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기후 재난으로 인한 경제피해액(피해액과 복구액)이 약 15.9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 재난 피해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피해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서구병)과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은 '기후의 역습, 10년간 연도·지역별 기후재난 피해 양상 분석'이라는 정책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기후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와 복구 비용을 합산한 총 피해 금액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1년간 피해액은 약 4.1조 원, 복구액은 약 11.8조 원으로 총 경제피해액은 약 15.9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동안 기후 재난으로 인한 사망 및 실종자는 총 341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특히 비수도권과 비도시 지역이 수도권보다 불균형하게 높은 피해를 입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모 의원과 기후솔루션은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1년간의 기후 재난 피해 및 복구 금액 자료를 바탕으로, 기후 위기가 국내 경제 및 인명에 미친 영향을 연도별, 지역별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해 금액과 복구 금액을 합쳐 '경제피해액'으로 명명해, 한국의 기후 재난 피해 양상을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총 경제피해액은 약 15.9조원으로, 이 중 피해액은 4.1조 원, 복구액은 약 11.8조원에 이르렀다. 복구액이 피해액보다 약 2.9배 많아, 기후 재난의 직접적인 피해보다 복구와 재건 비용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10년 동안의 인명 피해로 341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지난해 발표한 6차 종합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도가 1도 상승할 때마다 폭우, 태풍, 폭염과 같은 기상이변의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연도별로 살펴본 기후 재난의 규모는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화 이후 평균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한국의 기후 재난 규모도 확대되고 있는 경향을 반영한다. 2022년 재난으로 인한 경제피해액은 약 2조 8608억원으로, 2013년의 5417억원에 비해 약 5.3배 증가했다. 특히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경제피해액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가장 큰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 해는 2020년으로 약 5.5조원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집중호우로 인한 44명의 인명 피해와 폭염으로 인한 29명의 인명 피해가 보고됐다. 그 다음으로 피해가 큰 해는 2022년(약 2.8조원)이었으며, 이어 2023년(약 2.3조원), 2019년(약 1.8조원), 2016년(약 7925억원) 순이었다. 특히 2019년은 태풍, 홍수, 폭염 등의 기후 재난으로 인해 경제피해액이 1.8조 원에 이르는 등 급격히 피해 규모가 커진 시점이다. 인명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역대 최고기온을 기록한 2018년 이후로 인명 피해가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2018년 인명 피해는 53명으로 전년 대비 약 7.5배 증가했으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평균 인명 피해 수는 57명으로, 그 이전 5년간의 평균 4명에 비해 약 14배가 늘어났다. 재난별로 살펴본 결과, 지난 10년 동안 가장 큰 피해를 야기한 재난은 호우로, 호우로 인한 경제피해액은 9.9조원으로 전체 피해의 62.38%를 차지했다. 이어 태풍이 4.8조원(30.33%), 산불이 1.1조원(6.95%), 한파가 294억원(0.18%)으로 뒤를 이었으며, 하천범람과 폭염이 각각 203억원(0.12%)과 43억 원(0.03%)으로 집계됐다. 폭염의 경우 경제적 피해액은 가장 적었으나, 인명 피해는 전체 341명 중 193명으로 56.6%를 차지하며 가장 큰 인명 피해를 초래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3.8조원의 경제피해액으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를 강원, 전남, 충남, 충북이 이었다. 인구 대비 경제피해액 분석 결과, 비수도권 지역이 수도권보다 훨씬 큰 피해를 입고 있으며, 특히 강원, 경북, 전남, 충북, 전북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보고서는 정부와 지자체가 기후 재난에 대한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에 대한 강력한 감축 의무 부과를 통해 피해 예방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