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공식화화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가 혼란에 빠졌다. 특히 이 파장은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는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수출길이 어려워진 대부분의 완성차 브랜드들이 새로운 시장을 찾아 나서면서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의 밥그릇을 뺏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수입차를 대상으로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4월 2일부터 공식 발효될 예정이다. 트럼프의 이러한 결정에 국내 완성차 업계는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현대차그룹, 한국지엠뿐만 아니라 유럽, 동남아 등 이외에 시장에 집중했던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도 간접적인 영향권에 노출됐다.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는 미국보다는 유럽과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전략을 펼쳐왔다. 이들은 이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며 부진한 내수를 보완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안심할 수 없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수출 전략을 조정하면서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의 기존 수출 시장도 위협받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에서 판매가 어려워지는 글로벌 제조사들이 유럽과 동남아, 중동 시장으로 수출 물량을 전환할 경우 경쟁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의 BYD, 상하이자동차 등은 이미 유럽 시장에서 저가 전략을 내세우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어 KG모빌리티와 르노코리아 같은 중저가 브랜드의 입지가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가 수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기업이라는 점이다. 르노코리아는 지난해 총 판매량 10만6939대 가운데 수출이 6만7123대를 기록했다. 이어 KG모빌리티는 10만9424대 중 수출이 6만2378대를 차지했다. 두 브랜드 모두 수출 비중이 60% 이상인 것이다. 급변한 상황에 두 기업의 수출 계획에도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르노코리아는 올해 한 달간 부산공장 가동을 멈추고 내연기관·전기차 혼류 생산 라인을 구축했다. 이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폴스타의 중형 SUV 폴스타4를 1만대씩 생산해 미국 시장에 수출할 계획이었지만 25% 관세로 인해 가격 경쟁력에 큰 타격을 받았다. KG모빌리티도 잔뜩 긴장했다. KG모빌리티는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물량은 없지만, 국내와 호주·헝가리·튀르키예 등 기존 시장에서 경쟁 격화가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KG모빌리티는 지난해 튀르키예 현지에서 1만1870대를 판매해 2023년 대비 5배 이상 큰 성장세를 달성했지만, 추후 이러한 성과를 이어갈지 미지수가 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 역시 신흥 시장 확대, 전기차 및 친환경차 모델 강화, 현지 생산, 유통 네트워크 확충 등의 방안을 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