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이 결국 2조5000억원 유상증자 계획을 철회했다. 금융당국이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하는 등 전체적 일정에 제동을 걸면서 경영권 방어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진 결과 선뜻 철회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이 경영권 방어의 묘수로 추진했던 유상증자라는 플랜A가 폐기되면서 경영권 분쟁이 다시 한 번 크게 요동치고 있다. 경영권 분쟁 상대방인 MBK·영풍이 최근 장내 매집을 통해 더욱 지분 격차를 벌리고 있는 상황에서 최 회장 측이 우군들을 결집시킬 플랜B를 찾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려아연은 13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열린 임시 이사회에서 최근까지 추진해 온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고려아연 측은 “일반공모 유상증자 공시 이후 시장 상황 변화에 대한 기관투자자, 소액주주 등 주주들과 시장의 우려가 있었다"며 “주주 보호와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최선의 방안이라고 판단해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관련 법규와 정관 등이 정한 절차에 따라 철회하기로 결의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관련 전문가들은 전체적 일정이 늦어지면서 경영권 방어에 도움이 되기 어렵다는 판단에 유상증자를 철회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고려아연은 당초 유상증자를 발표하면서 다음달 3~4일을 청약 예정일로, 18일을 신주의 상장 예정일로 설정했다. 연내에 빠르게 신주 상장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임시정기 주주총회에서의 표 대결을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MBK·영풍 측은 임시 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법원에 신청한 상황이다. 큰 변수가 없다면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임시 주주총회가 열려 표 대결이 진행될 수 있다. 만약 임시 주주총회가 열리지 않는다 하더라도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의 표 대결을 피할 수 없다. 정기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명부는 연말 확정된다. 연말을 넘기게 된다면 고려아연이 유상증자를 통해 획득한 지분율 확대 효과를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활용하지 못한다. 이 경우 MBK·영풍이 새로운 이사를 대거 선임해 경영권을 확보하게 될 확률이 높다. 최 회장 입장에서는 어렵게 유상증자를 마무리했으나 아무런 경영권 방어 효과를 갖지 못하는 셈이다. 이를 감안하면 고려아연은 최대한 유상증자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금감원이 연내 상장 일정에 맞춰 줄지 확실치 않다. 고려아연이 최대한 빨리 정정신고서를 작성해 제출하더라도 금감원이 이를 재심사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최근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편 사례에서 발생했던 재정정 가능성도 적지 않다. 시장의 눈총과 금감원의 압박을 감수하고 증권신고서를 다시 재출하더라도 일정이 맞춰질지 확실치 않다. 이런 고민을 지속한 결과 고려아연이 결국 유상증자를 철회해 플랜A를 폐기한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MBK·영풍 측에 맞서 경영권을 지킬 플랜B를 찾는 것이다. 최근 고려아연 이사회는 주말 내내 모여 이 같은 플랜B에 대해서 토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시장에서 플랜B로 우선 우군을 결집시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 이번 경영권 분쟁 이전에 지분을 취득해 최 회장의 우호세력으로 분류됐던 한국투자증권과 한국타이어 등이 고려아연 지분을 매각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최 회장과 그 우호세력과 MBK·영풍 측과의 지분 격차가 좀 더 벌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종전까지 최 회장의 우호세력으로 분류됐던 현대차·LG 등은 다소 중립적 모습을 보이고 있어 표 대결 이전까지 이들의 확실한 지지를 얻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MBK·영풍 측과의 지분 격차를 역전할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하다. 시장에서는 자사주 활용, 지분을 매집할 기관투자가 모색 등이 꼽힌다. 우선 성과보상 차원에서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장외처분하는 것이 가장 유력한 자사주 활용 방안으로 거론된다. 고려아연은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사주 9.85% 이외에도 2.41%의 자사주를 확보하고 있다. 가장 확실한 방안은 베인캐피탈 같이 지분을 대신 매집해줄 기관투자자를 추가로 확보하는 것이다. 다만 현재 고려아연 주가가 여전히 100만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경영권 분쟁 전보다 2배 이상 비싸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관투자자를 확보하기가 간단치는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IB(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영풍이 MBK에 경영권을 양보한 것처럼 최윤범 회장도 상당한 대가를 약속해야 기관투자자를 포섭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이탈 조짐을 보이는 기존 우군을 결집시키면서 역전에 성공할 수 있는 플랜B를 찾아야 할 것"고 말했다. 윤동 기자 dong0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