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산골 한옥마을 옆에 있는 '남산XR스튜디오'는 서울시가 '남산창작센터'를 리모델링해 선보인 곳이다. 시는 지난 2020년 노후화한 건물 새단장을 결정하면서 '탄소중립'을 주제로 설계공모를 진행했다. 이후 약 44억원의 예산을 들여 리모델링을 진행, 에너지 소비를 기존 대비 77% 줄였다. 지난 6월 문을 연 이곳은 확장현실(XR) 관련 최첨단 시설을 갖춰 새로운 문화예술 중심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20일 남산XR스튜디오를 방문했다. 외벽 색깔을 다양하게 넣어 감각적인 분위기를 살렸다. 삼각형 모양 지붕 위로 태양광 패널들이 눈에 띈다. 실내에 들어서면 안락한 느낌이 든다. 다소 흐린 날이었지만 자연채광이 잘 돼 조명을 많이 켜지 않아도 불편하지 않았다. 연면적 1788㎡에 지상2층 규모 건물이다. XR 편집실이나 촬영 현장 등 핵심 시설은 1층에 몰려있다. 2층에는 녹음실과 휴게공간 등이 있다. 시는 건물을 리모델링하면서 고성능 단열·창호를 보강하고 고효율 냉난방시설 및 폐열회수 환기시스템 등을 설치했다. 특히 바닥, 벽, 천장에 '준불연 단열재'를 넣었다. 이는 화재에 강하고 단열성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외벽, 외부창, 지붕, 바닥 모두 법적기준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의 단열성능을 인증받았다. 건물 옥상에는 30KW 용량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했다. 고효율 창호와 시스템 냉난방기도 넣었다. 덕분에 첨단기기를 많이 사용하는 XR 스튜디오임에도 에너지 자립률 33.45%를 확보했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은 5등급을 취득했다. 1층 상황실 한쪽에는 태양광설비 현황과 전력수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었다. 전반적인 건물 관리와 더불어 에너지수급 현황 등을 점검하는 직원이 별도로 있다. 개관 이후 처음 맞이하는 이번 겨울에는 기존 대비 난방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가 목표로 삼은 리모델링 이후 에너지 절감액은 연간 7900만원 수준이다. XR은 '실감 콘텐츠'를 만드는 핵심 기술이다. 최근에는 일반 방송 뿐 아니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도 배경을 바꾼 콘텐츠나 '가상 아이돌' 등을 어렵지 않게 만나볼 수 있다. 남산XR스튜디오에서는 기획, 배경 제작, 촬영, 편집, 유통 등 XR 콘텐츠 관련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다. 시대의 변화에 맞춰 공연 연습실이 XR 스튜디오로 진화하며 '탄소중립' 가치를 높였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시 소유 건물 중 노후화되고 에너지 성능이 열악한 공공건물을 리모델링해 제로에너지건물 인증을 받은 것은 이 곳이 처음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다른 공공건축물을 새단장할 때도 이 같은 친환경 가치가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며 “민간 건물의 녹색건축물 전환에도 영감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