기를 통틀어 올 한해에만 세 자릿수 규모의 생산직 인력을 뽑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양사가 반도체 인재 확보에 나선 건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앞서 올해 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HBM 개발,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제품 개발 등 차세대 메모리 관련 인재를 채용한 바 있다. 경영진도 반도체 인재 확보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최근 연세대와 서울대를 시작으로 포항공대(26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27일), 성균관대(28일), 고려대(29일) 등 6개 대학에서 '테크&커리어(T&C) 포럼'을 연다. T&C 포럼은 지난 2016년부터 DS 부문이 반도체 인재 발굴과 양성을 목적으로 매년 시행하는 석·박사 대상 행사다. 올해 T&C 포럼에는 DS 부문 기술 담당 임원들이 나서 회사의 문화와 주요 제품·기술 등을 설명한다. SK하이닉스도 다음 달 10일까지 서울대, 포항공대, KAIST, 연세대, 고려대 등 5개 대학에서 석·박사 대상 채용 행사인 '테크 데이 2024'를 개최한다. 테크 데이에는 김주선 AI 인프라 담당 사장을 비롯해 김종환 D램 개발 담당 부사장 등이 참석한다. 해외 인재 확보에도 적극적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신공장 설립을 앞두고 주변 대학과 협력을 추진 중이다. 인재 확보를 위한 포석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SK하이닉스도 미국에서 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데, 향후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마련될 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기지에서 일할 인력 채용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두산연강재단, ‘과학교사 학술시찰’ 견문록 출판기념회 열어

두산연강재단은 지난 23일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과학교사 학술시찰 견문록 발간을 기념하는 출판기념회를 열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견문록에는 지난해 8월과 올해 1월에 진행된 '두산연강재단 과학교사 학술시찰'에 참가한 초·중·고 교사들의 해외 과학교육 현장탐방 경험과 소감이 생생하게 담겼다. 박용현 이사장은 이날 행사에 참석해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지식은 물론, 세상을 바라보는 창을 제공한다"며 “앞으로도 일선 교육현장의 발전을 위해 선생님들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연강재단은 지난 2007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 등이 주관하는 '올해의 과학교사상' 수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술시찰을 진행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16회에 걸쳐 총 581명의 교사가 참가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삼성전기, 새 먹거리로 ‘FC-BGA’ 낙점…기술력 앞세워 수요 공략

삼성전기가 고부가 반도체 기판인 '플립칩 볼그리드어레이(FC-BGA)'를 새 먹거리로 낙점한 모습이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반도체 시장이 호황을 누리면서 반도체 기판도 활황인 영향이다. 회사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는 데 사활을 걸 계획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지난 22일 제품 학습회를 열고 자사 FC-BGA와 시장 상황 및 해당 제품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 등을 설명했다. 반도체 기판 중 하나인 FC-BGA는 고집적 반도체 칩과 기판을 플립칩 범프로 연결하며 전기 및 열적 특성을 높인 패키지 기판이다. PC, 서버, AI,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자동차용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 사용된다. 특히 AI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글로벌 빅테크를 중심으로 FC-BGA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FC-BGA 시장 전망은 밝다. 후지카메라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80억달러(약 11조원) 수준이던 글로벌 FC-BGA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 164억달러(약 22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삼성전기가 미래 먹거리로 FC-BGA를 낙점한 이유다. 앞서 회사는 지난달 글로벌 반도체 기업 AMD와 고성능 컴퓨팅(HPC) 서버용 FC-BGA 공급 계약을 맺고 제품 양산을 시작하며 FC-BGA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세계적으로 FC-BGA를 제조할 수 있는 기업은 10곳 미만이다. 현재 일본과 대만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삼성전기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수요 공략에 나선다는 포부다. 황치원 삼성전기 패키지개발팀 상무는 지난 22일 열린 제품 학습회에서 “삼성전기는 (FC-BGA 시장에서) 어느 업체보다 뒤지지 않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 부분이 가장 큰 강점"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기판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은 '미세 가공 기술'과 '미세 회로 구현'이다. 삼성전기에 따르면 회사는 세계 최고 수준의 미세 가공·미세 회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1조원 이상 투자해 베트남 신공장을 첨단 하이엔드 제품 양산기지로 운영하고 있는 점도 강점으로 꼽힌다. 이를 통한 성과도 눈에 띈다. 삼성전기는 올 2분기 패키지솔루션(첨단 패키지 기판) 부문에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499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회사 측은 베트남 신공장에서 생산된 FC-BGA 등의 판매가 증가하며 매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기는 향후 서버·자율주행·네트워크 등 고부가 FC-BGA 제품 비중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고성능 서버 및 네트워크, 자율주행 등 하이엔드 반도체 기판 시장에 집중할 것"이라며 “오는 2026년까지 고부가 FC-BGA 제품 비중을 50% 이상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꿉꿉한 날씨지만 여기는 웃는다… ‘제습 가전’ 인기에 가전업계 ‘활기’

여름 끝 무렵에도 고온 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며 건조기, 제습기 등 '제습 가전' 구매를 위한 소비자 발걸음이 분주하다. 전반적인 가전 시장 위축 속에서 제습 가전이 인기를 끌며 가전업계가 모처럼 활기를 띠는 모습이다. 22일 전자랜드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19일까지 제습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다. 일부 지점에선 제습기 재고가 소진되는 품귀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건조기의 경우 제습기만큼의 폭발적인 성장은 아니지만 이달 판매량이 지난해와 비교해 증가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전반적인 평가다. 일례로 이달 들어 위닉스 '콤팩트 건조기'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15% 늘었다. 통상 제습 가전의 성수기는 6~7월이다. 가전업계에선 늦여름까지 제습 가전 붐이 일고 있는 건 이달까지 덥고 습한 날씨고 이어지고 있는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열대야를 겪고 있는 서울은 오는 27일까지 최저 기온이 25도 밑으로 떨어지지 않겠다. 보통 열대야는 8월 중순 이후 물러간다. 올해는 8월 말까지 더위가 지속될 전망이다. 단순히 더운 것만도 아니다. 올 여름 습도는 역대급 여름으로 평가받는 2018년을 넘어섰다.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상대 습도(공기가 최대 머금을 수 있는 수증기량 대비 현재 수증기량 비율)는 78%로 2018년 같은 기간(73%)보다 5%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은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함에 따라 당분간은 '습식 사우나' 같은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제습 가전은 습하면 습할수록 잘 팔리는 제품"이라며 “꿉꿉한 날씨가 지속될 전망인 만큼 제습기, 건조기 등의 인기가 쉽사리 꺼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소비 심리가 위축돼 있던 가전 시장에 모처럼 판매 훈풍이 불며 업계는 웃음꽃을 피우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국내 가전제품 소매 판매액은 2조8909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9218억원) 대비 1.1% 감소했다. 2022년 6월(3조839억원)과 비교해선 6.3% 줄었다. 업계는 제습기의 경우 '소음의 정도를 낮췄다'는 점을 소구 포인트로 내세우고 수요 공략에 나선 분위기다. 그동안 소음 때문에 제습기 사용이 꺼려진다는 소비자 평가를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삼성전자의 '인버터 제습기'는 저소음 모드 사용 시 34dB의 소음만 발생된다. LG전자 '휘센 오브제컬렉션 제습기'는 약풍 기준 32dB 수준이다. 통상 조용한 승용차 실내와 도서관에서 각각 60dB, 50dB의 소음이 나온다. 건조기는 콤팩트한 제품의 출시가 눈에 띈다. 과거 의류건조기는 큰 사이즈 위주로 출시됐다. 위닉스가 선보인 '인버터 콤팩트 건조기'는 최대 건조 용량이 4kg이다. 삼성전자가 출시한 세탁기·건조기 일체형 제품 '비스포크 그랑데 AI 슬림' 모델은 세탁기 13kg, 건조기 10kg의 콤팩트한 사이즈가 특징이다. 늘어나는 1인 가구를 적극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행보다. 가전업계 한 관계자는 “기후 변화로 매해 여름 고온 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며 과거 주목받지 못하던 제습 가전이 소비자들의 필수 가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위축돼 있던 가전 시장이 제습 가전 판매 호조로 활기를 띠고 있는 만큼 대다수 업체들은 라인업을 늘리거나 마케팅 강화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김성한 SK하이닉스 부사장 “핵심 소재·부품 빠르게 수급… HBM 1위 수성”

김성한 SK하이닉스 전공정(FE) 구매 담당 부사장은 구매 본연의 업(業)에 집중해 고대역폭메모리(HBM) 1위 수성이라는 전사 목표 달성과 함께 인공지능(AI) 메모리 경쟁력을 높여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부사장은 22일 자사 뉴스룸에 공개된 인터뷰를 통해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하는 AI 시대에는 본연의 일에 집중해야 성과를 이룰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FE구매는 전공정(Front-End)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를 구매해 현업에 공급하는 조직이다. 품질, 비용, 기술은 기본이며, 배송 전반을 관리하고 수요까지 예측해 업무 간 유기적인 연결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 과정에서 FE구매 구성원들은 총소유비용 절감 전략 수립, 생산능력(CAPA) 확보, 공급업체 최적화, 물량 배분 등을 통해 구매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김 부사장은 “FE구매를 비롯한 구매 조직은 양질의 소부장을 확보하면서도 원가는 절감해 제품 경쟁력을 높이는 일을 한다"며 “웨이퍼 생산에 필요한 필수 소재,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같은 핵심 장비를 적시에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확대된 역할을 한층 효과적으로 해내기 위해 최근 조직 개편을 진행했다. 팹(FAB)원자재 구매는 개발과 양산 조직을 통합했고, 장비·부품구매 조직의 역할을 명확히 했으며, 공급망 관리 및 준법 활동을 담당하는 구매전략 조직을 신설했다. 이를 통해 FE구매는 전문성과 유연성을 높이며 다양한 이슈를 해결해 나갈 기반을 갖추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부사장은 “구매의 역할이 다양해지고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건, '기본으로 돌아가(Back To The Basic) 구매 본연의 업무를 충실히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다운턴 당시, 구매는 투자를 줄이고 원가 경쟁력을 높여 전사적 비용 절감에 힘을 보탰다. 또 수시로 단가 협상을 했고, 제조·기술 조직과 협업 아이템을 발굴하며 유지보수비(OpEx)를 줄인 것이 주효했다"며 “동시에 불안정한 국제정세, AI 붐과 같은 변수들에도 대처하면서 공급망 확보, 지속적인 납기 점검, 생산능력 확충 등을 통해 요동치는 메모리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위기를 극복하고 반도체 호황기를 맞으며 여러 성과를 이루어 냈지만 김 부사장은 “진정한 게임은 이제부터"라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국제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특정 품목의 수급이 제한되는 등 소부장 구매 전반에 도전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법과 제도 안에서 가용한 자원을 모두 활용, 시장 정보를 확보하면서 불확실성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부사장은 'HBM 1위 수성'이라는 전사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데도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핵심 소재·부품을 빠르게 수급해 회사의 AI 메모리 시장 리더십을 지키고, 설비투자비(CapEx)와 유지보수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경영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총소유비용(TCO)을 줄이면서 미래 반도체 개발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LG U+ 콘텐츠 잇단 흥행에 ‘유플러스 3.0’ 전략 속도 낸다

LG유플러스가 자사가 선보인 콘텐츠들의 잇단 흥행에 미소 짓고 있다. 이에 힘입어 중장기 성장전략 '유플러스 3.0(U+3.0)' 추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통합 스포츠 플랫폼인 '스포키'가 올해 프로야구 개막에 맞춰 선보인 시뮬레이션 콘텐츠 서비스인 '내맘대로 프로야구(이하 내프야)'를 즐기는 고객이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달 기준 내프야를 이용한 월간 이용자는 프로야구 개막 초인 지난 4월과 비교해 156% 증가했다. 내프야는 이용자가 직접 올해 한국프로야구(KBO 리그)에 등록된 선수 중 본인이 원하는 선수를 선정한 뒤 포수, 구원투수, 좌익수, 우익수 등에 배치해 가상의 팀을 만들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내프야가 인기를 끌며 스포키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 플랫폼은 야구, 축구, 농구, 배구, 골프, 당구 등 스포츠 종목별 국내외 다양한 리그의 최신 뉴스, 인기 유튜브와 방송 영상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내프야 이용자 증가에 힘입어 올 상반기 스포키 전체 이용 고객은1600만명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5% 늘었다"며 “매월 평균 약 208만명이 프로야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획·제작에 참여한 드라마 콘텐츠의 흥행도 눈에 띈다. 최근 LG유플러스의 콘텐츠 전문 스튜디오 '스튜디오 X+U'가 선보인 드라마 '노 웨이 아웃: 더 룰렛(이하 노 웨이 아웃)'이 이용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디즈니플러스와 U+모바일tv를 통해 공개된 이 드라마는 대국민 살인청부라는 파격 소재와 조진웅, 김무열, 염정아, 이광수 등 탄탄한 라인업을 갖추며 공개 전부터 기대작으로 주목 받았다. 노 웨이 아웃은 8월 3~4주차 통합 콘텐츠 랭킹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기대에 부응했다. 이 같은 콘텐츠들의 연이은 성공에 자신감을 얻은 LG유플러스는 목표로 한 U+3.0 추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앞서 회사는 지난 2022년 9월 U+3.0 전략을 공개한 바 있다.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 등을 집중 육성하는 게 주된 골자다. 해당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오는 2027년까지 비통신사업 매출 비중을 전체의 40%까지 확대하겠다는 포부도 내놨다. 스포키는 U+3.0 시대를 열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올해 티빙의 프로야구 중계권 독점 계약으로 생중계와 하이라이트 화면을 제공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도 다양한 야구 콘텐츠로 성장한 만큼 LG유플러스는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통해 플랫폼을 키울 계획이다. 이용자가 늘고 플랫폼이 커지면 광고 등을 통한 수익화 모델이 될 수 있단 기대도 크다. 올해 KBO 리그가 역대급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는 점에서 스포키에 대한 향후 전망도 밝다. 업계 한 관계자는 “KBO 리그가 사상 첫 1000만 관중 시대를 앞두고 있는 등 야구를 즐기는 팬이 크게 늘었다"며 “이에 따라 야구 관련 콘텐츠를 앞세운 플랫폼들도 지속적으로 인기를 끌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LG유플러스는 드라마, 예능 등 콘텐츠 제작에도 속도를 내며 지식재산권(IP) 발굴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스튜디오 X+U는 현재 노 웨이 아웃의 캐릭터 스핀오프 IP 기획개발에 나섰으며, 이를 바탕으로 웹소설과 웹툰 제작도 순차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오는 28일에는 SM엔터테인먼트의 아이돌 그룹 '라이즈'의 여행기를 담은 예능도 공개한다. 오는 2026년 공개를 목표로 로봇 드라마 제작에도 나섰다. 회사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차별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많은 원천 IP를 확보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LG U+, 요금 납부·상품 해지 번거로움 없는 ‘선불인터넷’ 상품 출시

LG유플러스는 단기간 인터넷 사용이 필요한 고객을 대상으로 월 요금 납부와 상품 해지 번거로움이 없는 '선불인터넷' 상품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선불인터넷'은 고객이 희망하는 이용기간에 따라 6개월 또는 12개월 요금을 선납하면 기존 요금 대비 최대 43% 저렴하게 U+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이다. 기간 만료 시 자동 해지된다. 상품은 인터넷 제공 속도에 따라 △웹서핑이나 온라인 문서 작업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100M' △고화질 동영상 콘텐츠를 끊김 없이 감상할 수 있는 '500M' △고사양 게임도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는 '1기가' 3종으로 구성돼 있다. 와이파이 제공 여부도 선택 가능하다. 선불 인터넷의 장점은 일반 후불 상품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가령 일반 요금제 '와이파이기본 500M' 상품을 12개월 이용 시 월 5만6100원(연 70만9500원, 무약정 기준, 가입 설치비 포함)을 내야 하지만, '와이파이기본 선불인터넷 500M'는 12개월 간 이용 시 추가 비용 없이 연 40만59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연 최대 30만3600원, 약 43% 절약하는 셈이다. LG유플러스는 매월 청구서를 확인해 요금을 납부하거나 기간 만료 시 해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학업이나 출장 등으로 짧은 기간 인터넷을 사용해야 하는 대학생, 사회 초년생, 국내에 단기 체류하는 외국인 고객으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인호 LG유플러스 홈사업담당(상무)은 “선불인터넷은 약정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선불 요금 납부 방식을 도입해 고객 선택권을 강화한 상품"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요금제 라인업을 통해 차별적 가치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호 기자 kyh81@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