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금)

전체기사

[특징주] 삼성전자, 저가매수세에 2%대 상승…5만7000원선 회복

삼성전자가 장 초반 2%대 오름세를 보이면서 5만7000원대로 올라섰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0분 기준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1200원(2.15%) 오른 5만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개장하자마자 52주 신저가인 5만5700원까지 떨어졌으나 금세 5만7000원대를 회복했다. 삼성전자가 오름세로 전환한 데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가 장중 시가총액 1위를 달성하는 등 기술주가 상승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도체지수도 인공지능(AI) 관련주 강세에 힘입어 1.07% 상승한 5212.83포인트를 기록했다. 같은 날 엔비디아 주가는 장중 2%대 상승하며 시총이 3조5300억달러로 오르면서 애플을 제치고 시총 순위 1위에 올랐다. 다시 2위로 밀려나긴 했지만 엔비디아가 시총 1위에 오른 것은 지난 6월 이후 4개월 만이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특징주]핑거, STO 법제화 재추진 소식에 급등 출발

지난 5월 법안 폐기로 멈춰선 토큰증권(STO) 법제화 작업이 22대 국회에서 다시 추진된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핑거가 급등 출발한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10분 현재 핑거는 전일 대비 1500원(14.15%)오른 12090원에 거래 중이다. 25일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은 '토큰증권 제도화 법안(자본시장법, 전자증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토큰증권은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발행한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의미한다. 해당 법안은 21대 국회 시절이던 작년 7월에도 발의된 바 있다. 그러나 국회 임기 종료와 함께 소득 없이 자동 폐기됐다. 이에 김재섭 의원이 지난달 해당 개정안을 대표 발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각투자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비정형적인 증권을 소액발행하는 경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증권을 발행·유통·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특징주]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정리매매 위한 거래재개…‘-94.12%’

코스닥 상장사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가 장 초반 94%가량 폭락 중이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8분경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94.12% 하락한 350원에 거래 중이다.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19년 사업보고서에 대한 감사의견 비적정 의견과 전액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사유가 발생, 거래가 3년 넘게 정지된 상황이었다. 이후에도 기업의 재무를 개선하는데 실패하자 한국거래소 측이 상장폐지를 최종 확정했다. 정리매매는 오는 11월 5일까지 진행되며 6일 상장폐지된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제주항공, 3분기 실적 개선세 유지 전망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은 제주항공의 3분기 실적이 개선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1만4000원으로 제시했다. 28일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024년 3분기 제주항공의 매출액은 4740억원, 영업이익은 390억원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9% 감소한 수치로, 시장 컨센서스 대비 7% 하회하지만 업계에서 가장 양호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이번 분기 저비용항공(LCC) 업계는 인건비 상승과 일본 여행 수요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제주항공은 이러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선방하고 있다"며 “근거리 항공 수요와 국제선 운임 하락폭이 제한된 덕분에 실적을 방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특히 일본 여행 수요 회복이 기대되는 4분기부터는 중국 노선 회복과 함께 운임 상승 효과로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올해 제주항공의 비용 증가에 대해서는 “인건비와 공항 관련 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 22%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이는 작년까지 비용 상승이 지연된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해외여행 수요가 동남아와 중국 등으로 다변화됨에 따라 일본 의존도가 감소할 것이며, 이는 제주항공의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최 연구원은 “제주항공은 겨울 성수기를 맞아 주가 바닥을 다지는 시기로 들어섰으며, 장기적으로 여행 수요와 비용 환경이 우호적으로 변모할 전망"이라며 “올해도 연말에는 매수 기회를 살펴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한화엔진, 수주잔고 증가에 실적 기대감도 ‘업’ [신영증권]

신영증권이 28일 보고서를 통해 한화엔진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목표가 1만9000원을 유지했다. 한화엔진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9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8% 증가했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8월 적은 근무시간으로 생산현장에 투입된 제조원가와 실제 발생비용의 차이가 발생했다"며 “이 차이를 비용으로 처리하며 판관비가 증가했지만 10~11월에 회복될 예정"이라고 봤다. 한화엔진의 3분기 말 수주잔고는 3조2428억원을 기록, 12년만에 최고치에 도달했다. 지난 2020년 8000억원대까지 하락했던 것 대비 4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상반기 대비 중국매출 비중이 두배 가까이 증가하기도 했다. 중국 조선업체 기자재 밸류체인을 갖ㅊ지 않고 증설을 진행하고 있어 향후 박용엔진기업의 더 큰 고객이 될 전망이다. 엄 연구원은 “수주잔고가 3조원을 상회하며 적자 프로젝트 대부분 해소해 향후 실적 개선세가 더욱 기대된다"고 밝혔다. 성우창 기자 suc@ekn.kr

기아, 4분기 물량 증가 따른 실적 개선 전망 [대신증권]

대신증권은 28일 기아에 대해 4분기 물량 증가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목표주가는 16만원을 유지했다.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26조5000억원을, 영업이익은 0.6% 증가한 2조9000억원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약 3조원 하회했다"며 “람다 엔진 품질비용 등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실질 영업이익은 3조5000억원으로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3분기가 계절적 비수기임을 감안하고 광명·화성 공장 라인전환에 대한 생산 공백을 감안하면 글로벌 업종 내 차별화된 이익체력을 증명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4분기도 실적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광명·화성 공장 가동 정상화로 쏘렌토·카니발HEV·K8 판매가 본격화됨에 따라 지역·제품 믹스효과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이에 기아는 4분기 영업이익 3조4000억원의 호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비이자이익이 이끈 실적...우리금융지주, ‘3조 클럽’ 눈앞

우리금융지주가 3분기 누적 기준 2조6500억원의 순이익을 올리며 올해 연간 기준 순이익 3조원대 달성을 눈앞에 뒀다.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비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이 큰 폭으로 성장한 결과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8월 우리투자증권을 출범한 데 이어 현재 동양생명, ABL생명 인수도 추진 중인 만큼 향후 실적 개선, 주주환원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는 올해 1~3분기 누적 기준 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2조6591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수치다. 특히 우리금융은 3분기 만에 작년 연간 실적(2조5063억원)을 넘어섰다. 3분기 순이익은 9036억원으로 1년 전과 유사했다. 이 추세라면 올해 연간 순이익 3조원대 안착도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금융지주가 순이익 3조원대에 진입하는 것은 2022년(3조1417억원) 이후 2년 만이다. 3분기 실적 세부 내용을 보면 비이자이익 성장이 눈에 띈다. 우선 3분기 누적 기준 순영업수익은 7조9927억원으로 1년 전보다 6.6% 증가했다. 이자이익이 6조6146억원으로 전년(6조5999억원)과 유사한 실적을 거둔 가운데 3분기 누적 기준 비이자이익(1조3781억원)이 1년 전보다 53.1% 성장한 결과다. 은행, 비은행부문 수수료이익이 고르게 성장한데다 유가증권 이익도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비이자이익 성장세를 이끌었다. 수수료이익은 1조58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2% 늘었다. 3분기 누적 유가증권과 대출채권평가 및 매매 이익은 1년 전보다 각각 197.1%, 60.9% 늘었다. 대출자산도 늘었다. 3분기 우리은행의 총대출은 340조원으로 1년 전보다 9.4% 증가했다. 기업대출은 191조원, 가계대출은 145조원으로 각각 11.9%, 6.5% 증가했다. 이 중 기업대출의 경우 수익성, 건전성을 고려한 우량 기업대출 중심의 성장을 거둔 점이 고무적이다. 3분기 우리은행의 우량 자산비율은 85.9%에 달했다. 계열사별로 보면 우리은행은 3분기 누적 순이익이 1년 전보다 10% 증가한 2조5244억원이었다. 우리카드(1400억원), 우리금융캐피탈(1160억원) 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7%, 6.4% 늘어 우리금융그룹 실적에 보탬이 됐다. 우리금융지주가 올해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충을 위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점은 향후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는 요인이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8월 우리투자증권을 출범한 데 이어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동양생명, ABL생명 주식매매계약(SPA)도 체결했다. 두 보험사의 인수가격은 총 1조5493억원이다. 다만 두 보험사를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 승인이라는 큰 산을 넘어야 한다. 우리금융은 금융당국 승인에 앞서 자본비율을 내년도 12.5%까지 끌어올리는데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3분기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2%로 전분기(12.04%)와 같았다. 3분기 자산을 확대한 것이 위험가중자산(RWA) 증가로 이어지면서 CET1 비율 개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우리금융은 내년도 경영계획을 수립할 때도 자본비율 개선을 1순위에 두고 있다. 우리금융은 향후 동양생명, ABL생명의 자본 확충 역시 그룹사의 자본비율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로 생보사들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룹사 관점에서는 CET1 비율을 관리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취지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은 각각 3000억원, 2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하면서 킥스비율을 180%, 165%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금융당국의 권고치는 150%다. 이와 관련해 이성욱 우리금융지주 재무부문 부사장(CFO)은 “(우리금융은 두 생보사의) 킥스비율을 최우선으로 관리하면서도 보험계약마진(CSM), 수익성 제고 등도 동시에 추진할 방침"이라며 “그룹사의 자본비율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보험사 자산부채 관리, 자본 확충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

클래식 대중화…한화생명 대표 메세나 활동 ‘11시 콘서트’ 내달 열려

올해로 20년을 넘긴 '한화생명과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이하 '11시 콘서트')가 11월 무대를 연다. 한화생명은 오는 28일부터 내달 1일까지 '11시 콘서트' 초대권 접수를 시작한다. 초대권 이벤트는 한화생명 고객 대상으로 진행되며, 담당 FP를 통해 신청하면 추첨을 통해 증정하는 방식이다. '11시 콘서트'는 클래식 대중화를 위한 한화생명의 대표 메세나 활동으로, 약 40만명 이상의 관객이 이를 즐겼다. 2004년 한국 최초 마티네(낮) 공연으로 시작했다. 무대는 국내 최정상 오케스트라와 지휘자,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솔리스트들의 화려한 협연으로 이뤄진다. 여기에 전문가의 해설을 더해 클래식 음악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왔다. 다음달 14일 열리는 11월 공연에서는 오랜 시간 한화생명과 호흡을 맞춰온 배우 강석우가 해설을 맡는다. 지휘자 최정우와 비올라 이해수, 클라리넷 조성호가 아름다운 선율을 선사한다. 이날 공연은 드보르자크가 50세에 작곡한 '카니발 서곡 작품번호 92번'으로 문을 연다. 이어서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포푸리', '클라리넷 협주곡 2번',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스페인 기상곡 작품번호 34번' 등을 연주한다. 아울러 공연과 함께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해 마티네 공연을 풍성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깊어가는 가을에 국내 최고의 연주자들이 모여 선보이는 이번 공연은 한화생명 고객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선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클래식 음악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비수도권 PF 대출 잔액 48조원 달해…지역별 연체율도 최고 22%

비수도권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48조원에 달하고, 지역별 연체율도 최고 22%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 끝에 부실 사업장에 대해 경·공매를 통한 구조조정에 본격 착수하면서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PF 사업 부실은 연착륙 중인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비수도권 부실 정리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숨겨진 부실'로 알려진 2금융권의 비수도권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잔액도 10조원, 연체율은 1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비수도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8조3000억원으로 수도권 82조1000억원을 포함한 전체 잔액 130조4000억원의 37%를 차지한다. 비수도권 PF 대출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이나 경기(2.77%) 대비 매우 높았다. 비수도권 중 부동산PF 대출잔액이 가장 큰 지역은 △부산(9조8000억원) △대구(8조9000억원) △경남(4조4000억원) △광주(3조9000억원) △충남(3조5000억원) △울산(2조6000억원) △충북(2조3000억원) △경북(2조1000억원) 순이었다. 세종(3000억원), 전북(1조원), 제주(1조3000억원), 전남(1조7000억원), 강원(1조7000억원)은 비교적 잔액이 작았다. 지역별 PF대출 연체율은 세종이 22.03%로 가장 높았고 △제주 8.92% △울산 8.07% △전남 7.4% △경남 5.49% △대구 4.65%도 높은 축에 속했다. 세종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서울의 7.5배에 달했다. 비수도권의 토담대 잔액은 10조1000억원으로 수도권(14조원)을 포함한 전체 토담대 잔액의 42%를 차지했다. 특히 부산이 2조4000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 충남 1조300억원과 광주 1조원, 경남 7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토담대는 2금융권에서만 취급돼왔다. 사업성으로 대출을 내어주는 브릿지론과 유사성을 갖지만 규제수준이 낮고 정확한 수치도 알려지지 않아 '숨겨진 부실'로 꼽혀졌다. 비수도권 토담대 연체율은 15.33%로 수도권 13.89%보다 1.44%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연체율은 전남이 28.06%로 가장 높았고, 제주 27.36%, 경남 26.38%, 대전 23.79%, 강원 19.81%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당국은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연내 부동산PF 부실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PF 연쇄 부실의 근본 원인으로 직용하고 있는 시행사의 저자본-고차입 구조 개선이다. 시행사에 대해 총사업비 대비 자본투입 비중에 따라 대출 금융기관의 PF 대출 위험가중치를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기자본비율이 특정 기준보다 낮을 시 위험가중치를 높게 보는 식이다. 저축은행들은 2011년 부동산PF 부실로 뱅크런을 겪은 뒤 PF사업장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해야만 PF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돼 있다. 이 밖에 금융당국은 PF대출 시 사업성평가 강화와 PF 시장참여자에 대한 건전성관리, PF관련 정보관리 체계화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경현 기자 pearl@ekn.kr

“美 대선 전에 서두르자”…회사채 발행 10월 ‘대폭발’

기준금리 인하와 미국 대선 전 불확실성을 피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이 맞물리며 10월 회사채 발행 시장이 연초 수준의 활황세를 보이고 있다. 27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10월 24일까지 국내 기업의 회사채 발행 규모는 11조 687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1월(14조 7152억원)과 2월(14조 9020억원)에 이어 월간 기준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이 같은 발행 규모는 예년과 비교해 이례적인 수준이다. 지난해와 2022년 10월 회사채 발행액이 각각 4조6808억원, 3조6871억원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이달 말까지 예정된 발행까지 고려하면 12조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회사채 시장 활황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지난 11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3.25%로 낮추면서 자금 조달 환경이 크게 개선됐다. 신용등급 'AA-'급 3년 만기 무보증사채 금리가 기준금리보다 낮은 역전 현상이 해소되면서 투자 심리도 되살아났다. 또한 시장 전문가들은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분석한다. 지난달에도 기업들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자금 조달을 서둘렀다. 주목할 만한 점은 비우량 회사채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롯데하이마트(A+)는 당초 계획보다 500억 원 늘어난 13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으며, 한화에너지(A+) 역시 증액 발행에 성공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