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기 행정부 내각에 대(對)중국 매파 인사들을 대거 발탁하면서 '중국 때리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이 대응 방안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예고한 대중국 관세 인상이 현실화하면 수출이 타격을 받아 중국 경제가 더욱 휘청일 수 있다. 그렇다고 중국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는 없는 노릇이며 미국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카드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아 쉽게 맞보복에 나설 수 없는 상황이다. 15일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최근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과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을 각각 국무부 장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지명했다. 두 사람은 대표적인 '대중국 매파'로 통한다. 루이오 의원은 2020년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을 공동 발의하는 등 중국을 겨냥한 압박·견제 조치를 주도했고 왈츠 의원은 미국과 중국의 전략경쟁 상황을 “냉전"이라고 규정하고, 베이징에서 열린 2022년 동계올림픽 보이콧을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내년 1월 공식 출범하면 60% 대중국 관세 폭탄을 포함해 중국에 대한 새로운 제재가 가해질 가능성이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베이징 싱크탱크 그랜드뷰 연구소의 주준줴이 미 연구 책임자는 루비오 의원의 지명을 두고 “중국에게 악몽이 현실화될 것"이라며 “중국은 그와 교류하기 전부터 가해질 제재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중국 정부도 미국의 관세 등에 대응하는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중국의 맞대응 방안으론 위안화를 절하해 관세 인상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방법이다. 블룸버그가 미국 대선 이후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절반은 앞으로 위안화 가치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났던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 위안화 가치가 11% 가량 하락해 관세 인상분의 3분의 2 가량이 상쇄됐다고 모건스탠리는 분석했다. 이는 그러나 중국의 수출 경쟁력 강화, 무역흑자 확대 등으로 이어져 다른 국가들의 반발을 살 공산이 크다. 또 중국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돼 자본이 더 빠져나갈 가능성도 있다. 중국이 다른 국가들과 동맹을 강화할 수 있다. BCA 리서치의 매트 거트켄 수석 지정학적 전략가는 “중국이 추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는 미국의 정책이 무모하고 평화와 번영에 해롭다는 것을 미국 동맹국과 교역국들에게 설득하면서 유라시아 동맹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와 결속 강화에 이어 독일, 일본, 호주와도 협력 모색은 이미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는 그러나 국가들이 미중 경쟁에 편을 들지 않고 자국의 수혜를 누리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중국이 미국에게 가장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방법은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를 모두 매각하는 방안으로 거론됐다. 미국 측 데이터에 따르면 8월 기준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액은 7746억달러로 일본(1조1300억달러)에 이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미 국채를 매각하고 위안화 자금을 본국으로 송환할 경우 달러 가치가 하락해 미국의 수출 경쟁력이 오히려 강화될 수 있다. 중국이 보유한 달러 기반의 자산 가치 또한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희토류 등 주요 광물에 대한 생산·수출 통제를 강화할 수 있다. 중국은 지난해 8월부터 첨단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갈륨·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에 들어갔으며, 지난해 말부터는 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를 만드는 데 쓰이는 흑연에 대해 수출을 통제 중이다. 자국이 사실상 독점 중인 희토류 가공 기술에 대해서도 수출을 막았다. 이는 그러나 미국을 포함해 기타 국가들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 다각화에 열을 더 올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중국이 미국 기업을 겨냥해 제재에 나설 수 있지만 미국 역시 중국 기업들을 향해 맞제재로 반격할 수 있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