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북도가 2025년 APEC 고위관리회의(SOM1)에서 AI 기반 다국어 안내 시스템을 도입해 대표단의 언어 장벽을 해소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18일 간부회의에서 AI 휴먼 아바타가 적용된 실시간 키오스크와 AI 기반 통번역 솔루션을 시연했다. 이 기기들은 회의장 내 시설 안내뿐만 아니라 관광·교통·문화유산 정보를 제공하며, APEC 21개 회원국의 언어를 모두 지원한다. 특히 AI 휴먼 아바타 키오스크는 사용자의 발화 언어를 자동 감지해 해당 언어로 응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간 통번역 솔루션은 대형 패널을 활용해 사용자가 모국어로 입력한 질문이 올바르게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기기들은 회의장뿐만 아니라 공항, 기차역, 주요 호텔 등에도 배치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PEC 회의에서 대한민국의 디지털 기술력을 선보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대표단들이 언어 문제 없이 원활하게 회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도는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국제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이 도지사는 이날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와 회동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도지사는 말레이시아가 APEC 의장국으로 성공적인 회의를 운영했던 경험을 높이 평가하며, 경제·관광·통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확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사 일행은 경주화백컨벤션센터와 정상 숙소 예정지를 둘러본 후 불국사, 동궁과 월지 등 주요 문화유적지를 방문하며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직접 체험했다. 또한, 주낙영 경주시장과 만나 APEC 정상회의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경북도는 APEC 2025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정부, 국회, 주요 회원국들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며,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회의 개최지로서의 위상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jjw580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