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키움그룹의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었던 다우데이타가 주가부양에는 요지부동이다. 주요 계열사인 키움증권이 '밸류업 1호 공시 상장사 타이틀'을 따내기 위해 '급조 공시'를 한 것과도 정반대의 흐름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다우데이타는 지난 1월2일부터 6월 7일까지 17.07% 하락했다. 지난해 4월13일 기록한 종가 기준 최고가는 5만200원이었지만, 현재 1만15000원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다우데이타는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이 지난해 4월 20일 시간외 매매(블록딜)로 다우데이타 140만주(3.65%)를 주당 4만3245원에 처분한 다음 거래일(-6.34%)부터 급락하기 시작했다. 당시 김 전 회장은 다우데이타 주식을 처분해 605억원을 확보했다. 전날 종가 대비 10.6% 높은 할인율을 적용한 것을 두고 '급매'라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문제는 지난해 4월 24일 라덕연 게이트라 불리는 '소시에테제네랄(SG) 증권발 차액결제거래(CFD) 주가폭락 사태'가 터지면서 불거졌다. 다우데이타는 폭락 사태 첫날 29.97% 하락해 순식간에 4만3000원대에서 3만원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4월25일과 26일에도 각각 30.00%, 19.34% 급락하면서 1만7200원까지 추락했다. 다우데이타 주가는 여전히 되살아나지 못하고 오히려 1만원대를 위협받고 있다. 주가조작에 연류되기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다우키움그룹이 키움증권을 앞세워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과는 대조되는 행보다. 다우키움그룹이 다우데이타 주가 부양에 소극적인 이유는 분명하다. 다우데이타가 다우키움그룹의 경영승계의 핵심 종목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김 전 회장은 그간 장남 김동준 키움인베스트먼트 대표 겸 키움프라이빗에쿼티 대표에게 경영권을 승계하기 위해 2009년부터 '다우데이타'와 '이머니'를 활용해왔다. 2021년 10월 전까지는 다우키움그룹의 지배구조는 '다우데이타→다우기술→키움증권'으로 이어졌다. 현재는 '이머니→다우데이타→다우기술→키움증권→키움인베스트먼트'으로 연결된다. 김 전 회장은 2009년부터 이머니의 지분을 꾸준히 취득해 최대주주가 됐다. 이후 이듬해부터 김 전 회장은 주식을 회사에 대량 무상증여하고 유상증자를 추진하면서 지분을 급격히 줄여 나갔다. 2011년에는 이머니의 최대주주가 김 대표로 변경됐다. 이머니의 최대주주인 김 대표는 2016년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다우데이타 주식 130만주를 최초 취득했다. 같은 해 김 대표가 최대주주인 이머니도 다우데이타 주식을 유상증자로 취득했다. 이후 2021년 10월 김 전 회장이 자녀들에게 다우데이타 주식 200만주(5.22%)를 증여했고, 다우데이타의 최대주주가 김 전 회장에서 이머니로 바뀐 것이다. 자본금이 8억3000만원 밖에 되지 않는 작은 회사를 지배구조의 상단에 끼워넣으면서 승계 구도를 만든 것이다. 현재 이머니는 다우데이타 주식을 31.56% 보유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머니 주식을 33.13% 보유한 최대주주다. 다우키움그룹의 지배구조가 완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다우데이타 주가를 억눌러야하는 이유는 남아있다. 김 대표가 증여세 재원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라, 어떤 식으로든 현금화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김 전 회장은 지난해 다우데이타 주식 매각 대금을 증여세 재원으로 활용하려고 했다. 그러나 같은해 5월 폭락사태에 연루돼 사퇴하면서 매각 금액(605억원)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 1년이 지난 시점에도 환원 계획에 대해 내놓지 않아 시장의 비판을 받고 있는 만큼 철회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김 전 회장은 다우데이타 주가를 끌어올리는 것을 막아왔다. 다우데이타가 2006년 말부터 2007년까지 윈도 비스타 테마주로 묶여 2000원대에서 5000원까지 주가가 급등하자, 김 전 회장은 2007년 1월 9일부터 11일까지 3거래일 동안 다우데이타 주식 133만2000주(4.15%)를 장내에서 팔아치운 적도 있다. 매도 마지막 날인 2007년 1월 11일에는 하한가를 기록했고, 1월 23일에는 2000원대로 돌아갔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김 대표가 김 전 회장의 다우데이타 지분을 증여받고, 지분을 일부 매각해 증여세 재원을 마련하더라도 경영권에는 영향이 없을 정도로 지배구조는 완성된 상태"라면서도 “지배구조 상단의 상장사는 증여세, 상속세 재원 마련에 활용돼야한다는 점은 변함이 없어 밸류업을 통한 이미지 쇄신은 주력계열사인 키움증권을 앞세울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