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소니드에 공시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늑장 공시가 문제였다면, 올해는 신사업 관련 자산 및 CB 꺾기 관련 오기재가 발생했다. 공시 과정의 실수일 수 있지만 두 건 모두 기업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정보다. 게다가 오류를 인지했음에도 정정 공시는 없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소니드'의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 문제까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 16일 소니드는 1분기 분기보고서를 공시했다. 이 과정에서 주석으로 사업부문 별 자산 내역을 공시했다. 폐배터리 사업 부문은 510억원으로 계상됐다. 소니드의 총자산이 1507억원임을 고려할 때 3분의 1에 해당할 정도로 큰 규모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고, 자산 규모는 30억원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소니드 관계자는 “오기재 했다"고 설명했다. 소니드의 폐배터리 사업 규모의 오기재는 지엽적으로 보긴 어렵다. 우선 500억원과 30억원은 절대적인 규모의 차이가 있다. 소니드의 총자산 중 33%가 폐배터리 부문의 자산이라면, 회사의 리소스가 상당 부분 투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폐배터리 사업이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판단할 소지도 있다. 폐배터리 사업은 인허가 사업이기에 인허가 문턱을 하나씩 넘으며 이를 바탕으로 토지 매입, 공장 신설·증설, 기계장치 매입 등을 진행한다. 그런데 소니드는 지난해 말 기준 0원이었던 폐배터리 부문의 자산을 한 번에 대규모로 계상했다. 이를 통해 소니드가 회사의 인적·물적 시설을 폐배터리 사업 부문에 집중 투입해 진행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고 투자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해석할 수 있다. 특히 폐배터리 사업은 소니드가 집중하고 있는 신사업 부문이다. 소니드는 지난 3월부터 보도자료를 적어도 3차례 배포했는데 모두 폐배터리 관련 내용이었다. 지난달에는 소니드는 테슬라·BMW 파트너인 화유 코발트의 자화사 화유 리사이클과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합작 사업 본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을 알리기도 했다. 아울러 공시된 사업 규모를 볼 때 폐배터리 사업에서 곧 대규모 수익이 날 수 있다고 오해할 수도 있다. 회계상 자산이란 기업이 과거 사건의 결과로 현재 보유하거나 통제하고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을 의미한다. 즉, 그간 투자한 리소스가 수익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분기 소니드가 계상한 폐배터리 사업 부문의 510억원이란 숫자는 소니드의 지난해 매출액 495억원을 상회하는 수치다. 게다가 분기보고서에는 'CB 꺾기' 관련 오류도 나타난다. 소니드의 자회사 메디콕스는 19회 차 CB를 한 대형증권사를 상대로 2022년 말에 발행했다. 해당 CB는 지난해 말 계약이 변경돼 CB꺾기와 유사한 형태로 변했다. CB꺾기는 금액의 다과, 기간의 정도, 계약의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기에 통상적으로 중요한 공시로 분류된다. 지난해 국감에서 크게 다뤄졌던 건이기도 하다. 그런데 소니드는 주석사항 9번의 단기금융상품과 우발부채에 관한 사항의 단기금융상품 금액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 결과, 1분기 말 단기금융상품은 34억인데 담보로 제공한 단기금융상품은 85억원으로 공시됐다. 숫자가 다르다 보니 CB꺽기의 모습과 배경에 대해 유추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소니드 관계자는 “우발부채 항목에서 단기금융상품의 금액이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소니드의 실수는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해에는 지연 공시의 문제도 있었다. 지난해 4월 10일 최대주주인 제이와이미래기술컴퍼니의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를 공시했는데 해당 공시에는 지난해 3월 31일에 한중건설과 진양건설에 70억원을 대출을 받았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1주라도 담보 제공을 한다면 해당 거래와 관련해 사유 발생일로부터 5 거래일 내로 공시해야 한다. 계약일이 기산일이고, 초일은 불산입하고, 말일은 산입 한다. 이를 적용한다면 소니드는 4월 7일까지 공시해야 한다. 하지만 소니드는 7일 이후 공시했다. 문제는 소니드는 공시의 오류를 인지했음에도 아직까지 1분기 분기보고서를 정정하지 않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게 관계자는 “소액주주들은 기업의 내부 사정을 알 수 없어 정보에 취약하다"면서 “이를 완화시키는 것이 공시 제도인데 공시를 계속 반복적으로 어긴다면 기업의 신뢰도는 떨어지고, 더 나아가 기업의 메시지 역시 믿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