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박성준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박성준 기자 입니다.
  • 디지털콘텐츠국
  • mediapark@ekn.kr

전체기사

‘尹 탄핵안’ 투표 종료 선언 미루는 우의장…“투표해달라”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 의원들의 참여를 호소하며 투표 종료선언을 미루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안철수 의원을 제외하고는 이날 김건희 여사 특검법 표결을 마친 뒤 단체로 퇴장했다. 이후 회의장에 남은 야당 의원들과 안 의원이 먼저 투표를 진행했다. 이어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과 김상욱 의원이 회의장에 돌아와 투표에 참여해 모두 195명이 오후 7시께까지 윤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투표를 마쳤다. 참석 의원의 수가 200석에 미치지 못하면 정족수 미달로 투표는 성립되지 못하고 탄핵안은 그대로 폐기된다. 그러나 우 의장은 투표 종료를 선언하지 않았고, 대신 여당 의원들이 회의장에 돌아올 것을 기다리며 본회의를 열어둔 채 대기하기로 했다. 우 의장은 “얼마 전 비상계엄 사태를 보며 세계가 놀랐다. 이는 정파의 문제가 아니고 대한민국 역사와 민주주의의 문제"라며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모습을 국민이, 세계가 어떻게 보겠나. 역사의 평가가 두렵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표를 하셔야 한다. 그게 애국자로서,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서,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의무"라며 “꼭 들어와서 투표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앞서 윤 대통령 탄핵안은 5일 오전 0시 48분께 본회의에 보고됐으며, 이날 자정 직후인 8일 0시 48분까지 표결이 가능하다. 연합뉴스

與, ‘김여사 특검법’ 투표 뒤 퇴장…‘尹 탄핵안’ 표결 불참

국민의힘이 당론대로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모두 부결시키기로 했다. 이날 국민의힘 의원들은 본회의에서 먼저 표결에 부쳐지는 김여사 특검법 표결에 참여했고, 탄핵안 표결에 앞서 차례로 퇴장했다. 대통령 탄핵안의 가결 요건은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다. 현재 총 192석의 범야권이 전원 출석해 찬성표를 행사하더라도 국민의힘에서 8표 이상의 이탈표가 나오지 않으면 부결된다. 다만, 무기명 투표 방식이다 보니 당론에 따르지 않는 이탈표가 나올 수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탄핵안 투표에 불참, 이탈표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기로 했다. 탄핵안과 달리 대통령 재의요구(거부권)로 국회로 되돌아온 김여사 특검법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가결된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野, 尹 대국민 담화 맹비난…“탄핵안 부결되면 즉각 재추진”

7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맹비난을 쏟아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한마디로 매우 실망스럽다"며 “국민의 눈높이에 전혀 맞지 않는, 국민 배신감과 분노를 더 키우는 발언"이라고 비난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의 담화 발표 직후 국회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내란 수괴가 내란 공범과 상의해 국정운영을 하겠다는 것으로, 희대의 헛소리"라고 비판했다. 김민석 수석최고위원도 “윤 대통령의 즉각적인 직무 정지와 구속 수사 외에는 국정 정상화 대안이 없다"고 주장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제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내란 범죄를 저지른 수괴가 정신을 차려보니 '큰일났다'며 여당에 살려달라고 애원한 회견"이라며 “'우리 당'이라고 표현하며 오늘 탄핵 표결을 막아달라고 사정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내란 수괴를 당장 구속하고 당장 체포해야 한다"며 “내란죄 처벌을 받은 전두환·노태우에 준하거나 그 이상의 처벌을 받는 것이 법적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김병주 최고위원 역시 “정신나간 윤 대통령이 내란 수괴임을 자임하는 회견이자 국민의힘을 '내란 동조당'으로 끌어들이는 회견"이라며 “정치적 책임은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고 법적 책임은 탄핵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은 탄핵 표결을 앞둔 여당을 공범으로 유도하는 꼼수를 보였다"며 “내란 수괴를 현직 대통령직 자리에 놔두면 국회가 공범이 된다. (여당은) 탄핵안 의결로 대통령 직무 정지에 협조해달라"고 촉구했고, 한준호 최고위원도 “탄핵만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JTBC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이 계엄선포에 사과한 것을 두고 “사과가 아니라 회피와 변명"이라면서 “오후 5시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안을 통과시켜 단죄하겠다"고 강조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입장문에서 윤 대통령 담화에 대해 “비루하게 구명을 구걸하는 내란 수괴 피의자 윤석열의 절박한 비명"이라고 비판했다. 조 대표는 윤 대통령이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한 것을 거론, “내란과 군사 반란 수괴가 그 공동정범, 방조범과 함께 앞으로도 국정을 운영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민주당 측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이날 부결되어도 탄핵을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박 원내대표는 “(부결된다면) 12월 10일이 정기국회 종료일이니 11일이 되면 즉각 임시국회를 열어 탄핵을 재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 역시 “(탄핵안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국민의힘은 계속 반대하겠지만, 이 과정에서 국민의힘이 얼마나 반국민적·반국가적인지, 내란수괴 범죄행위에 적극 동조한 공범인지를 국민들에게 역사 속에서 증명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한총리·한동훈 80분 긴급회동…“민생·국정 안정되게”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7일 긴급 회동했다. 한 대표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지켜본 뒤 한 총리를 만나기 위해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총리공관을 찾았다. 약 1시간 20분 동안 이어진 대화에서 비상계엄 사태 이후 악화한 민심과 국정 수습책 등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회동에는 방기선 국무조정실장과 박정하 당대표 비서실장이 배석했다. 한 대표는 한 총리에게 “민생 경제와 국정 상황에 대해 총리께서 더 세심하고 안정되게 챙겨주셔서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게 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 한 총리는 “앞으로 당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민생 경제를 잘 챙기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