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관련 불확실성이 중첩되며 '복합위기'에 직면한 산업계가 '노조 리스크' 발생 가능성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동차, 조선 등 그간 노사 갈등이 첨예했던 업종 뿐 아니라 '무노조 경영'을 약속한 사업장에서도 전운이 감도는 등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2일 산업·노동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노사는 올해 임금협상 내용을 두고 치열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 17일에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조의 단체행동이 전개됐다. 규모가 가장 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경기도 화성사업장 부품연구동(DSR) 앞에서 문화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노조 측 추산 약 200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사측이 노사협의회를 통해 일방적으로 임금을 결정했다고 비판하면서 노조와의 대화에 전향적 태도를 보일 것을 촉구했다. 이 회사 노조는 지난달 초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했다.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 중지 결정과 조합원 찬반투표를 끝내면서다. 투표에는 5개 노조에서 2만7458명 중 2만853명이 참여했다. 전체 조합원의 74%에 해당하는 2만330명이 쟁의에 찬성했다. 투표 참여자 중 찬성은 97.5%에 달했다. 삼성전자에서는 1969년 창사 이후 파업이 벌어진 적이 없다. 2022년과 작년에도 임금교섭이 결렬되자 노조가 조정신청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했으나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삼성전자 노사는 올해 1월부터 임금협상 관련 교섭을 이어왔으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임금인상안의 경우 사측은 최종적으로 5.1%를 제시했고, 노조는 6.5%를 요구했다. 무노조와 무파업 원칙으로 출범한 '광주형 일자리'는 고사 위기에 놓였다. 현대자동차 자회사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1노조가 민주노총 금속노조에 가입하기로 결정하면서다. 1노조에는 GGM 전체 근로자 650여명 가운데 140여명 정도가 가입해 있다. 지금까지는 상급단체가 없는 개별 기업노조였다. 1노조는 금속노조 가입 절차를 마치고 이미 금속노조에 가입한 2노조(조합원 10여명)와 통합한 '금속노조 글로벌모터스지회'를 출범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단체교섭 요구안을 만들어 사측에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계 역시 올해 협상이 가시밭길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역대급 실적'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현대자동차·기아의 경우 노조가 전투적인 태도로 협상에 임할 것을 벌써부터 걱정하고 있다. 현대차 노사는 이르면 이달 중 상견례를 가지고 올해 임금교섭을 시작한다. 노조는 정년 연장, 수천만원대 보너스 등을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흑자 전환에 성공한 조선사들도 노조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선 3사는 이달과 다음달 중 노사 상견례를 각각 연다. HD현대 조선 3사 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 등을 골자로 한 공동요구안을 마련한 상태다. 특히 노조가 정년은 연장하면서 임금피크제는 폐지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어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한화오션 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 신입사원 채용 등 내용이 담긴 요구안을 사측과 공유했다. 삼성중공업에서는 지난해 창립 이후 처음으로 현장직 노조가 출범했다. 철강사들은 동국제강이 정년을 62세로 늘리기로 결정한 여파를 걱정하는 분위기다. 동국제강은 지난 2022년과 최근 두 차례 정년을 1년씩 연장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은 아직 정년이 60세라 올해 교섭에서 노조가 이를 쟁점으로 삼을 것으로 예측된다. 포스코 대표교섭노조인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은 지난달 8일 고용노동부 포항지청에 회사 측을 상대로 고발장을 내기도 했다. 이들은 조합 탈퇴 종용, 근로기준시간 위반, 휴게시간 미준수 등 약 200건의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