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특징주] 씨케이솔루션, 코스피 상장 첫날 30%대 상승

이차전지 드라이룸 전문기업 씨케이솔루션이 코스피 상장 첫날 30%대 상승세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32분 기준 씨케이솔루션은 공모가(1만5000원) 대비 5650원(37.67%) 오른 2만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 초반에는 2만80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씨케이솔루션은 이차전지·첨단 산업 제조공정에 필수적인 드라이룸 시스템 선도기업이다.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 배터리 제조 공정용 드라이룸 시스템 기술 개발을 완료했으며 이차전지 제조사와 함께 전고체 배터리 양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SK온 등 이차전지 관련 글로벌 기업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앞서 씨케이솔루션은 지난 4일과 5일 양일간 진행한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서 1320.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약 증거금은 약 3조7144억원을 모았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는 1020대 1의 경쟁률을 기록, 공모가를 밴드 상단인 1만5000원으로 확정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

[특징주] 네오팜 “수출 확대로 성장성 가시화”…주가 ↑

네오팜이 17일 장초반 강세다.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는 증권사 분석이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14분 현재 네오팜은 전 거래일 대비 5.26% 뛴 1만241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나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네오팜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25억원, 영업이익은 7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5%, 10%씩 늘어난 수준이다. 연결 기준 올해 연간 총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각각 13%, 20%씩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동사는 올해 주력 브랜드의 성장, 채널 접점 확대, 수출 비중 확대 등을 통해 성장 동력 확보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이번 분기부터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현대로템, 고조되는 유럽의 전운 속 높아지는 주가

증권사들이 현대로템에 대해 두 달째 목표주가를 연일 높이고 있다. 이는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과 우호적인 외부 환경이 조성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17일 와이즈리포트에 따르면 이달 들어 현대로템 보고서를 발표한 증권사 4곳이 모두 목표가를 상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달과 유사한 흐름으로, 2월 신규로 목표가를 제시한 증권사를 제외하고 모든 증권사가 목표가를 높였다. 2월 6일 실적 발표 이후 외부 환경 역시 우호적으로 개선되며 주가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목표주가 상향의 주된 배경은 '실적'이다. 현대로템의 2024년 4분기 매출액은 1조44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6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7% 증가했다. 매출이 크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이익의 질적인 측면 역시 대폭 개선된 수치다. 1분기 실적 전망도 밝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로템의 1분기 연결 기준 예상 매출과 영업이익은 1조2574억원과 1811억원으로,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8.15%, 305.15% 증가한 수치다. 미래에셋증권은 현대로템의 2025년 1분기 매출액이 1조3415억원, 영업이익이 2128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4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기존 목표주가 9만6000원에서 45.8% 증가한 수치이다. 14일 정동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025년 1분기 폴란드향 K2GF 인도량은 26대로, 전년 동기 대비 79.4% 증가할 것"이라며 “영업이익은 376.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K2GF의 납품이 순항하고 있으며, 반복생산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연구원은 “유럽의 재무장 사이클이 시작되면서 NATO 국가들의 국방예산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한국 방산업체들이 유럽 내 수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의 전쟁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수주 금액이 예상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상현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폴란드향 K2 전차 2차 이행계약이 몇 차례 순연되었지만 마무리 단계로 알려지고 있다"며 “특히 K2 전차 PL버전(폴란드 측이 요구한 사양 반영)과 장애물 개척 전차와 같은 계열 전차 등이 반영되어 수주금액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연구원은 “공개가 어려운 일부 중동 국가, 우리나라 4차 물량 등을 감안할 때 충분히 수치 이상으로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이외에도 페루 수주, 루마니아 협상, 중동 및 인도 마케팅 등을 통해 수주 플로우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추가 계약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과 함께 현지 생산 거점이 마련된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기범 기자 partner@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