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0.5%포인트(p) 반등했으나, 여전히 취임 후 최저인 24%대에서 2주째 횡보했다. 부정 평가도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여전히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김건희 여사의 국정 개입 논란, 당정 갈등 격화 등으로 영남·고령층 등 고정지지층 이탈이 쉽게 복귀되지 않는 모양새다. 정당 지지도에선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에 여전히 오차범위 밖인 10%p 안팎에서 앞서 있는 상황이 유지됐다.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21~25일 조사해 28일 발표한 10월 넷째 주 여론조사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잘 한다"는 긍정 평가는 24.6%(매우 잘함 11.5%, 잘하는 편 13.1%)였다. 일주일 전(24.1%)보다 0.5%p 올랐지만 소폭인데다 오차범위 안이어서 큰 의미가 없는 상황이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9월 셋째주 30.3%를 기록한 후 9월 넷째주 25.8%로 급락해 20%대로 내려와 5주째 20%대에 머물고 있다. 특히 10월 셋째주 24.1%에 이어 이번주도 24.6%대를 기록함으로써 2주 연속 취임 후 최저치인 24%대를 유지했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71.4%(매우 잘못함 62.1%, 잘못하는 편 9.3%)였다. 전주 72.3%보다 0.9%p 하락하긴 했지만, 여전히 임기 내 최고 수준이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차이도 46.8%p로 격차가 매우 컸다. “잘 모름"은 3.9%다. 윤 대통령이 한동훈 국민의힘 당 대표와 한 달 만에 독대했지만, 관계 개선보다는 불편한 관계를 확인하는데 그치면서 지지율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김건희 여사 관련 논란과 의료 대란에 대한 정부의 법리적·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하는 메시지가 지지 심리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역 별로는 긍정평가는 서울(4.9%p↑), 부산·울산·경남(3.9%p↑), 대구·경북(1.7%p↑) 등에서 상승했고 대전·세종·충청(3.6%p↓), 인천·경기(2.3%p↓) 지역에서 하락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6.0%p↑), 70대 이상(2.6%p↑), 40대(1.2%p↑) 등에서 상승했고, 60대(3.1%p↓), 50대(1.5%p↓) 등에서 낮아졌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소폭 반등했지만 불안 요인이 지속됨에 따라 당분간은 조정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잇따른 민생 적신호에 이어 '북·러 군사 밀착' 등 대외 변수에 당내 갈등, 야권 견제구 등으로 쇠락한 지지 기반 위에서 반전의 모멘텀을 과연 어느 정도 확보할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도 조사도 전주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국민의힘이 소폭 상승, 민주당이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민주당이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민주당이 43.2%(1.0%p↓), 국민의힘이 32.6%(1.3%p↑)로 집계됐다. 양당 간 격차는 10.6%p로 전주 12.9%p보다 2.3%p 줄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역별로 보면 서울(5.0%p↑), 대전·세종·충청(3.4%p↑), 대구·경북(2.3%p↑)에서 상승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8.7%p↑), 50대(2.7%p↑), 70대 이상(2.1%p↑) 등에서 올랐다. 민주당 지지율은 지역별로 보면 서울(8.7%p↓), 광주·전라(6.2%p↓), 대구·경북(2.9%p↓) 등에서 하락한 반면 부산·울산·경남(4.9%p↑), 인천·경기(2.1%p↑) 등에서 상승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6.1%p↓), 20대(2.1%p↓) 등에서 내렸다. 조국혁신당은 6.8%(0.6%p↓), 개혁신당은 3.7%(0.9%p↓), 진보당은 1.7%(0.4%p↑)를 기록했다. 기타 정당은 2.2%(0.4%p↑), 무당층은 9.8%(0.4%p↑)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대상 전화 임의걸기(RDD·무선 97%, 유선 3%)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윤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와 정당 지지율 조사는 각각 이달 21일부터 25일까지, 2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됐다. 조사대상은 각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510명과 1004명이었으며, 응답률은 2.7%와 2.7%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각각 ±2.0%p와 ±3.1%p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윤수현 기자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