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한독에 대한 신용등급 전망이 내려갔다. 매출 감소로 이익창출력은 떨어지는데 차입부담은 늘고, 미래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연구개발(R&D) 성과도 없다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는 16일 한독의 신용등급을 BBB+를 유지하되, 등급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단기적으로 BBB+를 유지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이 회사의 신용도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의미다. 만약 추가적으로 신용등급 조정이 발생할 경우 자금 조달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수익성 저하 현상은 더 짙어질 수 있다. 한신평의 한독에 대한 주요 평가요소는 △의약품 판매 부진 △저하된 이익창출력 △지속적인 투자에 따른 차입부담 증가 △R&D 성과 부재 등 총 4개다. 외형 둔화와 수익성 저하, 투자에 따른 차입부담 확대기조 등을 감안해 등급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려잡았다는 설명이다. 한독의 연결기준 올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861억원으로 전년(3962) 대비 2.5%(101)억원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4억원으로 전년(148억원)보다 77%(114억원) 급감했다. 순이익은 -192억원으로 전년 -136억원보다 적자 폭이 더 확대됐다. 기업의 수익성 악화 경고 신호로 해석되는 에비타(EBITDA·상각전 영업이익)도 273억원으로 지난해(364억원)보다 하락했다. 김수민 한신평 선임연구원은 “작년에는 대형품목인 알렉시온 도입상품의 계약 종료로 매출이 감소한 가운데, 독감백신시장 경쟁심화 등으로 독감백신 판매가 부진해 반품비용이 38억원 발생했다"며 “올해는 대형품목의 판매공백이 이어지는 가운데, 시장유통물량 미소진, 의정갈등 등으로 일반의약품 및 진단시약 판매가 부진해 3분기 누적영업이익률이 0.9%까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투자 부담이 증가하면서 차입 규모가 늘어나는 것도 수익성의 발목을 잡았다. 한독은 그간 생산공장 및 연구소 건설에 따른 자본적 지출(CAPEX) 투자를 진행하면서 차입부담이 증가했다. 실제 지난 9월까지 나스닥 상장사인 Rezolute(586억원), 한독테바(대여금포함 249억원), 엔비포스텍(160억원) 등의 관계기업과 인터베스트오픈이노베이션(135억원) 등의 지분투자로 약 2000억원의 순투자자금이 소요됐다. 또한, 케토톱 생산공장(305억원), 마곡연구소 건설(토지포함 총 722억원) 등의 CAPEX 자금소요도 이어졌다. 이에 대해 김 선임연구원은 “마곡연구소 완공으로 CAPEX 부담은 다소 경감될 것으로 보이나, 판매부진으로 영업현금창출력이 위축되고, 금융비용이 상승하는 상황에서 바이오벤처 투자기조가 이어지고 있어(2024년 3분기 누적기준 110억원), 차입부담을 완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사노피 계열분리(2012년) 이후 취약한 자체 R&D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R&D 중심 회사에 투자 및 공동연구개발을 진행해 재무부담이 크게 상승했으나, 제넥신과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해온 성장호르몬제가 2019년 임상 2상 종료 후 추가 임상이 진행되지 않는 등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