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부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 부근에서 안정된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환율 및 유가 추이, 내수 회복속도 등은 물가 전망의 변수로 꼽힌다. 한국은행은 18일 발간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앞으로 물가 안정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내수가 완만하게 개선되는 가운데 환율상승, 공공요금 인상압력 등이 상방요인으로, 유가하락 등은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은은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향후 경로는 내년 상반기중 1%대 후반 수준으로 높아지고, 하반기부터 목표 수준(2%)에서 안정된 흐름을 나타낼 전망"이라며 “근원물가 상승률도 2% 근방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최근 소비자물가는 1%대로 낮아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5%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까지만 해도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에 도달했지만, 9월 1.6%, 10월 1.3%에 이어 11월까지 3개월 연속 1%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한은은 내년부터 내후년까지 1% 이하의 저인플레이션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공급, 수요측 물가 압력은 제한적이지만 국내 경제가 2025년 1.9%, 2026년 1.8%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근원물가와 근접한 민간소비도 1.8~2% 안팎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그간 누적된 비용압력이 남아있는 데다 강달러 기조, 이상기후 등의 상방요인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짚었다. 실제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도 우리나라를 포함해 주요국의 물가상승률이 향후 2년간 2% 근방에서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당분간 인플레이션이 2%대에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중장기 시계에서 잠재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 저성장, 저물가(1% 이하)로 진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저성장, 저물가 국면에 진입하면 완화적 통화, 재정정책 등 총수요 확대 정책의 경기부양 효과가 제한되고, 자산가격 상승만 부추길 수 있어 상당한 경제적 비용이 수반된다. 한은은 “이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한 구조개혁이 긴요하다"며 “구조개혁은 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제약하는 제도적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의 제고를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구조개혁은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해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과 충격 복원력을 높인다"며 “저성장, 저물가 국면 진입을 예방하기 위한 궁극적인 해법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조개혁과 별개로 환율 및 유가 추이, 내수 회복속도, 공공요금 조정 등도 향후 물가 관련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 강세,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최근 1440원대 초중반 수준으로 상승하며 물가 상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간 부진했던 소비증가세는 앞으로 가계 소비여력 개선 등으로 완만한 속도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나, 공공요금 조정은 물가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한은은 “올해 하반기중 도시가스요금과 산업용 전기요금이 인상되고, 유류세 인하율이 일부 축소됐다"며 “앞으로도 공공요금이 점진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ys106@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