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건설업 종사자들의 사회적 지위가 주요 5개국 중 최하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30 세대가 건설업을 외면해 숙련 인력 부족, 고령화 등으로 이어져 결국 K-건설의 경쟁력을 갉아 먹을 것이므로 환경·이미지 개선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건설동향 브리핑 995호에 따르면, 청년층의 건설업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건설산업의 직업 인식 제고가 시급하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최근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중국 등 5개국을 상대로 대상으로 국가별 직업 위세(직업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를 조사했다. 이 결과 우리나라의 건설 관련 직업인 기계공학 엔지니어, 건설일용근로자의 사회적 지위가 다른 나라보다 현저히 낮았다. 구체적으로 기계공학 엔지니어의 경우 우리나라에선 9위에 그쳤지만 전체적으로는 7위였다. 나라 별로는 미국은 3위, 일본은 7위, 독일은 4위, 중국은 8위 등이었다. 건설일용직근로자도 우리나라와 중국만 최하위(15위)였을 뿐 미국·일본·독일은 13위로 더 높았다. 자연스레 청년층의 건설 관련 직업 기피 현상이 심각하다. 실제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이 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건설 분야 진로 희망 여부를 조사한 결과 대학생의 19%, 고등학생의 6%만이 '건설 분야로 취업할 생각이다'라고 답했다. 여기에 경기 불황까지 겹치면서 건설업 전체 종사자수가 급감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1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설업 종사자는 전월 대비 11만4000명(-7.8%) 줄어들면서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신규 취업자도 감소하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 취업자(206만5000명)는 전년 대비 2.3% 줄어 2년 연속 감소했으며, 지난 1월 취업자 또한 전년 동기 대비 16만9000명 줄어든 192만1000명으로 집계돼 취업 상황이 계속 나빠지고 있다. 반면 현장 인력 노쇠화는 가속화되고 있다. 건설근로자공제회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건설기능인력 가운데 60대 이상 비율은 26.6%로 2001년 말(6.6%) 대비 20%포인트(p) 증가했다. 50대 이상 비중은 26.3%에서 60.3%로 급증했으며, 40대 이상의 경우 82.6%로 전체 산업 평균(67.4%)과 비교해 15.2%p나 높았다. 건설업 고령화가 심각한 가운데 신규 취업자인 2030 비중은 각각 3.6%p, 15.3%p 내려갔다. 이같은 빈자리를 외국인 비숙련 노동자가 채우면서 대형 건설 사고가 이어진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건산연은 이에 대해 “스마트한 건설현장 구축, 근로 시간 개선,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일하기 좋은 환경' 구현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 방안을 구축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또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해 건설산업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인력을 양성하고 3D 이미지를 탈피해야한다"며 “현재 우리나라는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에서는 스마트 건설기술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고 있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외부적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와 향후 산업에 진입할 잠재 인력(청년층, 여성인력, 고령 인력 등)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맞춤형 인식 개선 활동이 필요하다"며 생산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잠재 인력 유입을 위해 직업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하고 민관이 공동으로 방안을 모색해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지원 활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은정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업은 지금까지와 다르게 산업의 근원적인 이미지 개선을 위해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을 통한 산업의 체질 개선을 통해 '비전이 있는 산업', '일하기 좋은 산업'으로의 인식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다니엘 기자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