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자국우선주의를 내세우는 미국 트럼프 체제가 들어서면서 우리 정부는 미국산 석유, 가스 수입 확대로 강경노선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국내 기업이 참여한 캐나다의 첫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곧 준공되면서 내년에는 북미산 석유, 가스 수입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중동산 에너지 수입 비중이 낮아져 에너지안보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1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내년 1분기 내로 캐나다의 사상 첫 LNG 프로젝트인 'LNG 캐나다'가 준공될 예정이다. 현재 공정률은 96% 이상이다. 이 프로젝트는 태평양을 접하고 있는 캐나다 서부 BC주의 키티맷시에 위치해 있어 생산물량 대부분은 동아시아로 수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프로젝트에는 한국가스공사가 지분 5% 참여하고 있다. 지분 구성은 영국 쉘 40%,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25%, 중국 CNPC 15%, 일본 미쓰비시 15%이다. 당초 가스공사 지분은 15%였으나, 재무건전을 위해 2018년 10%를 페트로나스에 매각했다. 가스공사는 이 프로젝트에 2011년 참여해 15년간 투자 끝에 드디어 결실을 맺게 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캐나다는 환경영향평가 및 원주민과의 협의 부분이 쉽지 않아 이로 인해 프로젝트 공사기간이 상당히 길어졌다"며 “가스공사는 중간에 지분율이 낮아지긴 했으나,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결실을 얻게 돼 앞으로 수익은 물론 국가 에너지안보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가스공사는 지분만큼 생산물판매권한(오프테이크)을 갖는다. 이 프로젝트의 연간 LNG 생산량은 140만톤이므로 가스공사 지분만큼의 물량은 7만톤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연간 LNG 수입량 약 3800만톤의 0.2%가량이다. 지분물량은 많진 않지만 에너지안보 위기 시에는 매우 소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쉘의 확보물량도 대부분 동아시아로 판매되고, 말레이시아는 천연가스 생산국이기 수급 위기 시 물량 추가 확보도 가능하다. 내년부터 미국산 석유, 가스 수입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1월 미국 대통령에 정식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수입품에 고관세를 매기는 자국우선주의 경제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국내 에너지업계와 경제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미국산 석유, 가스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는 것으로 트럼프의 환심을 사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의 무역적자 규모는 총 1조650억달러이다. 무역적자 순위는 중국, 멕시코, 베트남, 독일, 일본, 캐나다, 아일랜드에 이어 한국이다. 반대로 2023년 기준 한국의 최대 무역흑자 국가는 미국으로, 규모는 444억달러이다. 올해 1~10월까지 대미 무역흑자액은 443억달러로 사상 최대 무역흑자가 예상된다. 한국석유공사는 최근 리포트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올해 9월까지 역대 최대인 약 399억달러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무역 역조에 대해 트럼프 정부의 압력이 커질 수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정책적으로 미국산 원유와 가스 수입을 유도하는 정책이 시행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으로서는 북미산 석유, 가스 수입이 늘면 중동산 의존도를 낮추고, 물량의 재판매도 가능해 이점이 많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올해 1~9월 원유 수입량 가운데 중동산 비중은 70.9%이다. 중동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데도 70% 이하 비중은 깨지지 않고 있다. 그만큼 대안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북미산 원유를 전략적으로 도입하면 중동산 비중은 낮아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중동산 LNG 수입비중은 높지 않지만, 중동산 물량은 3자 재판매를 금지하는 등 조건이 가장 까다롭다. 반면 북미산은 이러한 조건이 거의 없다. 미국 에너지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은 전략적으로 북미산 원유, 가스 수입을 늘리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이참에 단순히 물량만 확보할 게 아니라 상류사업에도 참여해 밸류체인 확보를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고, 에너지안보도 높이는 스마트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