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가 톺아보기] 한솥·본도시락 “편의점 도시락에 밀릴 순 없다”](http://www.ekn.kr/mnt/thum/202502/news-p.v1.20250225.c32ae01a8b5248fba416faf0e00db9e2_T1.jpg)
고물가 불황기에 강한 대표 업종으로 꼽히는 '외식 도시락' 대표주자 한솥과 본도시락이 최근 편의점업계의 공세에 맞서 가성비와 프리미엄을 앞세운 본연의 경쟁력으로 자리지키키 수성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25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한솥도시락은 1993년 출범 이래 브랜드 특장점으로 높은 가성비를 내세우고 있다. 최대 1만원대 초반 메뉴도 일부 판매하고 있지만, 라인업의 대다수가 3000원~8000원 사이 중저가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정규 메뉴 기준 한솥도시락의 평균 가격은 5936원으로, 최근 1만원대까지 치솟은 외식비를 고려하면 저렴한 수준이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직장인 1000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점심 값으로 평균 9000원대를 지출한다는 응답이 24.7%로 가장 많았다. 1만원대를 선택한 직장인 비율도 18.4%로 적지 않았다. 한솥도시락은 기존대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되 매월 신제품을 선보이는 등 출시 주기를 앞당겨 소비자 관심을 이끌고 있다. 기간 한정으로 새 제품을 공개하고, 소비자 반응에 따라 판매 기간을 연장하거나 상시 판매로 전환하는 것이 주된 방식이다. 한솥도시락 관계자는 “아직 신사업 계획은 없다. 국내산 식재료 사용, 원부자재 관리 강화 등 잘해온 것을 더 잘하는 것이 목표"라며 “가성비가 강점인 만큼 학생 등 핵심 타깃이 몰린 주요 학군은 물론, 직장인이 한 끼를 사먹기에 가격대가 높은 강남 지역 점포의 판매가 호조"라고 설명했다. 본아이에프의 프리미엄 도시락 브랜드 '본도시락'의 제품군은 8000~1만1000원 가격대로 형성돼 있다. 지난해 하반기 브랜드 리뉴얼과 함께 20~30대 젊은층의 가격부담 해소를 위해 포장 전용 메뉴인 8000원대 '본격 도시락'도 내놓았지만, 여전히 전반적인 가격대는 한솥도시락보다 높다는 평가이다. 낮은 가격으로 박리다매 전략을 취하기보다 '프리미엄 도시락'이라는 특장점을 기반으로 객단가를 높이는 게 본도시락의 전략이라고 업계는 풀이한다. 실제로 본도시락은 중저가 위주인 한솥도시락과 달리, '스크램블드에그 치킨마요(6300원)'·'보양 고추장 더덕 장어구이 한정식(3만4900원)' 등 중저가·고가 제품까지 고루 갖춰 메뉴 선택의 폭이 더욱 넓다. 특히, 푸짐한 반찬 구색의 한상 차림으로 본도시락은 직장·회사 등의 단체도시락 수요가 높은 브랜드로 꼽힌다. 30만원 이상 결제 건 기준 본도시락의 단체도시락 연매출은 2020년 238억원에서 2023년 387억원으로 62% 가량 급증했고, 지난해에도 397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본도시락 관계자는 “때우는 의미의 도시락을 넘어 한식, 프리미엄 도시락이라는 특장점을 바탕으로 든든하고 알찬 구성의 한 끼 식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이를 위해 본격 도시락은 물론 전 메뉴에 흑미밥을 제공하고, 영양가 높고 신선한 한식 반찬 구성으로 고객 만족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두 업체 모두 전통 외식 도시락 카테고리로 묶이지만 실질적 경쟁자는 편의점 업계로 통한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최근 몇 년 간 주요 편의점 위주로 합리적인 가격대·고품질 키워드를 강조한 다양한 신상품을 쏟아내고 있어서다. 전통 외식 도시락 업체 입장에서 가격 경쟁력·제품의 다양성 측면에서 위기감이 고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2월 기준 한솥도시락(820개), 본도시락(412개) 합산 매장 수는 1200여개인 반면, 국내 편의점 수는 일찌감치 5만개를 넘어갈 만큼 접근성에서도 밀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구나 편의점은 외식업체 대비 신제품 출시 주기가 더욱 가팔라 시장 트렌드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편의점뿐만 아니라 주요 식품·외식업체들도 앞다퉈 도시락 등 가정간편식을 판매하면서 과거보다 시장 공략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미리 만들어진 제품과 달리 즉시 조리돼 따뜻하게 즐길 수 있는 점에서 외식 도시락을 찾는 수요는 여전하다"며 앞으로도 외식 도시락과 편의점 도시락간 경쟁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하니 기자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