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갑자기 세상을 떠난 원로 탤런트 김수미 씨의 사망 원인이 '고혈당 쇼크'가 직접 원인으로 작용한 심정지로 알려지면서 당뇨병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당뇨병학회가 국민건강영양조사(2012~2022년)와 국민건강보험공단(2010~2021년)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최근 내놓은 '당뇨병 팩트시트2024'에 따르면, 2022년 기준 30세 이상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4.8%(7명 중 1명)이다. 약 533만명인데, 2024년으로 환산하면 600만명에 이를 것으로 학계는 추산한다. 당뇨병 진단 기준은 △식사와 관계없이 측정한 혈장(혈액에서 적혈구·백혈구·혈소판을 제외한 액체 성분) 혈당이 200㎎/㎗ 이상 △8시간 공복 혈장 혈당(공복 혈당)이 126㎎/㎗ 이상 △75g 경구당부하검사에서 2시간 후 혈장 혈당(식후 2시간 혈당)이 200㎎/㎗ 이상 △당화혈색소(3개월 동안의 평균혈당 지표) 수치가 6.5% 이상이면 당뇨병이다. 공복혈당 100∼125㎎/㎗, 식후 2시간 혈당 140∼199㎎/㎗, 그리고 당화혈색소 5.7∼6.4%면 당뇨병 경계치에 해당한다. 공복혈당 100㎎/㎗ 미만, 식후 2시간 이후 혈당 140㎎/㎗ 미만, 당화혈색소는 4.0∼5.6% 사이가 정상이다. 고혈당이란 혈액 속 포도당의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해 신체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는 증상이다. 기본적으로 당뇨병에 의해 유발되며, 과로나 스트레스, 과음, 감염 등 비당뇨병적 원인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칙적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모두 고혈당에 해당한다. 고혈당의 본격적인 위험성이 불거지는 시기는 평상시 혈당이 160∼180mg/㎗ 이상으로 높아지는 때이다. 피로감, 잦은 소변, 극심한 공복감, 피부 및 구강의 건조, 시야가 흐려짐 등의 고혈당 증상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런 상태는 소변을 만드는 요세관에서 당을 재흡수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가는 것으로, 당이 소변으로 배출된다. 당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몸 속 수분도 빠져 탈수가 일어난다. 전형적인 고혈당의 3다(多) 증상(다음·다식·다뇨)과 체중감소 등이 점점 뚜렷해진다. 상태가 심해져 250㎎/㎗ 이상의 심한 고혈당의 지속은 '당뇨병성 케톤산증'(케톤산혈증)이라는 급성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혈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못하면 축적된 지방을 에너지로 사용하게 되며, 이때 몸에 해로운 케톤산이 발생한다. 오심·구토·복통·설사·호흡곤란·의식혼수 등의 위급한 증상이 발생하며, 신체기능의 극심한 저하와 다른 질병 요인과 결합할 경우 쇼크에 빠질 수도 있다.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 교수는 “장기간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생명이 위협받는 긴급 상황에 이를 수 있다"면서 “고혈당이 2주 이상 지속될 경우 탈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콩팥(신장) 등 여러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며, 여기에 전해질 불균형이 동반되면 심장마비(심정지) 같은 초응급상황이 빚어지게 된다"고 분석했다. 혈당이 극한으로 치솟아 400∼500㎎/㎗ 이상이 될 경우 '고삼투성 고혈당상태'라는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한다. 고령 당뇨병 환자에서 주로 나타난다. 심한 갈증, 다뇨 등과 같은 당뇨의 전형적인 증상이 극심해지고 계속 방치하면 착란, 의식저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보인다. 특히 독감이나 폐렴 등의 감염이나 과로·과음·불면 등의 신체 스트레스가 동반된 상태에서 당뇨병약 투여가 안되고 충분한 수분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김수미 씨의 경우처럼 심정지 위험성이 몇 배로 높아진다. 정신적 스트레스도 고혈당 쇼크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다. 장기간 지속되면 부신 피질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돼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하게 된다. 고혈당 쇼크는 소아청소년에서 1형 당뇨가 진단되는 첫 단추이기도 하다. 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정모경 교수(당뇨 전문진료)는 “1형 당뇨를 처음 진단받게 될 때, 당뇨인줄 모르고 지내다가 급성 합병증의 형태인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발병하여 진단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1형 당뇨에서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을 때(혈당 200 mg/㎗ 이상)는 추가 인슐린을 맞아야 한다"면서 “탈수가 되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고, 연속혈당기를 착용하면 혈당 변화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오상훈 교수는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고삼투압성 고혈당상태는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장기 부전과 부정맥에 의한 심정지(심장마비), 뇌손상이 생기게 된다"고 경고했다. 고혈당 증세가 심하면 응급실에 빨리 가서 수액(링거)을 맞고, 인슐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고단위 요법을 받으면 호전된다. 인슐린 주사를 맞거나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당뇨환자 중 고혈당 쇼크보다 저혈당 증세나 '쇼크로 인한 실신'을 경험하는 사례가 더 빈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과 반대로 혈액 속 포도당 수치가 정상 범위보다 부족한 상태인데, 혈당이 40~50㎎/㎗ 까지 내려가는 경우, 전신에 힘이 빠지거나 식은땀·가슴 두근거림·손떨림·배고픔 등의 전형적인 저혈당 증세가 생긴다. 이는 저혈당 쇼크의 주요 전조증상이기도 하다. 저혈당 증세가 나타나면 주스를 마시거나 심하면 응급실로 가서 포도당 주사를 맞는 등 응급조치를 해야 한다. 박효순 기자 anytoc@ekn.kr